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 빈도수의 십년간 변동 특성
Decadal Change of Frequency in Korea Landfalling Tropical Cyclone Activit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3 no.1, 2012년, pp.49 - 58  

최기선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  차유미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  김태룡 (기상청 국가태풍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통계적 변동시점 분석을 통해 한국 상륙태풍의 빈도가 1981년 이후로 급격하게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증가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동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동아시아 대륙에 저기압 아노말리가 강화되는 반면, 북서태평양에는 고기압 아노말리가 강화되어 결국 저위도로부터 한반도 부근 지역으로 남풍의 아노말리가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남풍의 아노말리는 아열대 서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을 한반도로 이동시키는 지향류의 역할을 하였다. 이렇게 동아시아 대륙에 저기압 아노말리가 강화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이전 봄(3-5월)동안의 적설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아시아 대부분의 지역에서 1981년 이전보다 적은 적설량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봄부터 시작된 동아시아 대륙의 가열로 인해 여름철 이 지역에 저기압 아노말리가 발달할 수 있었으며, 결국 태풍을 한반도로 이동시킬 수 있는 남풍 아노말리의 지향류가 형성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ough a statistical change-point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Korea landfalling tropical cyclone (TC) frequency has increased rapidly since 1981. This increase is due to the following phenomenon. When anomalous cyclone is developed in the East Asian continent, anomalous anticyclone is reinfor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에는 한국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빈도가 비 정상적으로 낮아져 태풍 계절 예보자들이 예보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더욱이 위의 연구들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의 자료가 사용됨으로써 한국 영향 또는 상륙 태풍의 활동에 대해 재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어왔다(최기선과 김태룡, 2011; 최기선 외, 2009). 따라서 이 연구는 2010년까지 업데이트 된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상륙 태풍의 장기추세를 조사하고, 한국 상륙 태풍 활동의 최근 변화를 분석 한다.
  • 연직 바람 시어는 태풍의 발생과 발달에 영향을 준다. 연직 바람 시어 값이 높으면 대류권 상층과 하층 사이에 바람 차가 커져 태풍의 발생에 용이하지 못하며, 태풍 상하층간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여 태풍의 발달에도 좋지 못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이 연구는 두 기간 사이에 태풍의 발생 및 강도차의 원인이 되는 종관환경을 살펴보기 위해 연직 바람 시어를 분석하였다(Fig.
  •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두 기간 사이에 한반도 상륙 태풍의 활동 차를 야기하는 종관 환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그 차이를 좀 더 명확하게 알아보기 위해서 각 기간의 평균은 태풍들이 한반도에 상륙할 당시의 월 자료가 평균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 변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어느 지역에 치중되어 있는가? 위에서 토론된 바와 같이, 각 태풍 발생해역 또는 주요 태풍 영향지역에서의 태풍 변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 반면, 한국 영향 또는 상륙 태풍 변동에 대한 연구는 빈약한 상황이다. Choi and Kim (2007)은 한국 상륙 태풍의 빈도가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강한 태풍의 상륙 빈도의 증가가 더욱 뚜렷함을 보였다.
한국에 강한 태풍의 상륙 빈도의 증가가 더욱 뚜렷함을 보인 이유는? Choi and Kim (2007)은 한국 상륙 태풍의 빈도가 1990년대 중반 이후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강한 태풍의 상륙 빈도의 증가가 더욱 뚜렷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그들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동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태풍 진로 역시 동쪽으로 이동하여 태풍이 한국에 상륙하기 전에 중국을 경유하는 빈도가 낮아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Choi et al.
태풍의 강도에 영향을 수는 인자는?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이러한 태풍의 발생과 태풍의 이동 특성들은 태풍의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일본 지역특별기상센터에서 제공하는 6시간 간격의 태풍 최적 경로 자료를 이용하여 두 기간에 대한 태풍들의 한반도 상륙시 평균 중심기압을 분석하였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최기선, 김태룡, 2011,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접근 진단 지수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32, 347-359. 

  2. 최기선, 강기룡, 김도우, 황호성, 이상룡, 2009. 경험적 직교함수를 이용한 북서태평양 열대저기압의 이동빈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0, 721-733. 

  3. Barnett, T.P., Dumenil, L., Schlese, U., Roekler, E., and Latif, M., 1989, The effect of Eurasian snow cover on regional and global climate variations.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6, 661-686. 

  4. Chan, J.C.L., 2005, Interannual and inter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Meteorology and Atmospheric Physics, 89, 143-152. 

  5. Chan, J.C.L. and Shi, J.E., 1996, Long-term trends and interannual variability in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3, 2765-2767. 

  6. Choi, K.S. and Kim, B.J., 2007, 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s making land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3, 97-109. 

  7. Choi, K.S., Kim, B.J., Km, D.W., and Byun, H.R., 2010, Interdecadal variation of tropical cyclone making land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0, 1472-1483. 

  8. Choi, K.S., Kim, D.W., and Byun, H.R., 2009, Statistical model for seasonal prediction of tropical cyclone frequency around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5, 21-32. 

  9. Choi, K.S. and Kang, K.R., 2008, How is the snow-cover in the Tibetan Plateau related to the typhoon activit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4, 201-207. 

  10. Choi, K.S. and Kim, T.R., 2011, Regime shift of the early 1980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opical cclone affecting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453-460. 

  11. Chu, P.S., 2002, Large-scale circulation features associated with 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central North Pacific. Journal of Climate, 15, 2678-2689. 

  12. Chu, P.S. and Clark, J.D., 1999, Decadal Variations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Central North Pacific.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0, 1875-1881. 

  13. Elsner, J.B., Jagger, T., and Niu, X.F., 2000, Changes in the rates of North Atlantic major hurricane activity during the 20th century.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7, 1743-1746. 

  14. Ho, C.H., Baik, J.J., Kim, J.H., and Gong, D.Y., 2004, Interdecadal changes in summertime typhoon tracks. Journal of Climate, 17, 1767-1776. 

  15. Kalnay, E. and Coauthors, 1996, The NCEP/NCAR 40-Year Reanalysis Project.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7, 437-471. 

  16. Kamahori, H., Yamazaki, N., Maanji, N., and Takahashi, K., 2006, Variability in intense tropical cyclone day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Scientific Online Letters on the Atmosphere, 2, 104-107. 

  17. Kistler, R., Kalnay, E., Collins, W., Saha, S., White, G., Woollen, J., Chelliah, M., Ebisuzaki, W., Kanamitsu, M., Kousky, V., Dool, H., Jenne, R., and Fiorino, M., 2001, The NCEP/NCAR 50-year reanalysis.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2, 247-267. 

  18. Klotzbach, P.J., 2006: Trends in global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past twenty year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3, L10805, doi:10.1029/2006GL025881. 

  19. Landsea, C.W., Nicholls, N., Gray, W. M., and Avilia, L.A., 1996, Downward trends in the frequency of intense Atlantic hurricanes during the past five decad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3, 1697-1700. 

  20. Lighthill, J., Holland, G., Gray, W., Landsea, C., Craig, G., Evans, J., Kurihara, Y., and Guard, C., 1994, Global climate change and tropical cyclones. Bulletin of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5, 2147-2157. 

  21. Moon, I.J., Choi, E.S., Kang, S.K., Oh, S.M., and Lim, M.S., 2007, Oceanic factor that decides Korea landfalling tropical cyclone intensity. Proceeding of the spring meeting of Korea Meteorological Society, 320-321. 

  22. Park, J.K., Kim, B.S., Jung W.S., Kim, E.B., and Lee, D.G., 2006, Change i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yphoon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Atmosphere, 16, 1-17. 

  23. Reynolds, R.W., Rayner, N.A., Smith, T.M., Stokes, D.C., and Wang, W., 2002, An improved in situ and satellite SST analysis for climate. Journal of Climate, 15, 1609-1625. 

  24. Wilks, D.S., 1995,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Academic Press, 467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