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변벨트 조성에 따른 하천 단절성 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Fragmentation Improvement Effect from the Riverine Restoration 원문보기

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2 no.6B, 2012년, pp.387 - 397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  박민영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물환경연구실)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홍천강 11 km를 대상으로 수변생태벨트를 조성할 경우 벨트 폭에 따른 하천 단절성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천강 대상구간은 기존의 연구에서 하천 단절성이 심화되었다고 보고된 구간으로, 대상지의 생태적 연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필요한 수변생태벨트의 적정 폭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하천을 1 km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A-K의 총 11개 구간에 대한 도상조사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단절지수를 적용하여 도로, 제방 및 주변 토지이용 등에 의한 연결성 단절과 생태적 기능성 단절 항목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I 구간에서 연결성과 생태 기능성 단절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변벨트를 조성하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구간별 평균값이 단절 2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 10-50 m의 수변벨트를 조성하였을 경우, 연결성 단절에 대한 개선 효과는 미비하였으나 생태적 기능성 단절에 대해서는 12.4-25.1%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한편, 10 m와 30 m를 조성하였을 경우 단절성 저감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30 m 조성시 단절등급이 2등급에서 3등급으로 완화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ecological fragmentation improvement effect from different riverine ecobelt width was analyzed. The target river for this study is the Hongcheon river in Kangwondo. This section of 11 km among the Hongchenon river was reported to be seriously fragmen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강원도(2011)의 연구에서는 하천에 대해 30-50 m의 벨트 폭을 제시하였으나, 벨트폭 변화에 따른 하천 단절성 개선에 대해서는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임의 단절된 하천을 대상으로 수변벨트를 조성하였을 경우, 어느 정도의 벨트 폭이 단절성 완화에 효과적인가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이를 통하여 대상하천의 경우, 생태벨트의 폭은 최소 10 m 이상이 적당하며, 토지매입비를 고려할 경우 최대 30 m 폭의 벨트 조성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변벨트를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벨트폭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하천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일정한 넓이를 조성한다고 가정한 점이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연결성 증진을 위한 수변벨트 조성 시, 벨트 폭에 따른 하천 단절성 개선 효과 분석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대상하천은 홍천강으로 하였으며, 먼저 하천 경관 조사 및 GIS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홍천강 11 km를 대상으로 수변벨트를 조성할 때, 벨트 폭 변화에 따른 단절성 개선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된 단절지수를 본 연구에 도입하여 토지이용 및 제방과 도로 등에 의한 연결성 단절과 생태벨트의 기능성 단절에 대한 현 상태와 10-50 m 폭의 수변벨트 조성 이후 폭 변화에 따른 개선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에서 대표적인 일반적인 하천평가를 위한 평가기법은 무엇이 있는가? 수변벨트의 기능이 하천 연결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특정 하천에 대해 단절된 구간을 찾고 이를 수변벨트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하천 단절성과 관련된 매우 복잡한 요소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하천평가를 위해 국외의 경우 Leopold(1972), NRA(1992), Fry(1994), LAWA(2000) 평가기법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 제시된 평가 방법(김동찬 등, 2000; 이상호, 2000; 박병철 등, 2002; 박진원과 마호섭, 2003; 박봉진, 2003 등)의 대부분은 하천의 물리구조 특성평가를 채택하고 있다.
수변생태벨트는 어떤 기능을 하는가? 하천은 전 국토를 단절 없이 나뭇가지 형태로 구석구석 엮고 있으며, 생태적 기능과 관련된 목표로서 네트워크 개념은 개별 하천의 복원에서 강조되고 있는 하천 연속성(river continuum) 개념과 합치된다(한승호와 조용현, 2009). 특히, 수변지역 내 수변림 및 습지 등을 포함하는 녹지띠 형태의 수변생태벨트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해한 물질 제거뿐만 아니라 하천의 종·횡적 생태적 연결성을 높여주는 공간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변생태 벨트 혹은 수변완충녹지대는 수질정화기능 외에 생물다양성 및 생산성 등 생태적 기능이 높은 지역이다.
수변생태 벨트 혹은 수변완충녹지대가 생물다양성 및 생산성 등 생태적 기능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수변생태 벨트 혹은 수변완충녹지대는 수질정화기능 외에 생물다양성 및 생산성 등 생태적 기능이 높은 지역이다. 수변지역은 수상-육상, 습지-육지 등 생태학적 이행지대로서 많은 야생동식물이 서식하기 때문이다. 또한 하천변을 따라 존재하는 수변 지역은 야생동물의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해주는 것 외에도 야생동물의 개체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통로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최지용과 정유진, 2000). 이러한 이동통로가 단절될 경우, 서식지 사이에 연결고리가 없어져 야생 동물이 감소하거나 극단적 상황에서는 멸종하게 될 우려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원도(2011) 한강수계 수생태벨트 조성방안 연구. 

  2. 김동찬, 이정, 박익수(2000)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27(5), 138-149. 

  3. 국립환경과학원(2009)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4. 박봉진, 서영두, 강태호(2003) "우리나라의 하천 특성을 고려한 하천자연도 평가의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6호, 92-103. 

  5. 박병철, 신영철, 서애숙(2002) "GIS를 이용한 하천의 자연성 평가 -청주시 무심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5권 제1호, 48-57. 

  6. 박진원, 마호섭(2003) "양재천의 식생현황과 하천자연도 평가". 농업생명과학연구, 제37권 제2호, 57-70. 

  7. 이상호(2000) "안양천의 자연형 하천 설치구간 선정을 위한 하천 평가 기법적용에 관한 연구". 산업과학연구, 제9권, 90-103. 

  8. 조용현(1997) "우리나라 중소하천 코리도의 자연성 평가기법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25권 제2호, 73-82. 

  9. 최지용, 정유진(2000) 수질개선을 위한 수변녹지의 조성 및 관리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최지용, 이지현(2001) 도시지역의 수변녹지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1. 건설기술연구원(2005) 다기능하천실험사업. 

  12. 한승호, 조용현(2009) 하천 수변녹지 및 생태벨트 조성기술 개발, 하천과 문화, 제5권 제4호, 118-125. 

  13. 홍천군(2010) 통계연보. 

  14. Desbonnet, A., Pogue, P., Lee, V., and Wolff, N. (1994) Vegetated Buffers in the Coastal Zone: A Summary Review and Bibliography, Rhode Island Sea Grant, University of Rhode Island, Narragansett, RI. Coastal Resources Center Technical Report. 

  15. Dillaha, T.A., Reneau, R.B., Mostaghimi, S. and Lee, D. (1989). Vegetative filter strips for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control.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32, No. 2, 513-519. 

  16. Fennessy, M.S. and Cronk, J.K. (1997) The effectiveness and restoration potential of riparian ecotones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particularly nitrate. Critical Reviews in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7, No. 4, 285-317. 

  17. Fry, J., Steinerm, F.R., and Green, D.M. (1994) Riparian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in Arizo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 28, pp. 179-199. 

  18. 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LAWA) (2000) Gewaesserstrukturguetekartierung in der BRD. 1. Auf. Schwerin 

  19. Leopold, L.B. (1969) Landscape aesthetics. in Coast, D.R.(ed.), Landscape Assessment Stroudsberg, Penn. Down Hutchinson & Ross, pp. 46-58. 

  20. Magette, W.L., Brinsfield, R.B., Palmer, R.E., and Wood, J.D. (1989) Nutrient and sediment removal by vegetated filter strips. Transactions of the ASAE, Vol. 32, No. 2, 663-667. 

  21. Mander, U., Kuusemets, V. Lohmus, K., and Mauring, T. (1997). "Efficiency and dimensioning of riparian buffer zones in agricultural catchments. Ecological Engineering, Vol. 8, 299-324. 

  2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Watershed Management for Potable Water Supply 

  23. National Rivers Authority (1992) River corridor surveys, methods and procedures, Conservation Technical Handbook, No. 1, NRA, Bristol. 

  24. Nieswand, G.H., Hordon, R.M., Shelton, T.B., Chavooshian, B.B., and Blarr, S. (1990) Buffer strips to protect water supply reservoirs: A model and recommendations.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6, No. 6, 959-966. 

  25. Trimble, G.R. and Sartz, R.S. (1957) How far from a stream should a logging road be located?, Journal of Forestry, Vol. 55, 339-341. 

  26. Young, R.A. Huntrods, T., and Anderson, W. (1980) Effectiveness of vegetated buffer strips in controlling pollution from feedlot runoff.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Vol. 9, No. 3, 483-4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