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장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발생과 기후환경 요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igher Fungi Distribution and Climatic Factor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0 no.1, 2012년, pp.19 - 38  

장석기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  김상욱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4년 4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균문의 담자균아문 48과 158속 451종, 자낭균아문 13과 26속 39종, 점균문 4과 7속 7종이 조사되었으며, 대부분의 고등균류는 담자균아문 중 모균아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발생된 균류는 송이버섯과로 72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43종), 구멍장이버섯과(41종), 그물버섯과(40종), 끈적버섯과(35종), 광대버섯과(28종)순이었다. 미기록종이라 판단되는 종은 무당버섯과 1종(Lactarius vietus), 압정버섯과 1종(Ionomidotis frondosa), 트리코코마과 1종(Penicilliopsis clavariaeformis), 망사점균과 1종(Fuligo septica) 등 총 4과 4속 4종이 조사되었다. 서식환경별 분포에서는 외생균근성버섯이 15과 36속 193종(38.8%), 낙엽 및 목재부후균은 36과 107속 196종(39.4%), 지상균은 24과 51속 99종(19.9%) 및 기타 3과 4속 9종(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분포에서는 7월이 가장 많은 종수가 조사되었고 8월, 9월 순으로 나타났으며, 11월의 분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 환경별 요인에 있어 대부분의 고등균류는 평균온도 $23^{\circ}C$이상, 최저온도 $20^{\circ}C$이상, 최고온도 $29^{\circ}C$이상일 때, 상대습도는 73% 이상일 때, 월 강수량는 200 mm 이상일 때 종 발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생균근성버섯인 광대버섯과, 그물버섯과 및 끈적버섯과 등 외생균근성버섯은 최고온도 $32^{\circ}C$이상에서 유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평균온도, 최저온도, 상대습도 및 강수량 등에 비해 종 발생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higher fungi and relationship between higher fungi and climatic factor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from April 2004 to October 2010. The obtained results from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The higher fungi were classified into 48 families, 1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6) 및 집중호우 등이 반복되는 기후환경 변화는 고등균류의 다양성 감소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장산국립공원에서 2004년~2010년까지 조사된 고등균류를 대상으로 서식환경별 및 우점균류를 중심으로 기후환경 요인온도(평균온도, 최고온도, 최저온도), 습도, 강수량별에 따라 발생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후환경 변화에 따른 균류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장산의 고등균류는 대부분 어디에 분포하는가? 대부분의 고등균류는 담자균아문과 자낭균아문에 분포하며, 그 종류 및 생활환경도 매우 다양하다. 특히, 산림에서는 수목에 피해를 주는 기생균의 역할, 낙엽이나 목재 등 식물체의 분해자 역할 및 고등식물과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수목의 생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산림생태계 순환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Taylor et al.
내장산국립공원을 우점하고 있는 나무 종은? 내장산국립공원은 신갈나무,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서어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으며 다양한 임황 및 지황 등으로 고등균류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내장산에서의 외생균근성 버섯 발생이 치악산, 오대산과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4%이었다는 보고(김, 2006) 보다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조사지의 임황, 지황, 기상환경 및 조사 시기 등에 따른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길중. 2004. 인천광역시 서구 철마산의 고등균류상 조사연구. 인천대학교. p. 45. 

  2. 김남규. 2006. 오대산 국립공원내 임상별 토양미생물 및 고등 균류상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p 81. 

  3. 김태영. 2006. 인천시 청량산의 고등균류상 조사 연구. 단국대학교. p. 38. 

  4. 박영준. 2003. 치악산국립공원에서 발생하는 고등균류의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p. 150. 

  5. 이태수.이지열. 2000. 한국기록종 버섯 재정리목록. 임업연구원. p. 87. 

  6. 장석기. 2007. 내장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분포, 한국균학회지 35(1):11-27. 

  7. 조덕현. 민준. 2005. 서울 남산의 균류 다양성과 균류자원. 한국자연보존연구지 3(1):111-141. 

  8. Anderson, I. C., Bastias, B. A., Genney, D. R., Parkin, P. I. and Cairney, J. W. G. 2007. Basidiomycete fungal communities in Australian sclerophyll forest soil are altered by repeated prescribed burning. Mycol. Res. 111:482-286. 

  9. Avis, P. J., McLaughlin, D. J., Dentinger, B. C. and Reich, P. B. 2003. Long-term increase in nitrogen supply alters above-and below-ground ectomycorrhizal communities and increases the dominance of Russula spp. in a temperate oak savanna. New Phytol. 160:239-253. 

  10. Baxter, J. W., Pickett, S. T. A., Carreiro, M. M. and Dighton, J. 1999. Ectomycorrhizal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oak forest stands exposed to contrasting anthropogenic impacts. Can. J. Bot. 77:771-782. 

  11. Diedhiou, A. G., Dupouey, J.-L., Bue, M., Dambrine, E., Lat, L. and Garbaye, J. 2010. The functional structure of ectomycorrhizal communities in an oak forest in central France witnesses ancient Gallo-Roman farming practices. Soil Biol. Biochem. 42:860-862. 

  12. Donk, M. 1964. A conspectus of the familes of Aphyllophorales, Rijksher-barium. Leiden. 

  13. Eveling, D. W., Wilson, R. N., Gillespie, E. S. and Bataille, A. 1990. Environmental effects on basidioma counts over fourteen years in a forest area. Mycol. Res. 94:998-1002. 

  14. Ishida, T. A., Nara, K. and Hogetsu, T. 2007. Host effects on ectomycorrhizal fungal communities: insight from eight host species in mixed conifer-broadleaf forests. New Phytol. 174: 430-440. 

  15. Karen, O., Hogberg, N., Dahlberg, A., Grip, K. and Nylund, J. E. 1996. Influence of drought on ectomycorrhizal species composition- morphotype versus PCR identification. In: Azcon-Aguilar, C. and Barea, J. M. Eds. Mycorrhizas in Integrated Systems European Commission, Brussels. pp. 43-46. 

  16. Lange, M. 1978. Fungus flora in August. Ten year observation in a Danish beech wood districts. Bot. Tidsskr. 73:21-54. 

  17. Leake, J., Johnson, D., Donnelly, D., Muckle, G., Boddy, L. and Read, D. J. 2004. Networks of power and influence: the role of mycorrhizal mycelium in controlling plant communities and agroecosystem functioning. Can. J. Bot. 82:1016-1045. 

  18. Markkola, A. M., Aonen-Jonnarth, U., Roitto, M., Strmmer, R. and Hyvrinen, M. 2002. Shift in ectomycorrhizal community composition in Scots pine (Pinus sylvestris L.) seedling roots as a response to nickel deposition and removal of lichen cover. Environ. Pollut. 120:797-803. 

  19. Natarajan, K., Senthilarasu, G., Kumaresan, V. and Rivire, T. 2005. Diversity in ectomycorrhizal fungi of a dipterocarp forest in Western Ghats. Curr. Sci. 88(12):1893-1895. 

  20. Rosenzweig, M. L. and Abramsky, Z. 1993. How are diversity and productivity related? In species diversity in ecological communities. pp. 52-65. Univ. of Chicago Press, Chicago, III. 

  21. Simard, S. W., Durall, D. and Jones, M. 2002. Carbon and nutrient fluxes within and between mycorrhizal plants. In: van der Heijden M.G.A. Sanders IR (Eds.) Mycorrhizal Ecology. Springer. Berlin. pp. 33-74. 

  22. Singer, R. 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d. Koeltz Scientific books. Koenigstein. 

  23. Smith, S. E. and Read, D. J. 2008 Mycorrhizal Symbiosis 3 Edition London: Academic Press. 

  24. Taylor, A. F. S., Martin, F. and Read, D. J. 2000. Fungal diversity in ectomycorrhizal communities of Norway spruce [Picea abies (L.) Karst] and beech (Fagus sylvatica L.) along North- South transects in Europe. pp. 343-365. In: Schulze E.D., ed. Carbon and nitrogen cycling in European forest ecosystemsecological studies. 

  25. Twieg, B. D., Durall, D. M. and Simard, S. W. 2007. Ectomycorrhizal fungal succession in mixed temperate forests. New Phytol. 176:437-447. 

  26. Van der Heijden, M. G. A., Bardgett, R. D. and Van Straalen, N. M. 2008. The unseen majority: soil microbes as drivers of plant diversity and productivity in terrestrial ecosystems. Ecol. Lett. 11:296-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