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부형태와 ITS 염기서열에 기초한 한국산 비짜루속 식물의 분류학적 고찰
Systematic study of Korean Asparagus L. based on morphology and nuclear ITS sequence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2 no.3, 2012년, pp.185 - 196  

조성현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영동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Asparagus L. (비짜루속)을 대상으로 외부형태 형질을 재검토하고 ITS 염기서열을 사용한 계통분석을 실시하였다. 외부형태를 분석한 결과 엽상경의 형태, 소화경의 길이, 화피의 형태 등이 종을 식별하는 데 중요한 형질이었으며, 남한에는 최근에 분포가 확인된 A. davuricus Fisch. and Link (망적천문동)을 포함하여 총 다섯 종의 Asparagus가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분류군별로 5 내지 24 개체를 포함하여 수행한 ITS 염기서열 계통분석에서 각 분류군은 모두 단계통군을 이루었다. 특히 A. schoberioides Kunth (비짜루)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는 A. rigidulus Nakai (노간주비짜루)는 A. shoberioides와 8개의 뉴클레오티드 자리에서 차이를 보이면서 독자적인 단계통군을 형성하였다. 독도, 제주도 및 중남부 해안에 주로 자라는 A. rigidulus의 소화경은 내륙에 분포하는 A. schoberioides에 비해 약 2배 길었다. 두 종의 형태적, 지리적, 계통 유전학적 차이는 A. rigidulus를 A. schoberioides와 다른 독립된 종으로 인정해야 함을 말해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rphological and geographical examinations as well as phylogenetic analyses using ITS sequences were performed for Asparagus L. in Korea. A total of five species of Asparagus were confirmed to be distributed in South Korea. The shape of cladophylls, length of pedicels, and shape of perianth wer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aimed to reexamine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Korean Asparagus taxa, and to discuss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using the DNA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ITS regions.

가설 설정

  • 2. Pedicels longer than 8.1 mm, fruit diam. 8−10 mm       A.
  • 2. Pedicels shorter than 7.1 mm, fruit diam. 5−8 mm       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varez, I. and J. F. Wendel. 2003. Ribosomal ITS sequences and plant phylogenetic inference.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9: 417-434. 

  2. Chen, X. and K. G. Tamaian. 2000. Asparagus L. In Flora of China Vol. 24. Wu, Z.-Y.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Pp. 208-213. 

  3. Clifford, H. T. and J. G. Conran. 1987. Asparagaceae. In Flora of Australia. George, A. S. (ed.),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Canberra. Pp. 159-164. 

  4. Dellaporta, S. L. and A. Calderon-Urrea. 1933. Sex determination in flowering plants. The Plant Cell 5(10): 1241-1251. 

  5. Feliner, G. N. and J. A. Rossell. 2007. Better the devil you know? Guidelines for insightful utilization of nrDNA ITS in specieslevel evolutionary studies in plant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44: 911-919. 

  6.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7. Fukuda, T., H. Ashizawa, R. Suzuki, T. Ochiai, T. Nakamura, A. Kanno, T. Kameya and J. Yokoyama. 2005. Molecular phylogeny of the genus Asparagus (Asparagaceae) inferred from plastid petB intron and petD-rpoA intergenic spacer sequences. Plant Species Biology 20: 121-132. 

  8. Galli, M. G., M. Bracale, A. Falavigna, F. Raffaldi, C. Savini and A. Vigo. 1993. Different kinds of male flowers in the dioecious plant Asparagus officinalis L. Sexual Plant Reproduction 6: 16-21. 

  9. Il'in, M. M. 1968. Asparagus L. In Flora of U.S.S.R. Vol. 4. Komarov, V. L. (ed.), Bishen sigh Mahendra Pal Singh and Koeltz Scientific Books. Pp. 325-339. 

  10. Im, R. J. 2000. Flora Coreana. The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Korea. 

  11. Kim, Y.-I. and Y.-D. Kim. 2011.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Chrysosplenium series Pilosa (Saxifragaceae) in Korea. Journal of Plant Biology 54: 396-401. 

  12. Kim, Y. S. and B. U. Oh. 1985. A systematic study on Liliaceae in Korea III. Karyology of genus Asparagu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5: 1-12. (in Korean) 

  13. Kim, Y. S. and W. T. Lee. 1985. A systematic study on Liliaceae in Korea IV. Anatomical study of genus Asparagu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15: 13-24. (in Korean) 

  14.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 of the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16: 111-120. 

  15. Kitagawa, M. 1939. Lineamenta Florae Manshuricae. Institute of Scientific Research. Manchoukuo. 3 (Appendix): 133-134. 

  16. Komarov, V. L. 1901. Flora Manshuriae I. Acta Horti Petropolitani. 20: [I]-559. 

  17. Kubitzki, K. and P. J. Rudall. 1998. Asparagaceae. In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Kubitzki, K. (ed.), Berlin. 3: 125-129. 

  18. Lee, N. S. 2007. Asparagus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292-1293. 

  19. Lee, T. 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20.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Korea. (in Korean) 

  21. Lee Y. O., A. Kanno and T. Kameya. 1997.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genus Asparagus based on the restriction enzyme analysis of the chloroplast DNA. Japanese Journal of Breeding 47: 375-378. 

  22. Maddison, D and W. Maddison. 2002. MacClade*. Analysis of Phylogeny and Character Evolution. 4.03 PPC ed.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U.S.A. 

  23. Makino, T. 1905. Observations on the flora of Japan. 5: 1-73. 

  24. Nakai, T. 1913. De nonnulis Asparagis et Alliis Japonicis et Coreanis. Botanical Magazine (Tokyo) 27: 213-216. 

  25. Nakai, T. 1923. Notulae ad plantas Japoniae et Koreae XXX. Botanical Magazine (Tokyo) 37: 69-82. 

  26. Noda, M. 1971. Flora of the North-Eastern province (Manshuria) of China. Kazama, Tokyo. Pp. 272-274. 

  27. Ohwi, J. 1972. Flora of Japan. Tokyo. Pp. 1560. 

  28. Okuyama, Y. and M. Kato. 2009. Unveiling cryptic species diversity of flowering plants: successful biological species identification of Asian Mitella using nuclear ribosomal DNA sequences. BMC Evolutionary Biology 9: 105. 

  29.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IV. Acta Horti Petropolitani 19: 101-151. 

  30. Stajner, N., B. Bohanec and B. Javornik. 2002. Genetic variability of economically important Asparagus species as revealed by genome size analysis and rDNA ITS polymorphisms. Plant Science 162: 931-937. 

  31. Swofford, D. L. 2001.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 ver.4.0b1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32.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D. G. Higgins. 1997.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earch 25: 4876-4882. 

  33. Yabe, Y. 1903. Liliaceae Koreae Uchiyamanae. Botanical Magazine (Tokyo) 17: 133-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