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희귀·특산식물 매미꽃의 분포와 자생지 식생특성 및 보전 지위 평가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a rare and endemic plant,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2, 2012년, pp.116 - 125  

손성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정재민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이병천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광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선주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특산식물인 매미꽃 자생 집단의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자생 집단의 분포와 식생환경 및 보전지위 평가를 수행하였다. 문헌자료 및 표본정보 수집과 현지조사를 통해 분포도를 작성한 결과 매미꽃은 지리산과 백운산 등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주로 한반도 남부지방에 집중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생 집단은 주로 해발 227~744 m의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경사는 $5{\sim}11^{\circ}$ 계곡의 중 하부 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8개 자생 집단에 대한 식생조사 결과 29개 조사구에서 총 238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각 조사구 내 초본층의 피도와 빈도를 기초로 매미꽃의 중요치를 산출한 결과 평균 25.34%로 나타났다. 8개 집단 내에 출현 종의 다양도는 평균 1.52였으며, 균등도와 우점도의 평균은 각각 0.83과 0.17로 산출되었다. 수집된 생물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IUCN 적색목록 기준에 의한 보전 지위를 평가한 결과 매미꽃은 Near Threatened(준위협종)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매미꽃 자생 집단의 지속가능한 보존을 위한 전략수립과 필수적인 기초연구의 내용 및 방법이 논의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n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the Korea endemic species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were investigated to collect biological basic data to formulate a conserv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map of C. hylomeconoides 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특산식물로서 중요한 유전자원이며, 분류학적 및 보전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매미꽃의 분포 범위와 자생지의 식생환경 특성 및 해당분류군의 보전 지위를 평가하여 향후 보전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특산식물이란 무엇인가? 한국 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s)은 한반도의 자연 환경에 적응진화 해 온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분포하는 유 일하고도 독특한 식물로,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귀중 한 유전자원이다(Kim, 2004). 특산식물은 과거에는 광범 위하게 분포하던 종이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분포역이 좁 아지게 된 잔존고유종(relic endemics)이거나, 새로운 국지 적 종 분화에 의해 형성된 신고유종(neo-endemics)이기 때 문에, 개체군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소집단 상태를 유지하 는 경향을 보이며(Oh et al.
매미꽃의 자생 집단이 가장 넓게 형성된 지역은 어디인가? 조사된 자생지 중에서 지리산 지역이 가장 넓게 큰 집단 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그중 산청과 하동집단은 계곡을 따라서 등산로 주변과 숲틈 등의 나출지에 불연속적으로 각각 10,000개체와 3,000개체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다. 광 양의 백운산 지역도 계곡을 따라서 작은 아집단을 형성하 며 약 8,000개체 이상의 개체들이 불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특산식물이 보전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 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s)은 한반도의 자연 환경에 적응진화 해 온 세계적으로 한국에만 분포하는 유 일하고도 독특한 식물로,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귀중 한 유전자원이다(Kim, 2004). 특산식물은 과거에는 광범 위하게 분포하던 종이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분포역이 좁 아지게 된 잔존고유종(relic endemics)이거나, 새로운 국지 적 종 분화에 의해 형성된 신고유종(neo-endemics)이기 때 문에, 개체군의 크기가 축소되거나 소집단 상태를 유지하 는 경향을 보이며(Oh et al., 2005),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보전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rbour, M. G., J. H. Burk and W. 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2nd. The Benjamin Publishing Company, Inc., California.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Pp. 865. 

  3. Bray, J. R. and J. T. Curtis. 1957. An ordination of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 325-349. 

  4. Brower, J. E. and J. 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5. Chang, C. S., H. Kim and Y. S. Kim. 2001.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 Pl. Taxon. 31: 107-142 (in Korean). 

  6. Choi, S. H., J. O. Kwon and K. J. Song. 2000.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Daewon Valley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3: 354-366 (in Korean). 

  7. Choi, J. H., K. W. Kwon and J. C. Chung. 2002. Effect of artificial shade treatment on the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several deciduous tree species. J. Kor. For. En. 21: 65-75 (in Korean). 

  8. Chung, T. H. 1956. Korean Flora. Shinjisa, Seoul (in Korean). 

  9. Cox, G. W. 1972.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 Publ., Iowa, Pp. 232. 

  10.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11. Dierssen, K. 1990. Einfhrung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Pp. 241. 

  12.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T.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In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4(1) Waltel, H. (Hrsg). Stuttgart. Pp 136. 

  13.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 Version 3.1. Prepared by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http://www. iucn.org/themes/ssc. 

  14. Jang, S. K., K. S. Cheon, J. H. Jeong, Z. S. Kim and K. O. Yoo. 2009.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Habitats. Korean J. Environ. Biol. 27: 314-322 (in Korean). 

  15. Kim, M. Y., S. Y. Kwon and K. R. Park. 1999. Reexamination the generic status of the Korean endemic Coreanomecon within subfamily Chelidinioideae (Papaveraceae). Korean J. Pl. Taxon. 29: 295-305 (in Korean). 

  16. Kim, M. 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in Korean). 

  17. Kim, K. A., S. K. Jang, K. S. Cheon, W. B. Seo and K. O. Yoo. 2010.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s of Abelia tyaihyoni Nakai. Korean J. Pl. Taxon. 40: 135-144 (in Korean). 

  18. Kim, S. S., J. H. Lee and J. M. Chung. 1989. Report on the survey of rare plant in Mt. Jiri.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namdo Sancheonggun, Jinju (in Korean). 

  19. Kim, Y. S. and T. U. Kim. 1990. The Conservation of Rare Endangered Plants and The Role of Botanic Gardens and Arboreta in Korea. Seoul National Univ. Coll. of Agric. Res. 15: 33-47 (in Korean). 

  20. Kim, Y. S. 1994. The Necessity of Evaluation Criteria Selections for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Kor. J. Env. Eco. 8: 1-10 (in Korean). 

  21. Kim, Y. S., S. H. Chon and K. H. Kang. 1996. Floristic Study of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3: 354-633 (in Korean). 

  22. Korea National Arboretum,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4. Lee, C. S., J. H. Kim, H. Yi and Y. H. You. 2004. Seedling establishment and regeneration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99: 423-432. 

  25. Lee, C. S., Y. C. Cho, H. C. Shin, C. H. Lee, S. M. Lee, E. S. Seol, W. S. Oh and S. A. Park. 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on Mt. Nam as a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LTER) Site. J. Ecol. Field Biol. 29: 593-602 (in Korean). 

  26. Lee, H. W. and C. S. Lee. 2006.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the invasive alien species of tree of heaven (Alianthus altissima) in Seoripool Park, Seoul. Integrative Biol. Sci. 10: 27-40. 

  27. Lee, S. T. and M. Y. Kim. 1984. A palynotaxonomic study of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Papaveraceae) and its closely related species. Korean J. Pl. Taxon. 14: 181-186 (in Korean). 

  28.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9.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30. Lee, Y. M., S. H. Park, S. Y. Jung, S. H. Oh and J. 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 87-101 (in Korean). 

  31. Lee, Y. N. 1973. Taxonomoc Study on genus Hylomecon. J. Korean Res. Inst. Better Living. 11: 127. 

  32.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14-155 (in Korean). 

  33. Nakai, T. 1935.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J. Jap. Bot. 11: 151. 

  34. Oh, B. U., D. G. Jo, K. S. Kim and C. 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35. Oh, S. Y. 1985. The Enumerative and Phytogeographical Studies of Papaveraceae in Korea. Res. Rev. Kyungpook Nat. Univ. 40: 99-133 (in Korean). 

  36. Ohwi, J. 1953. Flora of Japan. Smithsonian Inst., Washington. Pp. 474-475. 

  37. Park, M. K. 1974. Keys to the Herbaceous Plants in Korea. Chungenmsa, Seoul. 

  38. Pielou, E. C. 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385. 

  39. Shannon, C. 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Illinois. 

  40. Simpson, E. 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41. Turner, D. P. and E. H. Franz. 1986. The Influence of Canopy Dominants on Understory Vegetation Patterns in an Old- Growth Cedar-Hemlock Forest. American Midland Naturalist 116: 387-393. 

  42. Whittacker, R. H. 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250-260. 

  43. Yun, C. W. and S. C. Hong. 2000. Quantitative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in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Korean J. Ecol. 23: 281-291 (in Korean). 

  44. Yun, C. W., H. J. Kim, B. C. Lee, J. H. Shin, M. Y. Hee and J. H. Lim. 2011. Characteristic Community Type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South Korea. Jour. Korean For. Soc. 100: 504-221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