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수계 하천에서의 시공간적 수질변화 특성 및 연속적 인공댐호의 경험적 모델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s at Various Streams of Han-River Watershed and Empirical Models of Serial Impoundment Reservoirs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4, 2012년, pp.378 - 391  

전혜원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  최지웅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9~2010년 동안 한강 수계 인공댐 호소수 8개 지점 및 한강 본류 수계의 하천수 10개 지점의 총 18개 지점에서 인공댐 및 하류역 하천들에 대한 수질변이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미 건설된 연속적 인공댐들이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질소 (N), 인(P), 엽록소-a(CHL-a) 등의 화학적 수질 구배특성(Chemical gradient)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수질 변수간의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을 적용하여 하절기 몬순강우 특성 및 연별 집중강우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강수계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의 유입은 수질변이에 가장 크게 작용하였으며, 특히 하류부의 중랑천 유입수는 수질을 급격하게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절기의 몬순강우는 하류역에서 총인(TP), 총질소(TN) 및 전기전도도(EC)값을 크게 낮추어 수질향상에 기여하였다. 5개의 인공댐들에서 총질소(TN), 총인(TP) 및 N:P 무게비에 대한 엽록소-a (CHL-a)의 경험적 모델식 평가에 따르면, 로그전환된 총인(TP)은 엽록소-a (CHL-a)농도 변이를 33.8% ($R^2$=0.338, p<0.001, 회귀식 기울기=0.710) 설명하였으나, 총질소 (TN) 변이는 21.4% 설명에 그쳤다 ($R^2$=0.214, p<0.001). 또한 N:P 무게비의 산정에 따르면, 본 인공호들에서는 모두 N:P 비가 29 이상으로 인 제한효과로 나타났으며, 총질소(TN)의 농도는 모든 수체에서 이미 $1000{\mu}g\;L^{-1}$을 상회하여 조류성장에 풍부한 것으로 나타나 엽록소-a (CHL-a)의 증감은 인(P)에 의해 조절되는 인 제한요인(P-limitation)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엽록소-a (CHLa)의 증감은 또한 개별적 인공댐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부유물 증가에 의한 광투과도 저하, 수체류시간 감소에 의한 세척효과(Washing-out) 등도 부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강수계에서 하천 및 인공댐의 연속선 상에서 하천에 대한 댐의 이화학적 수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입 지천과 하천 유역의 점오염원으로부터의 방류수 유입은 이화학적 수질 변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속적 인공댐의 수체에서 대형 무척추동물 및 어류와 같은 생물학적 지표를 이용한 영향평가도 수질과 같은 측면에서 연구될 필요가 잇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emporal patterns and longitudinal gradients of water chemistry at eight artificial reservoirs and ten streams within the Han-River watershed along the main axis of the headwaters to the downstreams during 2009~2010. Also, we evaluated chemical relation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2010년 동안 한강 수계 인공 호소수 8개 지점 및 한강 본류 수계의 하천수 10개 지점의 총 18개 지점에서 인공댐 및 하류역 하천들에 대한 수질변이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미 건설된 연속적 인공댐들이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질소 (N), 인 (P), 엽록소-a (CHL-a) 등의 화학적 수질 구배특성 (Chemical gradient 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수질 변수간의 경험적 모델 (Empirical model)을 적용하여 하절기 몬순강우 특성 및연별 집중강우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에 이미 건설된 연속적 인공댐 들이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질소 (N), 인 (P), 엽록소-a (CHL-a) 등의 화학적 수질 특성 (Chemical gradient)에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수질 변수간의 경험적 모델 (Empirical model)을 적용·평가하여 하절기의 몬순강우 특성 및 연별 집중강우 특성이 수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연속적인 변화를 보이는 하천 성질이 댐의 건설로 인하여 단절되고 댐 하류에서 하천의 생물·비생 물학적 요인이 자연적인 과정과 지류 유입의 결과로 다시 원래의 성질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제시한 바 있어 이에 대한 규명이 절실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강수계의 특징은? , 1997). 특히, 한강수계는 우리나라 4대강 수계 중 가장 큰 수체로서, 많은 대형 인공댐을 포함하고 있어 이곳 에서의 방류수질은 상·하류간의 수질특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한강수계는 남한강과 북한강이 팔당호에서 만나 합류하고, 서울시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구에 달하는 유로연장 469.
우리나라 4대강 수계의 여러 수체 역할은? 우리나라 4대강 수계의 여러 수체는 중·상류역에 중·대형 인공댐 (인공호)들을 포함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근지역에 음용수 및 생태유지유량 등의 수자원을 공급하는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Jones et al., 1997).
한강수계의 주요지류는? 본 수계의 주요지류는 남한강 및 북한강으로서, 이들 수체는 형태적 특성 및 수리수문학적 특성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가지고 있어 연속적 수체의 수질 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ng, 1969). 남한강은 유역면적 12,514 km2, 유로연장 375 km를 가진 하천으로서 퇴적이 많이 일어나고, 유역 지질이 석회암 지대로서 물의 알칼리도가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hn, J.S., G.M. Lee and K.S. Jung. 2011. Problems of water use and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North Han River shared by North and South Korea (II) - Estimation of water right in downstream area.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4): 315-325. 

  2. An, K.G. 2001. Hydrological significance on interannual variability of cations, anions, and conductivity in a large reservoir ecosyste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1): 1-8. 

  3.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 27-49. 

  4. An, K.G. and I.C. Shin. 2005. Influence of the asian monsoon on seasonal fluctuations of water quality in a mountainous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1): 54- 62. 

  5. An, K.G. and J.R. Jones. 2000.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in ionic salinity and suspended solids in a reservoir influenced by the Asian monsoon. Hydrobiologia 436: 179-189. 

  6. An, K.G., J.W. Seo and S.S. Park. 2001. Influences of seasonal rainfall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near the intake tower of Taechu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1): 327-336. 

  7. Bae, D.Y., E.C. Yang, S.H. Jung, J.H. Lee and K.G. An. 2007. Nutrients and chlorophyll dynamics along the longitudinal gradients of Daechu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2): 285-293. 

  8. Brylinsky, M. and K.H. Mann. 1973. An analysis of factors governing productivity in lakes and reservoirs. Limnology and Oceanography 18(1): 1-14. 

  9. Dodds, W.K., J.R. Jones and E.B. Welch. 1998. Suggested classification of stream trophic state: distributions of temperate stream types by chlorophyll, total nitrogen, and phosphorus. Water Research 32(5): 1455-1462. 

  10. Edwards, R.W. and D.T. Crisp. 1982. Ecological Implications of River Regulation in the United Kingdom, p. 843-865. In: Gravel-bed Streams (Hey, R.D., J.C. Bathust and C.R. Thorne, eds.). John Wiley and Sons, Inc., Chichester, UK. 

  11. Fee, E.J. 1979. A relation between lake morphometry and primary productivity and its use in interpreting wholelake eutrophication experimen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4: 401-416. 

  12. Forsbe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lakes. Archiv fur Hydrobiologie 89: 189-207. 

  13. Han, J.H., J.Y. Lee and K.G. An. 2010.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terms of size dimension on multi-purpose Korean Dam Reservoir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itudinal gradient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2): 319-337. 

  14. Hong, S.U. 1969. Limnological comparison of the South and North-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3): 51- 68. 

  15. Jones, J.R., M.F. Knowlton and K.G. An. 1997. Developing a paradigm to study and model the eutrophication process in Korean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Special Issue): 463-471. 

  16. Jung, Y.G. 2011. The effects of erosion control dam construction on the aquatic ecosystem environmental change : Focus on a benthic macroinvertebrate. Master thesis, Yeungnam University, Korea 

  17. Kang, D.S. and S.S. Park. 2002. Emergy evaluation perspectives of a multipurpose dam proposal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6(3): 293-306. 

  18. Kim, B.C. and Y.H. Kim. 2004. Phosphorus cycle in a deep reservoir in asian monsoon area (Lake Soyang, Korea) and the modeling with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205-212. 

  19. Kim, I.S. and H. Yang. 2001. Fish community changes of the Buan Dam,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4(1): 45-50. 

  20. Kim, J.M. 2004. Comparative limnological study on the water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dynamics of some large artificial reservoirs in Korea.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21. Kim, J.Y. 2003. The evaluation of the eutrophication for the lakes by phosphorus loading.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7): 689-695. 

  22. Kim, S.D. and C.S. Yoo. 2004. Evaluation of the dam release effect on water quality using time series mod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0(6): 685- 691. 

  23. Kim, Y.T., Y.L. Kim, N.C. Woo and S.G. Hyun. 2006. Hydr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by rainfall in the Jungrang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2(4): 666-671. 

  24. Krenkel, P.A., G.F. Lee and R.A. Jones. 1979. Effects of the impoundments on downstream water quality and biota. p. 289-306. In: The Ecology of Regulated Stream (Ward, J.V. and J.A. Stanford, eds.). Plenum Press, NY, USA. 

  25. Lee, H.W., K.G. An and S.S. Park. 2002. Long-term annual trend analysis of epilimnetic water quality and their longitudinal heterogeneities in Lake Soy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5(1): 36-44. 

  26. Macan, T.T. 1961. Factors that limit the range of freshwater animals. Biological Reviews 36: 151-198. 

  27. Macan, T.T. 1974. Freshwater Ecology. John Wiley and Son, Inc., NY. 

  28. Merritt, R.W., D.H. Ross and G.J. Larson. 1982. Influence of stream temperature and seston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over Wintering larval black flies (Diptera: Simuliidae). Ecology 63(5): 1322-1331. 

  29. Moss, B. 1980. Ecology of fresh water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London. 

  30. Nichols, S., R. Norris, W. Maher and M. Thoms. 2006. Ecological effects of serial impoundment on the Cotter River, Australia. Hydrobiologia 572: 225-273. 

  31. Park, H.K., M.S. Byeon, M.J. Choi and Y.J. Kim. 2008. The effect factors on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nd the sources of organic matters in downstream of South-Han Riv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5): 556-562. 

  32. Park, J.C., J.W. Park, J.K. Shin and H.M. Lee. 2005. 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1): 105-117. 

  33. Park, J.E. 2006. A modeling study for the impact prediction of serial impoundments on downstream temperature distribution.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34. Park, S.M. and Y.K. Shin. 2011. The impact of monsoon rainfall on the water qual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4(4): 373-384. 

  35. Park, Y.M., E.H. Lee, S.J. Lee and K.G. An. 2009. Trophic state characteristics in Topjeong Reservoir and their relations among major quality paramete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2(3): 382-393. 

  36. Rada, R.G. and J.C. Wright. 1979. Factors affecting nitrogen and phosphorus levels in canyon ferry reservoir Montana and its effluent waters. Northwest Science 53: 213-220. 

  37. Shin, J.K., S.J. Hwang and K.J. Cho. 2003.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Pyeongtaek Reservoir and its main tributarie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1): 38-47. 

  38. Sohn, B.J. and J.W. Han. 1995. Some climatolog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extremes of east asian summer monsoon.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1(4): 477- 488. 

  39. Thornton, K.W. 1990. Perspectives on reservoir limnology, p. 1-4.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et al., eds.). John Wiley and Sons, Inc., Chichester, UK. 

  40. Vannote, R.L., G.W. Minshall, K.W. Cummins, J.R. Sedell and C.E. Cushing. 1980. The river continuum concept.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37: 130-137. 

  41. Ward, J.V. 1982. Ecological aspects of stream regulation: responses in downstream lotic reaches. Water Pollution and Management Reviews 2: 1-26. 

  42. Ward, J.V. and J.A. Stanford. 1983. The serial discontinuity concept of lotic ecosystems, p. 29-42. In: Dynamics of Lotic Ecosystems (Fontaine, T.D. and S.M. Bartell, eds.). Ann Arbor Science, Ann Arbor, USA. 

  43. Wetzel, R.G. 1990. Reservoir ecosystem: Conclusions and speculations, p. 227-238. In: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Thornton et al., eds.). John Wiley and Sons, Inc., Chichester, 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