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16 no.3, 2012년, pp.585 - 590
김성후 (경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주원 (안동과학대학 의료공학과) , 김주호 (경상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한욱 (경상대학교 전자공학과) , 정원근 (한국국제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 이건기 (경상대학교 전자공학과)
Coronary Intervention treatment has become the core that is the test of cardiac catheterization to conduct treatment with Coronary Arteriography. Operators must be careful in Coronary Intervention treatment because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point of narrowing of blood vessel. So, the operator 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심근경색증이란? |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에 생긴 혈전에 의해 심장근육에 공급되어야 할 혈액이 완전히 차단되어 심장근육의 일부가 죽고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더욱이 기능을 잃어버린 심장근육의 부위가 큰 경우에는 생명까지도 위협 할 수 있어 심근 경색증은 매우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 |
관상동맥중재술의 시술자가 혈관의 경로를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 특히, 관상동맥중재술은조영술후, 혈관의협착지점에 정확히 스텐트를 삽입시켜야 하기 때문에 삽입시 혈관의 손상이나 파열에 주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술자는 혈관의 경로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하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혈관의 경로를 정확하게 인식할 필요가있다. | |
관상동맥 중재술이란? | 관상동맥 중재술은 경피적 경로를 통해 관상동맥의 기시부에 카테터를 위치시킨 후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구조를 촬영하여 진단하고 관상동맥 조영술과 동시에 치료를 하는 방법으로써 심도관 검사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
이원로, 서정돈, "임상 심장학", 고려의학, pp. 263-282, 2007.
박재형, "심장혈관 영상의학", 일조각, pp. 236-249, 2008.
Rafael C. Gonzalez, Ricahrd E. Woods, Steven L. Eddins, "Digital Image Processing using Matalb", Pearson Prentice Hall and Info-Tech Corea, pp. 107-111, 2004.
Randy Crane, Simplified approach to Image Processing, prentice-Hall, pp. 100-108, 1997
Abdallah A. Alshennawy, and Ayman A. Aly, 'Edge Detection in Digital Images Using Fuzzy Logic Technique',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51, pp. 178-186 2009.
J. C. Bezdek, L. O. Hall, L. P. Clarke, "Review of MR image segmentation techniques using pattern recognition", Med. Phy. Vol. 20, No. 4, pp. 1033-1048, 1993.
K. S. Chuang, H. L. Tzeng, S. Chen, J. Wu, T. J. Chen, "Fuzzy c-means clustering with spatial information for image segmentation", Computerized Medical Imaging and Graphics Vol. 30 pp. 9-15, 2006.
M. S. Yang, Y. J. Hu, K. C. R. Lin, C. L. Lin, "Segmentation techniques for tissue differentiation in MRI of Ophthalmology using fuzzy clustering algorithms",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20, pp. 173-179, 200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