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 회로를 이용하여 GRP 복합관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스트레인게이지 회로를 적용하여 알루미늄 보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스트레인게이지의 부착위치와 반복횟수를 달리하며 또한 열팽창계수가 다른 스트레인게이지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GRP 복합관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열팽창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열변형률 결과와 측정결과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GRP 복합관의 경우 보강된 유리섬유에 의해 원주방향의 열변형률이 제한되어 원주방향 열팽창계수가 길이방향의 열팽창계수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GRP 복합관의 후경화로 인해 측정횟수가 증가할수록 측정된 열팽창계수는 다소 증가하지만 증가폭은 점차 감소하였다. 아울러 열팽창계수가 다른 스트레인게이지를 적용하더라도 기준보상시편을 통해 스트레인게이지의 열변형률을 보상하면 동일한 열팽창계수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for GRP pipe through strain gage circuits. First of all,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aluminum beam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uggested method by using various types of strain gage circuit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GRP pipes along axial and hoop directions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ocation of strain gages, number of repeated measurements, and strain gage types with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n the thermal strains and the repeatability of measured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GRP pipes along hoop direction were lower than those along axial direction due to the constraint effect of reinforced glass fibers on thermal strains along hoop direction. As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of GRP pipe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the degree of increase became smaller. Finally, the sam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irrespective of different types of strain gages with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if thermal strains of strain gages were compensated by using reference compensation specimen.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여 GRP 복합관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열팽창계수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Full 브리지, Half 브리지, Quarter 브리지 등의 스트레인게이지 회로를 적용하여 알루미늄(AL6061-T6) 보 시편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하고 측정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GRP 복합관 | GRP 복합관은 어떻게 제작하는가? |
모래가 배합된 수지에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제작
모래가 배합된 수지에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를 함침시켜 제작한 GRP 복합관은 기존의 주철관, 강관, 시멘트관 등에 비해 열전도도가 낮고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수 km 이상의 긴 거리에 GRP 복합관을 시공하려는 시도도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온도 변화에 의한 GRP 복합관의 팽창과 수축 등이 주요 설계인자 로서 온도에 의한 길이 변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팽창루 프와 팽창조인트 등의 부가장치를 적용한다. |
GRP 복합관 | GRP 복합관에서 내부 및 외부 강화층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내부 및 외부 강화층은 일정 장력을 적용하여 폴리 에스터 수지에 함침된 유리섬유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은 형태로서 복합관에 작용되는 내부압력과 외부하중을 각각 지지한다
1에는 내부 라이너층, 내부 강화층, 코아층, 외부 강화층, 외부 보호층으로 구성된 GRP 복합관의 적층구조가 나타나 있다. 이때 내부 및 외부 강화층은 일정 장력을 적용하여 폴리 에스터 수지에 함침된 유리섬유를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감은 형태로서 복합관에 작용되는 내부압력과 외부하중을 각각 지지한다. 코아층은 폴리에스터 수지에 함침된 단섬유 형태의 유리섬유와 모래를 내부 강화층 위에 일정한 두께로 적층 시켜 놓은 형태로서 복합관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복합관의 이차단면모멘트와 원강성을 높여 준다. |
열팽창계수 | 열팽창계수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팽창계를 이용하는 방법[1-3],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4],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5] 등
일반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팽창계를 이용하는 방법[1-3],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4],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5] 등이 제시되어 있다.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정량적인 측정과 다양한 재료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6,7].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