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합성
Synthesis of Vertically Align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1 no.2, 2012년, pp.113 - 119  

장성원 (성균관대학교 BK21 물리연구단, 에너지과학과) ,  송우석 (성균관대학교 BK21 물리연구단, 에너지과학과) ,  김유석 (성균관대학교 BK21 물리연구단, 에너지과학과) ,  김성환 (성균관대학교 BK21 물리연구단, 에너지과학과) ,  박상은 (성균관대학교 BK21 물리연구단, 에너지과학과) ,  박종윤 (성균관대학교 BK21 물리연구단, 에너지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나노튜브는 1차원의 구조에 기인하는 우수한 물리적,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은 향상된 특성들을 기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분야로 활용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합성과정에서 촉매층의 두께, 아세틸렌 가스의 주입량, 합성온도의 변화가 탄소나 노튜브의 길이와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의 촉매의 구조변화에 초점을 두어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합성조건을 최적화하여 수백 ${\mu}m$ 길이의 결정성이 우수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nanotubes have emerged as a promising material for multifaceted applications, such as composited nanofiber, field effect transistors, field emitters, gas sensors due to their extraordinary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synthesis of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 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합성과정에서 촉매층의 두께, 아세틸렌 가스의 주입량, 합성온도의 변화가 탄소나노튜브의 길이와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의 촉매의 구조변화에 초점을 두어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합성 조건을 최적화하여 수백 μm 길이의 결정성이 우수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열 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이용하여 합성과정에서 촉매층의 두께, 아세틸렌 가스의 주입량, 합성온도의 변화가 탄소나노튜브의 길이와 직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위와 같은 조건에서의 촉매의 구조변화에 초점을 두어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나노튜브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는 벌집모양(honeycomb)의 sp2 혼성(hybridization) 탄소원자가 원통형 구조로 결합 되어있는 물질로써 우수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물질이다 [1]. 보고된 탄소나노튜브의 물리적 특성들을 살펴보면, 강철 보다 10∼100 배 견고할 뿐만 아니라 영률과 탄성률은 각각 1.
길고 결정성이 우수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최적화된 합성 조건은? 철 촉매의 증착두께와 탄소공급원인 아세틸렌의 주입량, 합성온도를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길고 결정성이 우수한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최적화된 합성 조건을 확립할 수 있었다. 증착된 철 촉매의 두께가 3 nm이고 주입되는 아세틸렌가스의 양이 20 sccm일 경우 가장 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가 합성되었다. 또한 합성온도의 증가는 탄소나노튜브의 결정성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질의 수직 정렬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응용분야에 큰 가능성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한다.
탄소나노튜브의 응용가능 분야는? 또한 구리 이상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다이아몬드의 2배에 이르는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와 대기에서 750oC까지 열적 안정성을 지닌 물질이다. 따라서 전계방출소자(field emitter) [2,3],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ield-effect transistors) [4],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s) [5], 논리게이트(logic gates) [5], 태양전지(solar cell) [6], 나노소자, 다양한 가스 검출을 위한 고감도 센서[7], 고분자/탄소나노튜브의 고기능 복합체 [8]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응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나노튜브는 열적 안정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로 인해 탄소나노튜브 섬유 및 나노복합체의 소재로서 큰 기대를 모으는 나노 소재 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 Saito, G. Dresselhaus, and M. S. Dresselhaus, Phys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Imperial College Press, London, 1998). 

  2. D. Ferrer, T. Tanii, I. Matsuys, G. Zhong, S. Okamoto, and H. Kawarada, Appl. Phys. Lett. 88, 033116 (2006). 

  3. S. Y. Lee, D. H. Ryu, J. Y. Hong, M. H. Yeom, J. H. Yang, W. C. Choi, M. H. Kwon, and C. -Y. Park, J. Korean Vacuum Soc. 16, 291 (2007). 

  4. A. Javey, J. Wang, M. Lundstrom, and H. Dai, Nature 424, 654 (2003). 

  5. Q. Cao, M. -G. Xia, M. Shim, and J. A. Rogers, Adv. Funct. Mater 16, 2355 (2006). 

  6. J. U. Lee, Appl. Phys. Lett. 87, 073101 (2005). 

  7. J. Kong, N. R. Franklin, C. Zhou, M. G Chapline, S. Peng, K. Cho, and H. Dai, Science 287, 622 (2000). 

  8. J. S. Sakamoto, B. Dunn, and J. Electrochem, Soc. 149, A26 (2002). 

  9. S. Y. Kim, W. Song, M. Kim, C. Jeon, W. Jung, W. C. Choi, and C. -Y. Park, Jpn. J. Appl. Phys. 50, 075103 (2011). 

  10. W. Song, C. Jeon, Y. S. Kim, Y. T. Kwon, D. S. Jung, S. W. Jang, W. C. Choi, J. S. Park, R. Saito, and C. -Y. Park, ACS Nano 4, 1012 (2010). 

  11. Y. Kim, W. Song, S. Y. Lee, S. Shrestha, C. Jeon, W. C. Choi, M. Kim, and C. -Y. Park, Jpn. J. Appl. Phys. 49, 085101 (2010). 

  12. W. Song, W. C. Choi, C. Jeon, D. H. Ryu, S. Y. Lee, Y. S. Shin, C. -Y. Park, J. Korean Vacuum Soc. 16, 377 (2007). 

  13. X. Cui, W. Wei, and W. Chen, Carbon 48, 2782 (2010). 

  14. J. B. In, C. P. Grigoropoulos, A. A. Chernov, and A. Noy, Appl. Phys. Lett. 98, 153102 (2011). 

  15. H. Kim, J. Kang, Y. Kim, B. H. Hong, J. Choi, and S. Iijima, J. Nanosci. Nanotechnol 11, 470 (2011). 

  16. M. S. Dresselhaus, G. Dresselhaus, R. Saito, and A. Jorio, Phys. Rep. 409, 47 (2005). 

  17. M. S. Dresselhaus, A. Jorio, M. Hofmann, G. Dresselhaus, and R. Saito, Nano Lett. 10, 751 (2010). 

  18. S. M. Bachilo, M. S. Strano, C. Kittrell, R. H. Hauge, R. E. Smalley, and R. B. Weisman, Science 298, 236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