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 검색어에 아래의 연산자를 사용하시면 더 정확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색연산자
검색도움말
검색연산자 기능 검색시 예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예1) (나노 (기계 | machine))
공백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예) semi*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통합검색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상세정보

GRP 복합관의 열팽창계수 측정

Measurements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in GRP Pipe

초록
용어

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 회로를 이용하여 GRP 복합관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스트레인게이지 회로를 적용하여 알루미늄 보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스트레인게이지의 부착위치와 반복횟수를 달리하며 또한 열팽창계수가 다른 스트레인게이지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GRP 복합관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열팽창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열변형률 결과와 측정결과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GRP 복합관의 경우 보강된 유리섬유에 의해 원주방향의 열변형률이 제한되어 원주방향 열팽창계수가 길이방향의 열팽창계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GRP 복합관의 후경화로 인해 측정횟수가 증가할수록 측정된 열팽창계수는 다소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점차 감소하였다. 아울러 열팽창계수가 다른 스트레인게이지를 적용하더라도 기준보상시편을 통해 스트레인게이지의 열변형률을 보상하면 동일한 열팽창계수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for GRP pipe through strain gage circuits. First of all,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aluminum beam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method by using various types of strain gage circuit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GRP pipes along axial and hoop direction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ocation of strain gages, number of repeated measurements, and strain gage types with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n the thermal strains and the repeatability of measur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GRP pipes along hoop direction were lower than those along axial direction due to the constraint effect of reinforced glass fibers on thermal strains along hoop direction. As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GRP pipe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the degree of increase became smaller. Finally, the sam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irrespective of different types of strain gages with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if thermal strains of strain gages were compensated by using reference compensation specimen.

본문요약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GRP 복합관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열팽창계수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GRP 복합관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열팽창계수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Full 브리지, Half 브리지, Quarter 브리지 등의 스트레인게이지 회로를 적용하여 알루미늄(AL6061-T6) 보 시편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고 측정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키워드에 따른 질의응답 제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RP 복합관
GRP 복합관은 어떻게 제작하는가?
모래가 배합된 수지에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제작

모래가 배합된 수지에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제작한 GRP 복합관은 기존의 주철관, 강관, 시멘트관 등에 비해 열전도도가 낮고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 km 이상의 긴 거리에 GRP 복합관을 시공하려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온도 변화에 의한 GRP 복합관의 팽창과 수축 등이 주요 설계인자 로서 온도에 의한 길이 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팽창루 프와 팽창조인트 등의 부가장치를 적용한다.

GRP 복합관
GRP 복합관에서 내부 및 외부 강화층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내부 및 외부 강화층은 일정 장력을 적용하여 폴리 에스터 수지에 함침된 유리섬유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은 형태로서 복합관에 작용되는 내부압력과 외부하중을 각각 지지한다

1에는 내부 라이너층, 내부 강화층, 코아층, 외부 강화층, 외부 보호층으로 구성된 GRP 복합관의 적층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때 내부 및 외부 강화층은 일정 장력을 적용하여 폴리 에스터 수지에 함침된 유리섬유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은 형태로서 복합관에 작용되는 내부압력과 외부하중을 각각 지지한다. 코아층은 폴리에스터 수지에 함침된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와 모래를 내부 강화층 위에 일정한 두께로 적층 시켜 놓은 형태로서 복합관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복합관의 이차단면모멘트와 원강성을 높여 준다.

열팽창계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팽창계를 이용하는 방법[1-3],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4],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5] 등

일반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팽창계를 이용하는 방법[1-3],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4],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5] 등이 제시되어 있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정량적인 측정과 다양한 재료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참고문헌 (12)

  1. 1. Deng, D.Q., and Xu, L., "Measurements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Phenolic Foam at Low Temperatures," Journal of Crogenics, Vol. 43, No. 8, 2003, pp. 465-468. 
  2. 2. Mukhopadhyay, A.K., and Zollinger, D.G., "Development of Dilatometer Test Method to Measur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Aggregates,"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21, No. 12, 2009, pp. 781-788. 
  3. 3. Loser, R., Munch, B., and Lura, P., "A Volumetric Technique for Measuring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Hardening Cement Paste and Mortar," Journal of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0, No. 7, 2010, pp. 1138-1147. 
  4. 4. Bing, P., Hui-min, X., Tao, H., and Asundi, A., "Measurement of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Films Using Digital Image Correlation Method," Journal of Polymer Testing, Vol. 28, No. 1, 2009, pp. 75-83. 
  5. 5. ASTM D5335, "Standard Method for Linear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Rock Using Bonded Electric Resistance Strain Gages," Annual Book of ASTM, Vol. 04.08, 1999. 
  6. 6. Versluis, A., Douglas, W.H., and Sakaguchi, R.L.,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Dental Composites Measured with Strain Gauges," Journal of Dental Materials, Vol. 12, No. 5, 1996, pp. 290-294. 
  7. 7. Wang, H., Zhou, X., Sun, L., Dong, J., and Yu, S., "The Effect of Stress Levels o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a Fine-Grained Isotropic Nuclear Graphite," Journal of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39, No. 3, 2009, pp. 484-489. 
  8. 8. Goo, N.S., Kwon, Y.D., Kim, J.S., and Yoon, K.J., "Measurement Method of Strain/Stress in a Variable Temperature Environment and Its Application to Measurement of CTE of a Compos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29, No. 2, 2001, pp. 43-51. 
  9. 9. Kim, J.S., and Yoon, K.J., "Characterization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Carbon/Epoxy Composite for Temperature Vari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ol. 12, No. 6, 1999, pp. 1-7. 
  10. 10. Park, C., Cheon, D.S., Synn, J.H., Kim, H.M., and Park, Y.J.,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Rock using Strain Gaug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17, No. 6, 2007, pp. 475-483. 
  11. 11. Vishay Micro-measurement,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Using Strain Gage," Measurements Group TECH NOTE TN-513-1, 2007. 
  12. 12. Vishay Micro-measurement, "Strain gage Thermal Output and Gage Factor Variation with Temperature," Measurements Group TECH NOTE TN-504-1, 2007. 

문의하기 

궁금한 사항이나 기타 의견이 있으시면 남겨주세요.

Q&A 등록

원문보기

원문 PDF 다운로드

  • ScienceON :
  • AccessON :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오픈액세스(OA) 유형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