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in Social Medi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3 no.4, 2012년, pp.239 - 260  

김수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인문영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자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 요구와, 건강정보 추구행태, 그리고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22명의 대학생들을 심층면접한 결과, 소셜 미디어의 이용은 특히 몸에 이상증상을 느끼는 단계에서 증상의 진단을 위해 이루어지거나 건강한 상태에서 건강유지를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개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성 인식은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온라인상의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평가, 획득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활용능력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undergraduates' health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Interviews with 22 undergraduates revealed that social media was used mainly in a preventive stage or in a health m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자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 요구와, 건강정보 추구행태, 그리고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성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건강정보 추구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방형 반구조화 형식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그 내용을 분석한 질적 연구라 할 수 있다.
  • 국외를 중심으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 추구행태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Scanfeld, Scanfeld, & Larson(2009)은 ‘항생제’라는 단어를 언급한 1,000개의 트위터 포스팅을 분석하여 일반인들이 항생제와 관련하여 어떤 주제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자들은 항생제의 오용 사례와 잘못된 정보를 파악하고 올바른 정보를 배포하는데 있어서 트위터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을 향후 연구 주제로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웹 2.0이 특징으로 하는것은 무엇인가? 참여,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웹 2.0의 폭발적인 인기와 더불어 ‘2.
의료 2.0은 무엇인가? 의료 2.0 어플리케이션/서비스/툴은 건강의료의 소비자, 공급자, 환자, 보건의료전문가, 그리고 의생명과학 연구자들을 위한 웹 기반의 서비스로써 웹 2.0 기술과 시맨틱 웹, 가상현실 기술을 바탕으로 이들 사용자 그룹들 내부와 그룹간의 소셜 네트워킹, 참여, 협업, 그리고 개방성을 촉진시킨다.”
우리나라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건강정보 추구행태나 신뢰성 인식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건강정보 추구행태나 신뢰성 인식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예외적으로 이수영과 박상희(2006)가 유방암 정보가 생산되고 공유되는 세 개의 커뮤니티 즉, 전문가 커뮤니티, 이용자 중심의 온라인 카페, 그리고 지식검색 서비스 커뮤니티의 평판 시스템을 분석한 것이 있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각 커뮤니티에서 제공되는 서로 다른 평판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뢰성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구수, 김영랑, 류시원. 2010. 건강행위단계와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5(2): 177-193. 

  2. 김희선, 오의금, 형희경, 조은실. 2008. 대학생의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3): 506-520. 

  3. 매일신문. 2012.7.4. 남 대학생 관심사 다이어트, 화장 - 여성 못지않은 외모관리 [online]. [cited 2012.12.15]. . 

  4. 연합뉴스. 2010.12.10. 건강할수록 건강관심도 많아 [online]. [cited 2012.12.15]. . 

  5. 우영운, 조경원. 2006. 국내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신뢰성과 만족도 현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2006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4(2): 426-429. 

  6. 이수영, 박상희. 2006. 인터넷 평판 시스템에 대한연구: 세 유형의 유방암 정보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의 평판 시스템 비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4(3): 5-33. 

  7. 이현실 외. 2012. 인터넷을 활용한 건강정보 및 의료상담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2): 255-267. 

  8. 장혜순. 2010. 군산시 중년여성의 체지방율에 의한 비만도 분류에 따른 체중조절 행동, 식습관 및 건강관련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5(2): 227-239. 

  9. 조경원. 2006. 국내 성인의 인터넷 이용 행태 및 인터넷을 이용한 건강정보 획득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2006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4(2): 721-724. 

  10. 한혜경, 김주미. 2011. 의사- 환자 간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블로그 운영에 관한 연구: 의사블로거들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1(2): 533-562. 

  11. Abrahamson, J.A. et al. 2008. "Lay information mediary behavior uncovered: exploring how nonprofessionals seek health information for themselves and others online." Journal of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6(4): 310-323. 

  12. Escoffery, C. et al. 2005. "Internet use for health inform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3(4): 183-188. 

  13. Eysenbach, G. 2008. "Medicine 2.0: Social networking, collaboration, participation, apomediation, and opennes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10(3): e22 

  14. Fox, S. 2011. "Peer-to-peer health care."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online]. [cited 2012.12.15]. . 

  15. Hanauer, D., E. Dibble, J. Fortin, and N.F. Col. 2004. "Internet use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Implications in designing health care intervention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2(5): 197-202. 

  16. Ivanitskaya, L., I. O'Boyle, and A.M. Casey. 2006. "Health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age students: results from the interactive online research readiness self assessment (RRSA)."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8(2): e6. 

  17. Kim, H., S. Park, and I. Bozeman. 2011. "Online health information search and evaluation: observation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and maternal health experts." Health Information and Libraries Journal, 28: 188- 199. 

  18. Kim, S. 2010. "Questioners' credibility judgments of answers in a question answering community site." Information Research, 15(2): paper 432. [online]. [cited 2012. 12.15]. . 

  19. McKenzie, P. J. 2003. "A model of information practices in accounts of everydaylife information seeking." Journal of Documentation, 59(1): 19-44. 

  20. Morris, M.R., J. Teevan, and K. Panovich. 2010. "What do people ask their social networks, and why? A survey study of status message Q&A behaviour." Proceedings of CHI 2010, 1739-1748. 

  21. Newman, M.W., D. Lauterbach, S.A. Munson, P. Resnick, and M.E. Morris. 2011. "'It's not that I don't have problems, I'm just not putting them on Facebook':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using online social networks for health." Proceedings of CSCW 2011, 341-350. 

  22. Park, H., S. Roders, and J. Stemmle. 2011. "Health organizations' use of Facebook for health advertising and promotion."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12(1): 62-77. 

  23. Ries, T. 2010. "40% of online consumers use social media for health information." The Realtime Report. [online]. [cited 2012.12.15]. . 

  24. Scanfeld, D., V. Scanfeld, and E.L. Larson. 2010. "Dissemination of health information through social networks: Twitter and antibiotic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8: 182-188. 

  25. Shaw, R.J. and C.M. Johnson. 2011. "Health information seeking and social media use on the Internet among people with diabetes." Online Journal of Public Health Informatics, 3(1). 

  26. Ybarra, M.L. and M. Suman. 2006. "Help seeking behavior and the Internet: A nationa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75(1): 29-41. 

  27. Zhang, Y. 2012. "College students' uses and perceptions of social networking sites for health and wellness information." Information Research, 17(3): paper 523. [online]. [cited 2012.12.15].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