$\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한 농촌마을 가꾸기를 위한 참여형 마을지도 그리기 교육기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Mapping for Healthy Agricultural Villag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9 no.5, 2012년, pp.125 - 133  

김진석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윤성용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조성용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주안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조서현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차혜지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used participatory mapping as a tool for empowerment training for promoting health and safety of farmers.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e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mapping method and report our experiences in a rural community in Korea. Methods: A one-day workshop was offered in si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리엔테이션 시간에는 지역과 건강의 관련성을 통한 문제의 개념화, 그리고 이번 교육의 포괄적 목적과 목표를 교육자가 설명하였는데 주로 농업으로 인한 건강문제, 해결방안으로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에 대한 것을 교육하였다. 그리고 종이에 그릴 주제에 대하여 기존의 예시를 보여 주면서 교육 참가자들에게 지도 그리기 주제를 선정할 것을 얘기하였다. 주제로 적당한 것들은 마을에서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주민들의 관점에서 그리고 주민들이 해결할 수 있는 것들이어야 한다고 교육을 하였다.
  • 따라서, 연구진들은 농업인들 주도로 농촌 마을의 안전 보건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고, 지도그리기 기법을 그 대안의 하나로 연구하였다. 이에 연구진이 개발한 건강한 농촌 마을 가꾸기를 위한 참여형 지도그리기 교육 기법의 원리와 실행 과정을 소개하고, 국내 농업인들에게 직접 적용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 약 1시간 정도 마을을 함께 돌아보면서, 안전과 보건에 관한 개선이 필요한 장소를 찾아보고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때 앞서 교육이 되었던 것처럼 마을을 문제점 뿐만 아니라 마을 장점을 함께 지도에 표현할 수 있도록 마을 둘러보기에서 조별로 의논을 하도록 하였다. 각 조별로 교육 진행 도우미 1인이 안내자로서 동행하였으며, 안내자는 사전에 정한 조별 이동 경로를 안내하고, 개선이 필요한 장소에 사진을 촬영하면서 적절한 시간 안에 마을 둘러보기가 완료되도록 안내하는 역할만 하였다.
  • 따라서, 연구진들은 농업인들 주도로 농촌 마을의 안전 보건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고, 지도그리기 기법을 그 대안의 하나로 연구하였다. 이에 연구진이 개발한 건강한 농촌 마을 가꾸기를 위한 참여형 지도그리기 교육 기법의 원리와 실행 과정을 소개하고, 국내 농업인들에게 직접 적용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행위 또는 태도의 변화를 요구하는 교육을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방식이 필요한가? 행위 또는 태도의 변화를 요구하는 교육에 있어서는 피 교육생이 적극적으로 교육에 참여하는 참여형 교육방식이 필요하다(Freire, 1996; Wallerstein & Sanchez-Merki, 1994). 이들 참여형 연구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참여의 도구들 중 지도그리기(mapping), 사진(photovoice) 등을 이용한 기법 은 시각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면서 교육에 참여하는 기법이다(Israel, Eng, Schulz, & Parker, 2005; Wang, Yi, Tao, & Carovano, 1998; Yoo, 2009).
국내 농업인의 농작업 재해율은 일반 인구집단 이나 타 직종에 비해 몇 배가 높은가? 농촌인구의 고령화와 농작업의 대규모화, 시설화, 기계 화 등으로 인해 농업인들은 일반 제조업 근로자 못지않게 작업으로 인한 사고와 불건강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국내 농업인의 농작업 재해율이 일반 인구집단 또는 타 직종에 비해 약 2.5배 이상 높고, 근골격계 질환 등 만성질환 유병률도 72.4%에 달하며, 농약 중독 경험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등 농업인에서의 안전보건 문제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처해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Kim & Choi, 2005; Lee, Kim, Ryou, Lee, & Kwon, 2012).
참여형 지도그리기 방법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들이 존재하는가? 참여형 지도그리기 방법은 지도를 그리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땅이나 종이에 직접 그 리는 방법, 인화된 마을 지도에 표시를 하는 방법, 삼차원 적인 기법으로 마을을 제작하여 주민이 꾸미는 기법, 지리 정보시스템을 이용하는 기법,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멀티 미디어를 사용하는 기법 등이 있으나 가장 경제적이고, 교 육 수준이 낮고 연령이 높은 층에 사용하기가 좋은 종이에 직접 그리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cury, T. A., Austin, C. K., Quandt S. A., & Saavedra R. (1999). Enhanc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 research: Farmworkers and agricultural chemicals in North Carolina. Health Education & Behavior, 26(4), 563-578. 

  2. Cravey, A. J., Arcury, T. A., & Quandt, S. A. (2000). Mapping as a means of farm worker education and empowerment. Journal of Geography, 99(6), 229-237. 

  3. Freire, P. (1996). Pedagogy of the oppressed-A review and evaluation of the relevance of this work to contemporary education and youth work. Retrieved from http://www.justinwyllie.net/essays/pedagogy_oppressed.pdf 

  4. Israel, B. A., Eng E., Schulz, A. J., & Parker, E. (2005). A Method in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for health. San Francisco, CA: Jossey-Bass. 

  5. Khai, T. T, Kawakami, T., & Kogi, K. (2011).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Retrieved from http://www.ilo.org/wcmsp5/groups/public/---asia/--ro-bangkok/---sro-bangkok/documents/publ ication/wcms_169357.pdf 

  6. Kim, J. S., Woo, K. H., Min, Y. S., Kim, B. K., Choi, K. S., & Park, K. 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5(4), 417-427. 

  7. Kim, J. S. (2011). Guide manual for safe farm zone project. Suwon, Korea: Rural development agency. 

  8. Kim, K. R., & Choi, J. H. (2005). Disease, accident and health behavior of in farmers and fisherm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0(3), 279-292. 

  9. Lee, S. J., Kim, I., Ryou, H., Lee, K. S., & Kwon, Y. J. (2012). Work-related injuries and fatalities among farmers in South Korea.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5(1), 76-83. 

  10. Park J. Y., & June K. J. (2011). Influencing factors on functional health literacy among the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2(1), 75-85 

  11. Wallerstein, N., & Sanchez-Merki, V. (1994). Freirian praxis in health education: research results from an adolescent prevention program. Health Education Research, 9(1), 105-118. 

  12. Wallerstein, N., & Weinger, M. (1992). Empowerment approaches to worker health and safety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lndustrial Medicine, 22(5), 619-635. 

  13. Wang, C. C., Yi, W. K., Tao, Z. W., & Carovano, K. (1998). Photovoice as a participatory health promotion strateg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3(1), 75-86. 

  14. Yoo, S. (2009).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for health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1), 141-158. 

  15. Yoon, S. Y., Kam, S., Kim, J. S., Jo, S. Y., Kwon, Y. J., Song, I. W., & Woo, K. H. (2012). The effect of participatory approach program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the workpla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4(2), 133-144. 

  16. Yoon, S. Y., Woo, K. H., Kim, J. S., Yu, J. Y., Choi, T. S., Ha, B. G., & Jo, S. Y. (2005).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Oriented Training (PAOT) to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r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7(3), 249-2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