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과 무릎관절 자세 특성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Foot and Knee Posture Characteristics in Knee Osteoarthritis Peopl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4, 2012년, pp.433 - 442  

김성환 (서문의원 물리치료실) ,  김선엽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호봉 (제주한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o correlation between foot and knee posture characteristics in knee osteoarthritis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3 patients with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confirmed knee osteoarthritis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adriceps angle (QA),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측구획의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의 자세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 자세 지수, 발배뼈 하강, 발배뼈 수직 높이, 발의 아치 지수를 사용하여 평가 도구의 효과 크기(effect size)를 비교한 결과 4가지 평가 도구 중 발배뼈 하강 검사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다고 하였다(Levinger 등,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배뼈 하강 검사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직자와 평가지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앉은 자세와 서 있는 자세에서의 발배뼈 위치를 평가지에 표시를 하고 높이를 측정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무릎관절과 발의 자세 특성을 알아보고, 발의 자세와 무릎관절의 자세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중재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무릎관절의 자세평가를 위하여 넙다리네갈래근 각과 무릎사이간격을 측정하였다. 발의 자세 평가를 위해서는 발목관절 발등굽힘 각도를, 기능적 자세평가로 발배뼈 하강 검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자세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용한 각 측정방법의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동일한 측정자에 의해 각 측정변수를 3회 반복 측정하였고, 두 명의 측정자가 동일 대상자의 자세특성을 반복 측정하여 측정된 자료로 측정자내와 측정자간 신뢰도를 각각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측정방법들의 신뢰도가 .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발과 무릎관절의 자세 특성을 조사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측정한 변수는 넙다리네갈래근 각과 무릎사이거리 그리고 발목관절 발등굽힘 각도와 발배뼈 하강 검사를 측정하였고 상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무릎관절과 발의 자세 특성을 알아보고, 발의 자세와 무릎관절의 자세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치료적 중재에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셋째, 무릎관절 뼈 관절염 환자의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넷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무릎사이간격은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 각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첫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배뼈 하강 수준은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각(quadriceps angle)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배뼈 하강 수준과 무릎사이간격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무릎관절 뼈 관절염 환자의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둘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배뼈 하강 수준과 무릎사이간격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셋째, 무릎관절 뼈 관절염 환자의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넷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무릎사이간격은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 각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배뼈 하강 수준은 발목관절 각도와 넙다리네갈래근각(quadriceps angle)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둘째,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발배뼈 하강 수준과 무릎사이간격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뼈관절염은 언제 발생하는가? 1%이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연령이 증가하고, 비만일수록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Cho 등, 2009). 뼈관절염은 활막관절의 구조적, 기능적 상실을 초래하는 다양한 질병들의 임상적, 병리학적 결과이며, 관절조직의 파괴와 복구의 균형이 깨어질 때 발생한다 (Nuki, 1999). 뼈관절염의 호발 부위는 무릎관절이며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는 노화뿐만 아니라 무릎관절 주위의 손상, 비만, 안굽이ㆍ밖굽이 무릎(genu varumㆍ genu varus) 등의 해부학적 부하축에 이상, 감염증 또는 여러 가지 관절염 등에 의해서도 촉진된다(KOA, 2006).
무릎관절 뼈관절염의 특성은? 일반적으로 무릎관절 뼈관절염의 특성은 안굽이 무릎 혹은 밖굽이가 동반된 비정상적인 무릎관절의 체중부하에 의해 나타나며, 이러한 퇴행성 변화는 뼈관절염을 더 진행시키는 악순환을 일으킨다(Mankin, 1982; Kettekamp 등, 1975). 이것은 무릎관절 뼈관절염 환자의 관절 특정 부위와 구획에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관절연골에는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게 된다(Roemhildt 등, 2010; White 등, 1991).
무릎관절 뼈관절염에서 무릎관절 내측 구획에 강한 역학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까닭은? 무릎관절 뼈관절염은 일반적으로 무릎관절 내측 구획에 강한 역학적 스트레스를 일으킨다(Ledingham 등, 1993; Ahlbäck 등, 1968). 이것은 보행 시에 관절을 가로지르는 전단력이 외측 구획과 비교해서 내측 구획에 더 큰 힘이 가해지기 때문이다(Shipplein 과 Andriacchi, 1991). 안굽이 무릎 변형은 내측 구획에 증가된 부하를 가하게 되고, 이것은 내측 관절공간의더 큰 상실을 초래하게 되어, 더 큰 안굽이 무릎 변형을 유발하게 되는 악순환 고리를 형성하게 된다(Wada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lback S. Osteoarthrosis of the knee. a radiographic investigation. Acta Radiol Diaqn (Stockh). 1968;Suppl277:7-72. 

  2. Bush PG, Huntley JS, Brenkel IJ et al. The shape of things to come: chondrocytes and osteoarthritis. Clin Invest Med. 2003;26(5):249-51. 

  3. Brody DM. Techniques in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he injured runner. Orthop Clin North Am. 1982;13(3):541-58. 

  4. Cho HJ, Chang CB, Jung JW et al. Prevalence of radiographic knee osteoarthriits in elderly koreans. Knee Surg Relat Res. 2009;21(4):223-31. 

  5. Delgado ED, Schoenecker PL, Rich MM et al. Treatment of severe torsional misalignment syndrome. J Pediatr Orthoep. 1996;16(4):484-8. 

  6. Felson DT, Lawrence RC, Dieppe PA et al. Osteoarthritis: new insights. Part 1: The disease and its risk factors. Ann Intern Med. 2000;133(8):635-46. 

  7. Goker B & Block JA. Improved precision in quantifying knee alignment angle. Clin Orthop Relat Res. 2007;458:145-9. 

  8. Han SM. A study on the effect of correction exercise on the space between knees of genu varum lower limbs deformation. Graduate School of Sports Industry Kookmin Univ. Master's thesis. 2009. 

  9. Kettelkamp DB, Leach RE & Nasca R. Pitfalls of proximal tibial osteotomy. Clin Orthop Relat Res. 1975;(106):232-41. 

  10. Kim JU, Lee EH, Koh GH et al. The effect of navicular drop on the clinical measures of lower extremity alignment. The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Therapy. 2010;16(1):1-8. 

  11. KOA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Orthopedics. 6th ed. Newest Medicine Company. 2006. 

  12. Ledingham J, Regan M, Jones A et al. Radiographic patterns and associations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in patients referred to hospital. Ann Rheum Dis. 1993;52(7):520-6. 

  13. Lee WC, Park HS, Han YK et al. Measurement of the dorsiflexion range in the ankle. The Korean Journal of Sprots Medicine. 1998;16(1)29-34. 

  14. Levinger P, Menz HB, Fotoohabadi MR et al. Foot posture in people with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J Foot Ankle Res. 2010;3(1):29. 

  15. Lindenfeld TN, Hewett TE & Andriacchi TP. Joint loading with valgus bracing in patients with varus gonarthrosis. Clinal orthop Relat Res. 1997;(344):290-7. 

  16. Mankin HJ. The response of articular cartilage to mechanical injury. J Bone joint Surg Am. 1982;64(3):460-6. 

  17. Neumann D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osby. 2010. 

  18. Norkin CC & White DJ. Measurement of Joint Motion. F.A.DavisCompany. 2003. 

  19. Nuki G. Osteoarhritis: A problem of joint failure. Z Rheumatol. 1999;58(3):142-7. 

  20. Olerud C & Berg P. The variation of the Q angle with different positions of the foot. Clin Orthop Relat Res. 1984;(191):162-5. 

  21. Paulos L, Rusche K, Johanson C et al. Patellar malaligment. a treatment rationale. Phys Ther. 1980;60(12):1624-32. 

  22. Plisky MS, Rauh MJ, Heiderscheit B et al. 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in high school cross-country runners: Incidence and risk factor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7;37(2):40-7. 

  23. Reilly K, Barker K, Shamley D et al. The role of foot and ankle assessment of patients with lower limb osteoarthritis. Physiotherapy. 2009;95(3):164-9. 

  24. Reilly K, Barker K, Shamley D et al. Influence of foot characteristics on the site of lower limb osteoarthritis. Foot Ankle Int. 2006;27(3):206-11. 

  25. Roemhildt ML, Coughlin KM, Peura GD et al. Effects of increased chronic loading on articular cartilage material properties in the lapine tibio-femoral joint. J Biomech. 2010;43(12):2301-8. 

  26. Sahrmann S. Movement system impairment syndromes of the extremities, cervical and thoracic spines. C V Mosby Co. 2011. 

  27. Schipplein OD & Andriacchi TP. Interaction between active and passive knee stabilizers during level walking. J Orthop Res. 1991;9(1):113-9. 

  28. Shrader JA, Popovich JM Jr, Gracey GC et al. Navicular drop measurement in people with rheumatoid arthritis: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J Phys Ther. 2005;85(7):656-64. 

  29. Sharma L, Song J, Felson DT et al. The role of knee alignment in disease progression and functional decline in knee osteoarthritis. JAMA. 2001;286(2):188-95. 

  30. Shultz SJ, Carcia CR, Gansneder BM et al. The independent and interactive effects of navicular drop and quadriceps angle on neuromuscular responses to weight-bearing perturbation. J Athl Train. 2006;41(3):251-9. 

  31. Wada M, Imura S, Nagatani K et al. Relationship between gait and clinical results after high tibial osteotomy. Clin Orthop Relat Res. 1998;(354):180-8. 

  32. White SH, Ludkowski PF & Goodfellow JW. Anteromedial osteoarthritis of the knee. J Bone Joint Surg Br. 1991;73(4):582-6. 

  33. Woodland LH & Francis RS. Parameters and comparisons of quadriceps angle of college-aged men and women in the supine and standing positions. Am J Sports Med. 1992;20(2):208-11. 

  34. Woolf AD & Pfleger B. Burden of major musculoskeletal conditions. Bull World Health Organ. 2003;81(9):646-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