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동잔무늬거울의 복원제작기술과 과학적 분석
The Restoration Technology and Scientific Analysis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8 no.4, 2012년, pp.417 - 425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관)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동기시대 청동잔무늬거울은 당대 최고의 합금, 주조기술과 최고 경지의 수공예 세공기술, 조형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번에 시도된 국보 제141호와 제143호 청동잔무늬거울의 복원 제작기술에는 밀랍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복원된 청동잔무늬거울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 미세조직, X-ray 촬영,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한 청동거울은 내부의 공석상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alpha}$ 수지상조직만이 관찰되며, 밀랍주조법의 경우는 ${\alpha}$ 수지상 사이로 공석상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복원 청동거울 분석을 통한 밀랍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을 상호 비교해 보면 대체로 주물사주조법이 밀랍주조법에 비하여 주조성이 좋고 냉각속도가 늦어 더 선명하고 균일한 청동거울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밀랍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한 청동거울은 서로 큰 차이가 있음을 복원한 청동거울들과 미세조직 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러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고대 청동거울들의 제작기법을 다양한 방법으로 규명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in the bronze age shows the greatest alloy and casting skills of the day and presents the highest level of handcrafting and molding techniques. Lately, Lost-wax casting and sand-mould casting were us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al treasures of No. 141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청동거울의 탕구와 배출구에서 채취한 시료들의 미세 조직을 관찰하여 밀납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에 의해서 주조된 청동거울 미세조직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동잔무늬거울의 미세조직은 청동거울로부터 시료를 일부분 채취한 후 에폭시 수지로 마운팅(mounting)하여 사포의 조밀 순서에 따라 #300, 500, 1000, 1200, 2400, 4000의 순서대로 연마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밀랍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을 이용하여 논산 출토 잔무늬거울(국보 제141호)과 화순 대곡리 출토 잔무늬거울(국보 제143호)을 복원 · 제작하고 주조법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잔무늬거울의 특성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원된 청동잔무늬거울을 대상으로 어떠한 분석을 실시하였는가? 청동기시대 청동잔무늬거울은 당대 최고의 합금, 주조기술과 최고 경지의 수공예 세공기술, 조형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번에 시도된 국보 제141호와 제143호 청동잔무늬거울의 복원 제작기술에는 밀랍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복원된 청동잔무늬거울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 미세조직, X-ray 촬영,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한 청동거울은 내부의 공석상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 ${\alpha}$ 수지상조직만이 관찰되며, 밀랍주조법의 경우는 ${\alpha}$ 수지상 사이로 공석상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국보 제141호와 제143호 청동잔무늬거울의 복원 제작기술에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였는가? 청동기시대 청동잔무늬거울은 당대 최고의 합금, 주조기술과 최고 경지의 수공예 세공기술, 조형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번에 시도된 국보 제141호와 제143호 청동잔무늬거울의 복원 제작기술에는 밀랍주조법과 주물사주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복원된 청동잔무늬거울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 미세조직, X-ray 촬영, SEM-EDS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ional Museum of Korea.Gwang-Ju National Museum, "Korea Bronze ware Manufacture Technology". Special Exhibition Bronze ware Culture of Korea, Bumwoosa, p25-117, (1992). 

  2.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Owned by The Korean Christian Museum, Survey Research of National Treasure No 141.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Korean Christian Museum, p34-74, (2009). 

  3. Yun, Y.H., "The Restoration Technology of Stoneware &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The Research of Restoration Technology to Cultural Assets,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p27-57, (2007). 

  4. Yun, Y.H. and Chung, K.Y., "The Restoration Technology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The Outline Book of Korea Metal.Material Research Society's Autumn Symposium, Korea Metal.Material Research Society, p60, (2007). 

  5. Chung, K.Y., Yun, Y.H. et al., "The Restoration Technology to Cultural Assets". Seo-Kyeong Culture, p269-306, (2008). 

  6. Yun, Y.H. and Chung, K.Y., "The Restoration Technology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The Source Book of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s Spring Symposium,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p81-82, (2008). 

  7. Chung, K.Y. and Yun, Y.H., "The Research of Restoration Technology to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in the Bronze Age". Japan Culture Material Society, The Summary Book of the 25th Symposium Research Presentations, Japan Culture Material Society, p360-361, (2008). 

  8. Kang, H.T., Chung, K.Y., Cho, S.K. and Lee, M.H. "Pit tomb excavated at Wonbuk-ri, Nonsan-si & Science Analysis of Stonewar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ical Society, 39, p19-30, (2003). 

  9. Yu, H.S., "Research of Component Analysis to National Treasure No141.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Synthesis Survey Research of National Treasure No 141.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owned by The Korean Christian Museum,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p102-123, (2009). 

  10. Lee, K.M., "Korea Bronze ware Manufacture Technology". Special Exhibition. Bronze ware Culture of Korea, National Museum of Korea.Gwang-Ju National Museum, p138-142, (1992). 

  11. Lee, K.M., "Korea Prehistoric Times Bronze ware Manufacture Technology and a Mould". Korean's Bronze ware Manufacture and a Mould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sil University, The Proceeding of The 2nd Maesan Commemoration Lecture-,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p1-8, (2005). 

  12. Lee, Y.S., "Manufacture Technology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Journal of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22, p39-67, (2005). 

  13. Lee, S.U., "The Research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Manufacture Techniques". Dongg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8). 

  14. Craft & design studio, "Cultural Assets & Technology - Special Issue Research of Triangle Mirror with animals pattern-". 3, Japan, p1-100, (2004). 

  15. Nara Institute for Archaeology, "Research of Mirror Mould IV". Japan, p1-79, (2009). 

  16. Jo, J., "The Understanding of Korea Bronze Age Culture grasping by Mould & Bronze ware Owned by The Korean Christian Museum". Korea Bronze ware and Manufacture Technology- with The Korean Christian Museum possessions as the center figures-,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p5-31, (2011). 

  17. Kwak, D.H. and Lee, W.G. "Secret Manufacture Method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Dongak Art History, 7, Dongak Art History Association, p61-72, (2006). 

  18. Yun, Y.H., "The Restoration Technologys of Bronze Mirror with fine linear designs". The Restoration Technology of Cultural Assets, Seo-Kyeong Culture, p267-306, (2008). 

  19. Park, H.S., "Manufacture Technology of National Treasure No 141.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Owned by The Korean Christian Museum, Synthesis Survey Research of National Treasure No 141.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s,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p60-75, (2009). 

  20. Yun, Y.H., "Scientific Analysis of Joseon Dynasty Casting Metal types". The Bibliography Research, 38, The Bibliography Research Association, p227-246, (2007). 

  21. Yun, Y.H., Cho N.C. and Lee, S.C., "Restor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of Casting Bronze Types in Joseon Dynasty".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p207-217, (2009). 

  22. David, A.S,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The J. Paul Getty Museum, p1-176,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