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배식물인 강화약쑥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외부형태가 유사한 쑥속식물을 대상으로 외부형태 비교와 ITS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지금까지 강화약쑥의 기원식물은 쑥으로 알려져 왔으나, 잎의 외부형태에서 1-2회 우상 중열 또는 심열하고 잎 표면에 백색선모가 분포하는 특징은 황해쑥의 잎과 동일하였으며, ITS분석에서도 강화약쑥은 쑥과 유집되지 않고 황해쑥과 더 가깝게 유집되었다. 따라서 강화약쑥은 쑥이 아닌 황해쑥에서 기원된 재배식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ming to determine the taxonomic identity of Gang-hwa-yak-ssuk as a cultivated plant, this study analyzes ITS sequences and compares their external morphologies with the genus Artemisia, which have a similar external morphology. Thus far, we have considered A. indica as the original plant of Gan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원에 있어서 혼란이 있는 강화약쑥의 외부형태형질,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를 토대로 기원식물을 명확히 밝히고, 강화약쑥의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함으로서 다양한 응용분야에 활용되었을 때 정확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쑥속이란? 쑥속(Artemisia L.)은 국화과(Asteraceae), 국화족(Anthemideae) 내에 속하는 가장 큰 속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종과 종하분류군을 포함하여 500여 분류군 이상이 주로 북반구의 중·고위도 온대성 기후지역에 넓게 분포하며, 일부 분류군이 한대성 기후지역과 건조지역, 남반구지역에 각각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cArthur,1979; Ling, 1991, 1992, 1995a, b; Heywood and Humphries,1977; Bremer and Humphries, 1993).
쑥속식물의 동정이 어려운 이유는? 쑥속식물은 분류군간의 형태적인 유사성으로 동정이어려울 뿐만 아니라 지리적 혹은 동일집단 간에도 외부형태학적 변이가 다양하여, 분류군에 대한 한계설정의 문제로 학명에 대한 이견 또한 다양한 실정이다.이러한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기원이 명확하지 않는 쑥속식물을 대상으로 민간 또는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오용되고 있다.
강화약쑥의 기원식물을 명확히 밝히고,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해서 외부형태학적 연구를 진행한 방법은? 외부형태학적 연구는 동일 집단에서 성숙하여 개화한개체를 대상으로 건조표본, 액침표본, 생체재료 등을 사용하여 영양기관과 생식기관의 형태형질을 중심으로 관찰·촬영(해부현미경; Olympus AX-70, Japan; OlympusDP2-BSW, Germany)하였고, 주요형질은 도해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onymous. 2007. Artemisia princeps in Ganghwa.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2. Bremer, K. and C. J. Humphries. 1993. Generic Monograph of the Asteraceae- Anthemideae. Bull. Nat. Hist. Mus. London (Bot.) 23: 71-177. 

  3. Chung, T. H., P. S, To and H. J. Sim. 1949. Nomina Plantarum Koreanum I. Chosen Biology Society. Seoul (in Korean). 

  4. Farris, J. S., M. Kallersjo, A. G. Kluge and C. Bult. 1995. Testing significance of incongruence. Cladistic 10: 315-319. 

  5. Felsen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6. Heywood, V. H. and C. J. Humphries. 1977. Anthemideae-Systematic review. In The Biology and Chemistry of the Compositae. Heywood, V. H., C. J. Humphries and B. L. Turner. (eds.). Academic Press, London. Pp. 851-898. 

  7.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on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8. Koyama, H. 1993. Artemisia. In Flora of Japan, Vol. IIIb. Iwatsuki, K., T. Yamazaki, D.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Tokyo. Pp. 79-88. 

  9. Lee, J. H., C. B. Park, C. G. Park and S. G. Moon. 2010. A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Artemisia L. based on ITS sequences. Korean J. Plant Res. 23(4): 293-302. 

  1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755-761 (in Korean). 

  11.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1082-1098 (in Korean). 

  12. Ling, Y. R. 1991. The old world Seriphidium (Compostae). Bull. Bot. Lab. N. E. Forest. Inst. (Harbin) 11: 1-40. 

  13. Ling, Y. R. 1992. The old world Artemisia (Compostae). Bull. Bot. Lab. N. E. Forest. Inst. (Harbin) 12: 1-108. 

  14. Ling, Y. R. 1995a. The new world Artemisia L. In Advances in Compostae Systematics. Hind, D.J.N., C. Jeffrey and G.V. Pope (eds.), Roy. Bot. Gard. Kew. Pp. 255-281. 

  15. Ling, Y. R. 1995b. The new world Seriphidium (Besser) Fourr. In Advances in Compostae Systematics. Hind, D.J.N, C. Jeffrey and G.V. Pope (eds.), Roy. Bot. Gard. Kew. Pp. 283-291. 

  16. Ling, Y. R., C. J. Humphries and L. Shultz. 2006. Artemisia Linnaeus, In Flora of China. Vol. 20 (Asteraceae). Wu, Z.Y, P.H. Raven and D.Y.Hong (eds.), Beijing, Science Press, and St. Loui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17. Maddison W. P. and D. R. Maddison. 2003. MacClade, Sinauer Associate. Inc. 

  18. McArthur, E. D. 1979. Sagebrus systematics and evolution. In sagebrush Ecosystem Symposium. Anonymous (ed.), Logan, Utah State University. 

  19. Park, M. S, K. N. Hong, J. A. Eom and G. Y. Chung. 2010. Taxonomic study on the capitulum morphology of Korean Artemisia (Compositae). Korean J. Pl. Taxon. 40(1): 27-42. 

  20. Saitou, N. and M. Nei.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ec. Biol. Evol. 4: 406-425. 

  21.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G. Higgins. 1997. The Clustal X window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25: 4876-4882. 

  22. White T., I. T. Burns ,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Pp. 315-322.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 and applications (eds.)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 White, T.J., Academic Press San Diego.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