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방사 조건이 셀룰로오스 웹 형상에 미치는 영향
Parametric Study on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Cellulose Web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4 no.1, 2012년, pp.62 - 68  

정연수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  정영진 (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llulose was electrospun over water collector and the cellulose solution was prepared using N-methyl-morpholine N-oxide/water(nNMMO/$H_2O$). The morphology of electrospun cellulose was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EM images showed that the fiber formation depen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MMO monohydrate로 용해된 셀룰로오스 용액은 점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용매의 휘발성이 낮아 전기방사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조건 중, 물의 온도, 셀룰로오스 용액의 농도, 전기장의 세기 및 feeding rate에 따른 전기방사된 셀룰로오스의 모폴로지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기방사 후 셀룰로오스 내에 용매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용해된 섬유형상의 모폴로지가 얻어졌다.
  • 본 연구에서는 feeding rate에 따른 셀룰로오스의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Feeding rate는 syringe에 연결된 공기압으로 조절되며 30에서 90 kPa 범위에서 전기방사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장의 세기가 전기방사된 셀룰로오스의 모폴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장의 세기를 15에서 25 kV까지 변화하면서 전기방사를 하였다. 이때 사용한 셀룰로오스의 농도는 5 wt% 였으며, 노즐과 컬렉트 사이의 거리는 15 cm, syringe에 가한 공기압력은 30 kPa, collector 물의 온도는 20 ℃로 하였다.
  • 그러나 Quan은 셀룰로오스의 농도만을 공정변수로하여 전기방사를 연구하여 물 collector가 가지는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MMO/H2O 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전기방사 조건이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모폴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전기방사 시, 섬유를 모으는 콜렉터로서 Quan처럼 금속판이 아닌 물을 사용하였으며, 셀룰로오스의 농도와 응고욕의 온도, 전기장의 세기와 용액의 feeding rate에 따른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모폴로지 변화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룰로오스는 어떠한 장점을 가지는가? 셀룰로오스는 다당류 중에서 분자량이 가장 큰 물질의 하나로서 열적․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섬유용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5,6). 셀룰로오스는 또한 자연에서 나오는 환경 친화적인 재료로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나노섬유로 제조하려는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셀룰로오스는 결정화도가 높아서 이를 녹일 수 있는 용매가 많지 않다.
물의 온도, 셀룰로오스 용액의 농도, 전기장의 세기 및 feeding rate에 따른 전기 방사된 셀룰로오스의 모폴로지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조건 중, 물의 온도, 셀룰로오스 용액의 농도, 전기장의 세기 및 feeding rate에 따른 전기방사된 셀룰로오스의 모폴로지 변화를 관찰하였다. 전기방사 후 셀룰로오스 내에 용매가 많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용해된 섬유형상의 모폴로지가 얻어졌다. 이러한 형상은 낮은 셀룰로오스 농도와 굵은 섬유가 얻어지는 조건에서 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높은 물의 온도는 용매의 확산을 촉진시키고 셀룰로오스의 점도를 낮추게 된다. 용매의 확산은 고화를 촉진시키나 낮은 점도는 셀룰로오스의 유동의 원인이 된다. 즉, 물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전기방사된 용액의 유동과 고화가 동시에 일어나면서 섬유와 필름의 중간형태의 모폴로지가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섬유형상의 셀룰로오스 모폴로지를 얻기위해서는 높은 농도의 셀룰로오스, 낮은 온도의 물, 낮은 전기장과 낮은 feeding rate가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NMMO/H2O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가? 본 연구에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가 아닌, 순수 셀룰로오스를 NMMO/H2O로 용해하여 이를 전기방사 하였다. NMMO/H2O는 다른 용매와 비교하여 높은 반수 치사량(Lethal Dose 50, LD50) 값을 갖는 친환경 용매이나 낮은 휘발성과 셀룰로오스 용액의 높은 점도로 인하여 전기방사가 매우 까다로우며, 이로 인하여 셀룰로오스/NMMO 시스템으로 전기방사를 보고한 연구는 많지 않다8-11). Quan은 물을 collector 로 사용한 셀룰로오스/NMMO 시스템으로 전기방사를 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였으며, NMMO의 낮은 휘발성으로 인한 문제점을 물을 collector로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였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Z. Huang, Y. Zhang, M. Kotaki, and S. Ramakrishna, A Review on Polymer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 Applications in Nanocomposites, Compos. Sci. Technol., 63, 2223-2253(2003). 

  2. D. H. Reneker and I. Chun, Nanometre Diameter Fibres of Polymer, Produced by Electrospinning, Nanotechnology, 7, 216-223(1996). 

  3. S. Hong, C. Lee and J. Kim, Fabrication of Ceramic Particles Deposited Nano-web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and Its Far- infrared Ray Emission Property,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J. of Korean Soc. Dyers & Finishers), 22(2), 118-122(2010). 

  4. J. H. Yang, N. S. Yoon, and I. Kyo, Fabrication of Waterproof and Moisture-permeable Polyurethane Nanofiber Multi-Membrane,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J. of Korean Soc. Dyers & Finishers), 23(2), 107-117(2011). 

  5. J. A. Cuculo, N. Aminuddin, and M. W. Frey, "Solvent Spun Cellulose Fibers, In Structure Formation in Polymeric Fibers", D. R. Salem, Ed., Hanser Publishers, Munich, p.296, 2000. 

  6. M. W. Frey, Electrospinning Cellulose and Cellulose Derivatives, Polym. Rev., 48, 378-391(2008). 

  7. J. A. Cuculo, N. Aminuddin, and M. W. Frey, "Solvent Spun Cellulose Fibers, In Structure Formation in Polymeric Fibers", D. R. Salem, Ed., Hanser Publishers, Munich, pp.296-328, 2000. 

  8. Z. Huang, F. Kang, Y. Zheng, J. Yang, and K. Liang, Adsorption of Trace Polar Methy-ethylketone and Non-polar Benzene Vapors on Viscose Rayon-based Activated Carbon Fibers, Carbon, 40, 1363-1367(2002). 

  9. M. S. Khil, H. Y. Kim, Y. S. Kang, H. J. Bang, D. R. Lee, and J. K. Doo, Preparation of Electrospun Oxidized Cellulose Mats and Their in Vitro Degradation Behavior, Macromolecular Research, 13, 62-67(2005). 

  10. C. Kim, D. Kim, S. Kang, M. Marquez, and Y. L. Joo, Structural Studies of Electrospun Cellulose Nanofibers, Polymer, 47, 5097-5107(2006). 

  11. P. Kulpinski, Cellulose Nanofibers Prepared by the N-methylmorpholine-N-oxide Method,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98, 1855-1859(2005). 

  12. A. Frenot, M. W. Henriksson, and P. Walkenstrom, Electrospinning of Cellulose-based Nanofiber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03, 1473-1482(2007). 

  13. C. W. Kim, M. W. Frey, M. Marquez, and Y. L. Joo, Preparation of Submicron-scale, Electrospun Cellulose Fibers Via Direct dissolutio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art B Polymer Physics, 43, 1673-1683(2005). 

  14. G. Viswanathan, S. Murugesan, V. Pushparaj, O. Nalamasu, P. M. Ajayan, and R. J. Linhardt, Preparation of Biopolymer Fibers by Electrospinning From Room Temperature Ionic Liquids, Biomacromolecules, 7, 415-418(2006). 

  15. M. W. Frey, Y. L. Joo, and C. Kim, New Solvents for Cellulose Electrospinning and Preliminary Electrospinning Results, Abstracts of Papers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26, U404-U404(2003). 

  16. M. W. Frey and H. Song, Cellulose Fibers formed by Electrospinning from Solution, Abstracts of Papers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25, U288-U288(2003). 

  17. S. Quan, Cellulose Nanofibers via Electrospinning, M.S. Thesis, Inha University, 2006. 

  18. J. M. Deitzel, C. Krauthauser, D. Harris P. C., and J. Kleinmeyer, in Polymeric Nanofibers, ACS Symposium Series, Edited by D. H. Reneker and H. Fong,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Vol. 918, 2006. 

  19. X. Zong, K. Kim, D. Fang, S. Ran, B. S. Hsiao, and B. Chu, Structure and Process Relationship of Electrospun Bioabsorbable Nanofiber Membranes, Polymer, 43, 4403-4412(2002). 

  20. W. E. Morton, "Physical Properties of Textile Fibres, 4th Ed.", The Textile Institute,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