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 본류에서 유기물 오염도 지표인 BOD와 COD에 대한 장기변동 특성
A Study on Long-term Variations of BOD and COD as Indicators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the Han River 원문보기

한국하천호수학회지=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5 no.4, 2012년, pp.474 - 481  

조현석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  김광래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  임귀철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  배경석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  이민환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수환경생태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75년부터 2011년 11월까지 37년간의 한강 본류의 유기오염물질의 장기변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BOD와 COD 항목에 대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분석 자료와 환경부의 연간평균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한강본류의 유기물질 비교지점은 상수원인 팔당댐(PD)을 기점으로 구의(KU), 잠실(JS), 뚝도(DD), 보광(BK), 노량진(NR), 영등포(YD), 가양(GY) 등 총 8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한강 본류의 연평균 BOD는 상류인 팔당댐에서 하류인 가양지점으로 유하하면서 증가하였다. 연도별로는 1984년에 최고치를 나타낸 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팔당댐에서 뚝도까지는 하천의 생활환경기준 1b인 '좋음'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류인 보광~가양구간은 II등급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평균 COD의 농도는 BOD와 달리 1992년에 최저치를 나타낸 후 1993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현재는 팔당댐, 잠실, 뚝도는 1b인 '좋음', 구의, 보광, 영등포는 II등급인 '약간좋음', 노량진과 가양은 III등급인 '보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37년간 생분 해성 유기물의 지표인 BOD의 경우 꾸준히 감소($r^2$=0.646)하고 있고 총 유기물을 대표할 수 있는 COD농도도 감소추세($r^2$=0.260)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팔당댐의 경우 1990년대 이후부터는 BOD는 감소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COD농도는 1991년 $1.7mg\;L^{-1}$ 이후 2011년 $3.9mg\;L^{-1}$으로 약 2배 이상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팔당댐 수계내의 난분해성 물질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계절별 BOD, COD농도는 봄>겨울>여름, 가을 순으로 높았으며 시계열 자료분석을 통해 12개월 주기로 강한 상관관계가 있고 장기간에 걸쳐 주기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팔당댐 방류량이 많을수록 한강본류의 BOD와 COD농도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적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강수질관리에 있어 팔당댐 방류량의 유기적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록 1975년부터 2011년까지의 한강본류의 BOD의 장기 변동만 고려할 때 한강수질이 나아지기는 했으나 팔당댐 COD는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수질이 개선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고도하수처리 시설 등 수질개선을 위한 시설 확충과 비점오염원 원인분석 및 저감 대책과 더불어 주변 환경 및 각종 요인을 정확히 분석하고 총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 앞으로의 수질정책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long-term pollution at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 b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of BOD and COD from 1975 to 2011. The long-term annual average BOD and COD concentration at the mainstream of the Han River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it f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수질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에서 가양에 이르는 한강 본류를 대상으로 유기물 분해율이 상이한 BOD와 COD의 장기적인 변동(1975~2011)양상을 조사하여 산업화 이후 오염된 수역에서 현재까지의 변화된 특성을 파악하고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의 필요성 증대 등과 같은 효율적인 한강 본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강에 대한 상수처리법 도입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환경기초시설 확충의 결과는? 과거 한강은 인구증가 및 산업 발달로 수질이 악화되었고 이에 따라 상수처리법 도입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환경기초시설 확충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왔다. 그 결과 1982년 한강종합개발계획과 1990년대 이후 꾸준한 수질개선 및 관리로 점차 한강 수질은 개선되었다. 한강은 서울의 식수원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에 한강 수질관리에 더욱 더 많은 관심과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수질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 1998; Oh and Koh, 2003). 또한 수질의 판단은 어느 한정된 영역에서 단 몇 회의 검사만으로는 이루어 질 수는 없으나 일정한 기간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분석한 연간 변화에 따른 오염도를 통해 수질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수질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강의 역할은? 서울시민의 급수원이면서 전 국토의 27%에 달하는 유역면적을 가지고 있는 한강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의 공급원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강이다. 과거 한강은 인구증가 및 산업 발달로 수질이 악화되었고 이에 따라 상수처리법 도입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환경기초시설 확충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rner, E.K. and R.A. Berner. 1987. The Global Water Cycle,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397. 

  2. Cho, S.J., C.C. Yun, E.G. Jeong, C.H. Lee, S.Y. Lee, L.T. Kim, K.S. Bae and J.S. Shin. 2003. Studies on yearly changes of water quality in the low Han River. The Repor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39: 517-525. 

  3. Chon, H.T., H.S. Moon, K.H. Kim and M.C. Jung. 1998. Environmental Geology. p. 529.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4. Gwak, H. 1992. A study on the water pollution of them Han River. M.A. Thesis. Dankook University. 

  5. Han, J.H., Y.J. Bae and K.G. An. 2010.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in Geum-River watershed and their influences by landuse pattern.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3): 385-399. 

  6. Han River Basin Management Committee. 2009. The increasing trend of refractory organic matters and the management plans for the Han river basin. 

  7. Jung, S.M., C.J. Jang, J.K. Kim and B.C. Kim. 2009.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by storm runoffs from intensive highland agriculture area in the upstream of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5(1): 102-111. 

  8. Kim, B.C., S.J. Jung, C.W. Jang and J.K. Kim. 2007. Comparison of BOD, COD and TOC as the indicator of organic matter pollution in streams and reservoirs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6): 640-643. 

  9. Kim, J.K., M.S. Shin, C.W. Jang, S.M. Jung and B.C. Kim. 2007. Comparison of TOC and DOC Distribution and the Oxidation Efficiency of BOD and COD in Several Reservoirs and Rivers in the Han River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3(1): 72-80. 

  10. Kim, K.S. and O.S. Kwon. 2009.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evels of water pollutants in Han River.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18(1): 105-138. 

  11. Kim, Y.P. and K.G. An. 2010.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1): 150-160. 

  12. Kim, Y.S. 2005. Prediction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in Han River with sewer rehabilitation. M.A. Thesis. Chongju University. 

  13. Lee, Y.K. and W.C. Cho. 2005.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ased on ecological factors in Anyang river.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9(3): 39-50. 

  14. Lim, K.H. and K.S. Kim. 2002. Correlativity of organic carbon indices for influent and effluent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Journal of Korea Technological Society of Water and Waste Treatment 10(1): 31-39. 

  15. Oh, K.H. and Y.K. Koh. 2003. Water quality and pollutions of river waters in Gwangju c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3): 287-297. 

  16. Park, S.M. and Y.K. Shin. 2011. The Impact of monsoon rainfall on the water quality in the upstream watershed of southern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4(4): 373-384.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97. Seoul's Environment, Seoul. 

  18. Shin, J.K, S.J. Hwang, C.K. Kang and H.S. Kim. 2003.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type Paltang Reservoir, Korea: hydr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6(3): 242-256. 

  19. Shin, M.S., J.Y. Lee, B.C. Kim and Y.J. Bae. 2011. Longterm variations in water quality in the lower Han River.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4(1): 31-37. 

  20. Yoo, H.S. 2002. Statistical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an River water qu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12): 2139-2150. 

  21. Yoo, H.S. 2004. Monthly fluctuation of the Han River water qu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0(4): 352-3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