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강우유출수 처리목적 인공습지 침강지의 퇴적물 특성 및 설계 적정성에 관한연구
Sediments and Design Considerations in the Forebay of Stormwater Wetland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4 no.2, 2012년, pp.223 - 235  

박기수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청징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영철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09년' 환경부의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시범사업으로 건설된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의 인공습지 침강지에서 퇴적특성 및 설계 적정성에 대하여 조사분석 하였다. 본 연구대상 인공습지가 설치된 지역에는 대규모 우사가 산재해 있으며 인공습지는 가축사육지역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퇴적물의 발생양은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영향을 받아 결정되며 유입유량의 크기에 따라 지점별 퇴적량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성분분석결과 영양염류의 경우 일반 농촌지역 인공습지 대비 연구대상 습지의 농도가 10배 높은 수치로 분석되었고 주변토양과 중금속함량을 비교한 결과 Tatal-Pb, Total-As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Total-Cu의 경우 축산단지의 영향을 받아 높은 수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연간 퇴적물 발생량을 추정한 결과 중량으로는 13톤, 퇴적깊이는 약 23cm, 체적기준 $65m^3$이었고 현재의 기준을 바탕으로 준설시기를 산출하였을 때 약 2.7년 정도로 조사되었다. 한편 침강지의 구조는 고유량시(강우시) 발생하는 세굴을 감안하여 현재와 같은 장방형 구조가 아닌 쐐기형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field study results about accumulation of sediments and its property in the forebay of wetland aiming at stormwater from rural area wherein intensive cow feeding lots are operated are provided. In addition, some design aspects are discussed. Amount of sediment generation in the long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Yi(2010)는 국내 농촌 지역에서 운전되고 있는 인공습지 침강지의 퇴적물에 대한 입도분석 및 침전된 토사의 오염물질 함량 분석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일대에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으로 설치된 인공습지 침강지의 설계 적정성을 평가하고 침강특성 및 퇴적성분 분석을 통하여 추후 건설될 인공습지 설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가축사육단지가 산재한 농촌유역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의 인공습지 침강지에서 퇴적물의 퇴적특성 및 침강지 설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내용을 제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점오염 처리시설로써 인공습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중 인공습지는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생식물에 의한 정화 등 습지가 보유하고 있는 자연적인 처리능력을 인위적으로 향상시켜 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지역의 경관적 가치 및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비점오염 처리시설이다(Gavin F. B.
환경부에서 비점오염원의 관리와 비점오염물질을 처리를 위해 수행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환경부에서는 2006년부터 “한강수계 비점오염 저감시설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금강, 영산강, 낙동강을 포함한 4대강수계의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및 유지 관리 시범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인공습지, 식생 수로, 침투도랑, 여과형, 와류형, 스크린형 시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비점오염저감시설에 대해 모니터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환경부·환경 관리공단, 2011).
본 논문에서 수행한, 인공습지 침강지에서 퇴적물의 퇴적특성 및 침강지 설계의 적정성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퇴적물의 양 및 퇴적속도는 조사기간 동안에 발생되는 강우량 및 강우강도와 같은 수문조건에 의해 결정되나 유지관리 활동 즉유입부 및 스크린 시설의 준설 작업시에도 대량 발생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침강지 지점별 퇴적특성을 분석한 결과 쇄굴 및 재부상등의 이유로 침강지 선단보다 는 중간지점에서부터 많이 퇴적되고 점차적 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빈도가 작은 비강우기의 경우 습지의 선단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침강지의 구조는 유입구가 넓고 유출구가 좁은 장방형 구조로 되어있어 유량조절 및저감효율을 높이기 위해 쐐기형 구조로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4). 퇴적특성을 분석한 결과 침강지의 준설시기는 약 2.7년을 주기로 준설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침강지 용량산정 기준 및 수리학적 체류시 간에 관한 설계기준은 대체로 권장기준을 만족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실제 모니터링 대상 강우사상이 설계유량 보다 작아 침전효율을 고려한 타당성 진단은 불가능하였다. 6). 오염물질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농촌지역을 배수구역으로 하는 다른 인공습지에 비하여 정읍 인공습지 영양염류의 농도가 10배가량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인공습지 주변의 토양과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납과 비소는 비슷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축단지의 구리는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소나 돼지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사료를 첨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엄한용. 2007. 인공습지의 설계방안, 한국관개배수지, 제 14권 제2호: 101-111. 

  2. 이소영, 이은주, 김철민, M.C. Maniquiz 2007. 비점오염시설인 침투도랑과 여과형 시설내 침강지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9(3): 35-42. 

  3. 환경부. 2008.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설치 및 관리.운영 매뉴얼, pp 86-110. 

  4. 환경부. 2009. 토양환경보전법, 규칙 [별표 3] pp 10. 

  5.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1. 토양측정망 및 토양오염 실태조사결과, pp88-92. 

  6. 환경부, 환경관리공단. 2011. 4대강수계 비점오염저감시설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최종보고서, pp 5-20. 

  7. EPA. 1993. National Conference on Urban Runoff Management: Enhancing Urban Watershed Management at the Local, County, and State Levels, pp 431 

  8. Gavin F. B., Carsten M. Mohammad S. F., JeongYul Suh. 2004. Efficiency of a Constructed Wetland in Removing Contaminants from Stormwater. Wetlands, 24(2): 459-466 

  9. Lightbody A. F. The Physical Role of Transverse Deep Zones in Improving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 Performance, Ph. D. disseration, Yale University, Connecticut, U.S.A. pp 31-33 

  10. Robert W. N., William J. M. 1999. Phosphorus removal in created wetland ponds receiving river overflow. Ecological Engineering, 14(2000): 107-126 

  11. Schulz M et al., 2003. The influence of macrophytes on sedimentaion and nutrient retention in the lower River Spree(Germany). Water Research, 37(3): 569-578. 

  12. William J. M., James G. G. 2000. The value of wetlands: importance of scale and landscape setting. Ecological Economics, 35(200): 25-33 

  13. Qitao Yi. 2010.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Using Constructed Wetland in the Agricultural Area, Ph. D.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Seosan, Korea. pp 80-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