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극권 스피츠베르겐 섬의 관속식물 국명 목록
List of Korean Names for the Vascular Plants in Spitsbergen Island, in the Arctic Region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4 no.1, 2012년, pp.101 - 110  

이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한동욱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 ,  황영심 (지오북) ,  이유경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  이은주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vide Korean names to the arctic vascular plants observed around the Dasan Korean Arctic Station and Longyearbyen in Spitsbergen Island, in the Arctic region. To obtain recognizable results, plants were na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naming rules. (1) When Korean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8)이 정리한 ‘The Flora of Svalbard’ 웹사이트를 참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각각 다르게 명명된 국명이 있거나 아직 국명이 주어지지 않은 북극 다산과학기지 지역 식물에 대해 학명, 영문명, 실제 식물의 특성과 기존 국명 등을 참조하여 아래에 제시한 기준에 따라 적절하게 명명하였다. 국명을 명명할 때는 ‘국명이 사용되는 경우 기존의 국명을 사용하되, 국명이 없는 경우 학명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김과 신 2011)는 제안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북극 다산기지를 중심으로 스피츠 베르겐 섬에서 실제 관찰한 북극권 식물의 국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통일된 국명은 앞으로 다양한 북극권 식물 연구 및 발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극권은 어떤 지역인가? 북극권은 전지구적인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역이다. 국내에서 남극권에 대한 연구는 1988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으나 북극권에 대한 연구는 2002년 국제북극과학위원회(International Arctic Science Committee, IASC)에 세계 18번째로 정회원국이 되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북극권 지역 식물 이름에 대해 혼란을 줄 수 있는 예는 무엇인가? 그런데 북극권 지역 식물이 국내 학술지나 보고서, 신문, 잡지, TV 방송 등에 소개될 때 학명은 동일하나 국명은 발표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음으로 해서 북극권 지역 식물 이름에 대해 혼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북극 다산기지 주변 식물상 보고서’에서는 Saxifraga cespitosa를 다발범의귀라고 국명을 부여하였으나(현 2010), 북극 식물에 관한 다른 글‘북극의 1차 생산자들’에서는 덤불범의귀로 다르게 소개하였다(서 등 2007). 또한 이들 두 가지 글은 공식적으로 출판되지 않아 각각의 부여된 국명을 공인된 국명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이다.
북극 다산과학기지의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북극 다산과학기지는 북위 79도의 고위도 지방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멕시코해류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의 다른 곳과 비교해서 훨씬 온난하다. 지난 10년간 다산과학기지에서 다산기지 주변 콩스피오르덴(Kongsfjorden, Kings bay)의 해양물리학적 특징(윤 등 2006), 해양 서식 저서동물과 식물플랑크톤 기초 조사(강 등 2003; 김 등 2005; 기 등 2006), 해양 및 토양 미생물 배양(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성호, 김예동, 강재신, 유규철, 윤호일, 이원철 (2003) 북극 스발바드섬 Kongsfjorden의 해양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모니터링 연구. Ocean and Polar Res 25:213-226 

  2. 국가표준식물목록 (2011)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kpni. Accessed 31 Aug 2011 

  3. 국제표준식물목록 (2011)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http://www.ipni.org. Accessed 31 Aug 2011 

  4. 기장서, 강성호, 정승원, 박범수, 한명수 (2006) 노르웨이 북극다산기지 주변에 형성된 일시적 담수지의 미세조류 및 Chlamydomonas 18S rDNA의 유전자 특성. Ocean and Polar Res 28:107-117 

  5. 김동성, 신재철, 강성호, 정호성 (2005) 북극해 스발바드 군도 Kongsfjorden 퇴적물에 서식하는 중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Ocean and Polar Res 27:299-309 

  6. 김수철, 안상덕, 이상래 (1994) 원색 백두산자원식물. 아카데미서적, 서울, 739 p 

  7. 김영동, 신현철 역 (2011) 식물계통학 제2판. 월드사이언스, 서울, 607 p 

  8. 김태정, 이영준, 한상훈 (2002) 백두고원. 대원사, 서울, 151 p 

  9. 서효원, 강성호, 이정윤, 박영은, 조지홍, 안경원, 유동림 (2007) 북극권 Svalbard 지역과 한국에 분포하는 Saxifraga 속 식물의 유전적 다형성 비교.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79-85 

  10. 윤호일, 김예동, 유규철, 이재일, 남승일 (2006) 북극해 스발바드 군도 피오르드에서 일어난 홀로세의 빙해양 퇴적작용과 고기후적 의미. Ocean and Polar Res 28:1-12 

  11.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37 p 

  12.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 p 

  13.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서울, 399 p 

  14. 현진오 (2010) 북극 다산기지 일대의 식물다양성. 극지연구소, 인천, 10 p 

  15. Alsos IG, Arnesen G, Sandbakk BE, Elven R (2008) The flora of Svalbard. http://www.svalbardflora.net. Accessed 31 Aug 2011 

  16. Gjærevoll O, Rønning OI (1996) Svalbardblumen. Trondheim, 121 p 

  17. Ingebrigtsen HM, Midtun HM, Spjelkavik S (2010) Longyear Flora - A basic field guide. Trykket hos Livonia Print, Latvia, 128 p 

  18. Lee YG, Hong SG, Cho HH, Cho KH, Lee HK (2007) Dasania marina gen. nov., sp. nov., of the Order Pseudomonadales isolated from Arctic Marine Sediment. J Microbiol 45:505-509 

  19. Lee YG, Kim HW, Cho KH, Kang S-H, Lee HK, Kim Y (2004) Phylogenetic analysis of culturable arctic bacteria. Ocean and Polar Res 26:51-58 

  20. Lee YG, Sung KC, Yim JH, Park KJ, Chung H, Lee HK (2005) Isolation of protease-producing arctic marine bacteria. Ocean and Polar Res 27:215-219 

  21. Rønning O (1996) The flora of Svalbard. Norwegian Polar Institute, Oslo, 184 p 

  22. Yoshida T (2008) Himalayan plants illustrated. Kimyoungsa, Paju, 803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