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大韓土木學會論文集,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B. 수공학, 해안 및 항만공학, 환경 및 생태공학, v.32 no.6B, 2012년, pp.399 - 406
박진규 ((주)에코윌플러스) , 강정희 (안양대학교 환경공학과) , 반종기 (안양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남훈 (안양대학교 환경공학과)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greenhouse gas generation models and estimation method of their parameters for solid waste landfills. Two models obtained by differentiating the Modified Gompertz and Logistic models were employed to evaluate two parameters of a first-order decay model, 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을 위해 다양한 방법 제안 중 주로 사용한 방법과, 모델은 무엇인가? | 지금까지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주로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을 이용하는 양론적 방법과 폐기물의 분해를 1차 반응으로 가정한 1차 반응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을 이용한 양론적 방법의 경우 매립지 현장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적인 매립가스 발생량 평가에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에 산정이 필요한데 정확한 배출량을 측정하는 것은 왜 어렵나요? | 폐기물매립지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로 인한 주변 환경오염 저감과 및 온실가스 관리 등을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온실가스 배출량에 산정이 필요하다(배원재 등, 2009). 그러나 폐기물매립지에 매립되는 폐기물의 불균질성과 매립된 폐기물의 분해에 관여하는 인자가 많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 |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을 이용하는 양론적 방법이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은 평가는 무엇이며 이유는 무엇인가? | 지금까지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발생량 예측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주로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을 이용하는 양론적 방법과 폐기물의 분해를 1차 반응으로 가정한 1차 반응모델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을 이용한 양론적 방법의 경우 매립지 현장 조건 등을 고려하지 않아 실제적인 매립가스 발생량 평가에는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1차 반응모델의 경우 Scholl Canyon 모델, Palos Verdes 모델, Sheldon Arleta 모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안한 FOD(First order decay) 모델 및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서 개발한 LandGEM(Landfill gas emissions estimation model) 등이 잘 알려져 있는 모델이다(Cossu 등, 1996; IPCC, 2006; Alexander 등, 2005). |
김현욱 등(2008) 매립지 온실가스 현장 측정 및 연구, 연구보고서, 환경관리공단.
김혜진, 정새롬, 박진규, 이남훈(2008) Diauxic Growth를 고려한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생분해도 평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5권 제7호, pp. 652-658.
나제현, 배성진, 우진춘, 이동훈(2010) 폐기물 매립지의 메탄발생 속도상수(k) 산정 및 불확도 분석(사례 연구:국내 A매립지를 중심으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351-353.
박진규(2012) 폐기물매립지에서의 온실가스 예측 모델 및 변수 산정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안양대학교.
범봉수, 배제호, 조광명(2003) 적층매립시 전체매립층과 활성매립 층간의 적정 높이 비 결정, 대한환경공학회지, 대한환경공학회, 제25권 제1호, pp. 39-48.
배원재, 김승도, 정주영(2009)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생량 산정 및 예측에 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6권 제6호, pp. 572-579.
서동천, 이동훈, 한현수, 유만식, 서창일, 김낙주, 이남훈, 김승도 (2001) 매립가스 발생량의 현장측정을 통한 메탄발생속도상수(k)의 평가. 한국폐기물학회지, 한국폐기물학회, 제18권 제7호, pp. 580-589.
송상훈, 김홍규, 박진규, 이남훈(2011) 폐기물매립지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모델의 보정 및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8권 제4호, pp. 370-377.
송종석, 김승도(2006) 매립지에서의 메탄발생속도상수 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380-38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녹색기술연구센터(2011) 수도권매립지통계연감, 통계보고서, 2011-11-017-10,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신성호, 유병옥, 이준흥, 진병복, 윤완우, 백원석(2010) 현장측정을 통한 매립지 메탄배출량 산정 및 배출계수 개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연구회발표논문집,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pp. 377-379.
이남훈 등(2009) 매립가스 발생량 산정 및 CDM 사업연계방향 연구, 연구보고서, (주)건화 부설기술연구소.
전은정(2007) 폐기물매립지에서의 메탄 발생특성조사 및 발생량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조한상, 김재영, 천승규, 배영신(2007) 폐기물 종류별 매립가스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4권 제3호, pp. 226-233.
천승규(2010) 매립가스 일차분해 모델의 불확실성도 분석 연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제27권 제8호, pp. 726-732.
천승규 등(2011) 2010 수도권매립지 매립가스 발생량 현장 모니터링 및 발생특성 분석, 연구보고서, 2011-11-010-01,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Alexander, A. Burklin, C., and Singleton, A. (2005) Landfill Gas Emission Model (LandGEM) Version 3.02 User's Guide, Report, EPA-600/R-05/047, U.S.EPA, Washington, DC.
Amini, H.R., Reinhart, D.R., and Mackie, K.R. (2012) Determination of first-order landfill gas modeling parameters and uncertainties, Waste Management, Vol. 32, No. 2, pp. 305-316.
Cossu, R., Andreottola, G., and Muntoni, A. (1996) Modelling landfill gas production, Landfilling of Waste: Biogas, Christensen, T.H., Cossu, R. and Stegmann, R., E&FN SPON, London, pp. 237-268.
Garg, A., Achari, G., and Joshi, R.C. (2006) A model to estimate the methane generation rate constant in sanitary landfills using fuzzy synthetic evaluation, Waste Management & Research, Vol. 24, No. 4, pp. 363-375.
IPCC (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Report.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Japan.
Lay, J.J., Li, Y.Y. and Noike, T. (1998) Developments of bacterial population and methanogenic activity in a laboratory-scale landfill bioreactor, Water Research, Vol. 32, No. 12, pp. 3673-3679.
Machado, S.L., Carvalho, M.F., Gourc, J.P., Vilar, O.M. and Nascimento, J.C.F. (2009) Methane generation in tropical landfills: Simplified methods and field results, Waste Management, Vol. 29, No. 1, pp. 153-161.
Scharff, H. and Jacobs, J. (2006) Applying guidance for methane emission estimation for landfills, Waste Management, Vol. 26, No. 4, pp. 417-429.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