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수변공간의 활용 실태와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친환경적 수변 도시개발 방안
Current Status and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Policy of Urban Riverfront in Korea on the Basis of It's Locatioanal Proper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2 no.3, 2012년, pp.449 - 460  

김항집 (광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도시가 기능적으로 개발되면서, 도시내부의 강을 중심으로 하는 수변공간은 도로건설과 비선호성시설의 집적으로 도시민의 삶의 공간에서 소외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산업화시대인 1970~80년대에 폐수와 쓰레기로 오염된 강은 생태 친수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고 하수구의 기능으로 전락하였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서 지속가능한 도시에 대한 요구와 도시의 쾌적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도시민은 도시 내에서 맑은 물과 쾌적한 수변공간을 갈구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도시재생의 중심적인 공간으로 수변공간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수변공간에 대한 이용현황과 계획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도시 수변공간이 갖는 입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수변공간 활용방안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도시적 여건에 부합되는 친환경적이며 도시재생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한 수변공간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1970's, the rivers in industrial cities and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have been severely contaminated and the riverfronts have been to garbage yard, warehouses and sanitary facilities that produce low efficiency in urban land-use. As a result, riverfront in most cities became lost spac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기존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도시 수변공간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또 신문기사와 인터넷검색을 통하여 수변공간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파악하고, 최종적으로는 도시 수변공간의 재생동향 및 환경친화적 수변공간의 조성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지속가능한 도시 수변공간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들이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고 수변공간의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수변공간의 환경적 요소완 인공적 개발이 조화되는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방향설정과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기존자료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도시 수변공간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수변공간의 이용실태와 수변개발의 문제점을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둘째, 도시하천의 공간적 특성을 바탕으로 친환경적, 친인간적 도시수변재생의 성공사례를 분석하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수변공간의 입지적 특성을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도시여건에 부합되는 환경친화적인 수변공간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21세기에 들어서서 하천과 수변공간에 대한 정비가 이수·치수에서 생태복원과 문화적 활용으로 전환되면서, 친생태적·친인간적 수변공간의 조성을 통하여 수변공간의 재생과 도심 활성화에 성공한 사례들이 많아지고 있다. 본 장에서는 대표적인 성공사례 성내천, 태화강, 루르강의 추진과정과 사업내용 그리고 공통적인 성공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의 건강성과 쾌적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공간은? 강과 수변은 도시의 건강성과 쾌적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공간이다. 깨끗한 물이 흐르는 강은 도시 메타볼리즘(urban metabolism)의 중심이 되고, 도시민의 주요한 삶의 터전이 된다.
역사적으로 수변공간이 도시발전의 기원을 형성했던 이유는? 깨끗한 물이 흐르는 강은 도시 메타볼리즘(urban metabolism)의 중심이 되고, 도시민의 주요한 삶의 터전이 된다. 역사적으로 수 많은 도시에서 강과 소하천 그리고 개울로 형성되는 수변공간이 도시민의 삶의 중심공간이자 공공공간(public space)이었으며 도시발전의 기원을 형성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성내천이 자연환경과는 동떨어진 콘크리트 일색의 구조물인 호안과 하저로 정비되어 나타난 결과는? 성내천은 1983년 하천정비계획의 수립을 시작으로 하상정비가 시작되었으나, 다른 도심하천과 마찬가지로 초기 개발이 치수중심으로 개발되어, 자연환경과는 동떨어진 콘크리트 일색의 구조물인 호안과 하저로 정비되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생활과 유리된 토건적 하천정비와 도시개발은 하천의 건천화를 불러왔고, 생활폐수와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악취가 진동하는 죽은 하천이 되어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민구, 최진규, 정형석, 김원석, "도시와 농촌의 환경요소 연결을 통한 생태계 네트워크 및 친수 공간 조성", 대한토목학회지, 제56권, 제2호, pp.88-98, 2008. 

  2. 국토연구원, 수변 공간?도시 디자인 전략 연구, 2009. 

  3. 권영상, 조민선, "우리나라 하천주변 도시수변공간의 경관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7권, 제9호, pp.251-260, 2011. 

  4. 권영상, "도시, 강에서 미래를 찾다 - 수변도시의 비전", 국토 제337호, pp.73-77, 2009. 

  5. 김국선, "여가문화 인프라구축을 위한 도시 수변 공간 디자인 개발방안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3호, pp.121-129, 2011. 

  6. 김영환, "수변공간 문화재생의 계획적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8호, pp.207-216, 2008. 

  7. 김항집, "수변의 재생과 도시의 르네상스", 도시 문제7호, pp.24-29, 2011. 

  8. 도시재생사업단, 쇠퇴도시 유형별 재생전략 및 기법개발, 2011. 

  9. 박세창, 이창재, 최일, "수변공간과 공장이전적지를 활용한 복합문화시설 개발 계획",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계획계), 제29권, 제1호, pp.105-108, 2009. 

  10. 배윤경, 오신욱, 조용수, "수변공간의 유기체적 장소특성과 활용방안",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22권, 제2호, pp.631-634, 2002. 

  11. 안형기, 박영길, "Water-Front 개발을 통한 환경 친화적 도시발전전략구상",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4권, 제2호, pp.116-139, 2008. 

  12. 양도식, "볼티모어항구의 수변공간 재개발", 국토 제291호, pp.118-127, 2006. 

  13. 어정연, 여홍구, "도시재생측면을 고려한 수변공간구성 연구", 국토계획, 제43권, 제4호, pp.119-130, 2008. 

  14. 윤수미, 김연정, "생태적 도시 환경을 위한 수변 공간 디자인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23권, 제5호, pp.211-220, 2010. 

  15. 이금진, "도시재생과 지역활성화를 위한 버밍엄 브린들리플레이스 수변복합개발 특성",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제3호, pp.33-42, 2008. 

  16. 이범현, "프랑스.독일의 수변공간 재생사례", 국토 제331호, pp.86-95, 2009. 

  17. 이재환, 유현준, "도시 친수공간적 활용을 위한 워터프론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계획계), 제29권, 제1호, pp.117-120, 2009. 

  18. 최정희, 김기연, 김기호, "도시 수변공간과 지속 가능한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5 권, 제1호, pp.225-232, 2009. 

  19. 최정희, 김기연, 장경철, "뉴욕시 수변공간의 계획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5 권, 제9호, pp.241-248, 2009. 

  20. 한국토지공사, 생태도시개념을 도입한 친수형단지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1997. 

  21.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촌 친수공간개발에 관한 연구, 1998. 

  22. B. Otto, K. McCormick, and M. Leccese, Ecological Riverfront Design : Restoring Rivers, Connecting Communities, Michigan: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004. 

  23. B. Hoyle, D. Pinder, and M. Husain, Revitalising the Waterfront : International Dimension of Dockland Dedevelopment, London: Belhaven Press, 1998. 

  24. R. Marshall(Ed.), Waterfronts in Post-Industrial Cities, New York: Spoon Press,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