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장애 특성에 따른 접촉 감각 자극이 두점 구별, 손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actile Stimulation on Two Point Discrimination, Hand Function, and ADL in Impaired Characteristics of Stroke Patient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4, 2012년, pp.481 - 491  

송보경 (보바스기념병원 성인재활센터 작업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find out the effect of improved two point discrimination (TPD), hand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performance through tactile stimulus of upper limb (U/L) in impaired characteristics of stroke METHODS: We selected 26 stroke patients in BMH who has problems with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측 무시, 체감각 손상 및 근 약화 등의 여러 가지 장애 특성을 가진 26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손의 접촉, 고유 감각 등의 감각 자극을 통하여 두점 구별, 손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Smania 등(2003)이 제안하여 수정한 6주간의 접촉 자극은 세 치료군의 두점 구별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는 편측무시, 감각 및 운동 손상의 특성을 가진 뇌졸중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편측무시군 9명, 감각운동손상군 11명, 운동손상군 6명으로 구성하여 6주간 주5회의 물리, 작업치료와 별도의 주3회 접촉감지, 접촉구별 자극을 통하여 두점 구별, 손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효과를 알아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된 6주간 손의 접촉 자극은 구점 구별과 같은 감각 기능 향상에 기여하였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특성을 따라 크게 편측무시군, 감각운동손상 및 운동손상군으로 분류하여 감각 기능과 손 기능에 어떠한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았다. 상지와 손 기능은 손 뻗기 요소와 물건 조작에 필요한 손의 쥐기, 조작 요소로 설명할 수 있다.
  • 하지만 장애 특성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체감각 자극을 통한 감각, 손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력의 증진 효과를 설명한 연구는 적었다. 이에 본 연구는 편측무시, 감각 및 운동 손상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에게 접촉 자극이 치료 전, 후 두점 구별, 손 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뇌졸중의 발병일이 3개월에서 12개월 사이로 다시 재발하지 않은 자(Julkunen 등, 2005). 3) 환자의 나이가 65세 이하인 자. 4) 혼자서 앉아있거나 보행이 가능한 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 기능 평가의 장점은?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은 일본 동북대학교 재활의학과에서 개발한 손 기능 평가(MFT)를 사용하였다. 본 검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 기능 및 동작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 상지의 운동 기능회복 정도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상지를 각각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Nakamura 등, 1994). 검사 내용으로는 상지 운동(4항목), 쥐기(2항목), 손가락 조작(2항목) 등으로 어깨의 자발적 운동 각도를 통한 근력 평가, 손의 움직임 범위 정도, 쥐기 능력, 운반 능력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뇌졸중의 특징은? 뇌졸중은 임상적으로 뇌의 침범부위에 따라 감각, 운동, 인지, 지각, 언어기능의 손상 및 의식수준의 변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손상을 일으키며 일반적으로 뇌에 병변이 발생한 부위의 반대편에 감각 손상과 근 약화의 특징을 갖는다(Dombovy 등. 1986).
감각 손상과 근 약화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특징은? 이중 감각 손상을 동반한 뇌졸중 환자의 50%가 접촉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의 손상과 같은 체감각 손상이었고 감각 손상과 운동 기능의 문제를 동시에 가지는 뇌졸중 환자의 예후는 순수하게 운동 기능에만 문제가 있는 뇌졸중 환자보다 기능이 저하 된다고 하였다(Lin 등, 2004; Winward 등, 2002). 감각 손상과 근 약화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는 자세의 비대칭성, 체중이동 능력의 감소, 자세 조절의 어려움 및 보행에 어려움을 갖으며 특히 상지의 체감각 손상은 손의 촉각인식의 결여, 물건의 조작 능력 부족, 물건을 쥘 때 힘 조절의 어려움과 손과 상지의 비사용으로 인하여 상지기능의 저하로 이어진다(Smania 등, 2003; Johannsen 등, 2006). 이러한 자세조절 및 상지기능 저하는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어려움으로 연결되는데 이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인 고통을 주고 활동 저하에 따른 의욕 상실과 활동의 의존성으로 인한 기능 수행의 좌절감을 갖는다(Pedretti와 Early,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ain L, Helene P & Sylvie N. Task-oriented intervention in chronic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6;85(10): 820-30. 

  2. Boggio PS, Nunes A, Rigonatti SP et al. Repeated sessions of noninvasive brain DC stimulation is associated with motor function improvement in stroke patients. Restor Neurol Neurosci.2007;25(2):123-9. 

  3. Cirstea MC & Levin MF. Compensatory strategies for reaching in stroke. Brain. 2000;123(5):940-53. 

  4. Dombovy ML, Sandok BA & Basford JR. Rehabilitation for stroke: a review. Stroke. 1986;17(3):363-9. 

  5. Filiatrault J, Arsenault AB, Dutil E et al. Motor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s: a study of three tests for persons with hemiplegia. Am J Occup Ther. 1991;.45(9):806-10. 

  6. Haines I & Duane E. Fundamental neuroscience for basic and clinical applications. 3rd ed. Philadelpia. Churchill Livingstone. 2006. 

  7. Johannsen L, Broetz D & Karnath HO. Leg orientation as a clinical sign for pusher syndrome. BMC Neurol. 2006;6(1):30. 

  8. Julkuken L, Tenvno O, Jaaskelainen SK et al. Recovery of somatosensory deficits in acute stroke. Acta Neurol Scand. 2005;111(6):366-72. 

  9. Jung HY, Park BK, Shin HS et al.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 Korean Acad Rehabil Med. 2007;31(3):283-97. 

  10. Kim MY. A study of manual functional test for C.V.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94;2(1):19-26. 

  11. Kotila M, Waltimo O, Niemi M et al. The profile of recovery from stroke and factors influencing outcome. Stroke. 1984;15(6):1039-44. 

  12. Lee TY & Kim JW. Factor analysis of elemets affect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94;2(1):19-26. 

  13. Lin JH, Hsueh IP, Sheu CF et a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nsory scale of the fugl-meyer assessment in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2004;18(4):391-7. 

  14. Matjacic Z, Hesse S & Sinkjaer T. Balance retrainer: a new standing-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applied to a chronic hemiparetic subject with a neglect syndrom. Neuro Rehabilitation. 2003;18(3):251-9. 

  15. Miyamoto S, Kondo T, Suzukamo Y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nual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Am J Phys Med. 2009;88(3):247-55. 

  16. Nakamara H, Jorgenson HS, Raaschou HO et al. Compensation in recovery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fter stroke: the copenhagen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0):852-7. 

  17. Olson E, Stark M & Chatterjee A. Evidence for a unimodal somatosensory attention system. Exp Brai Res. 2003;151(1):15-22. 

  18. Pastor MA, Macaluso E, Day BL et al. The neural basis of temporal auditory discrimination. Neuroimage. 2006;30(2):512-20. 

  19. Pedretti LW & Early MB.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 St Louis Mosby. 2001. 

  20. Shah S & Muncer S. Sensitivity of shah, vanclay and cooper's modified barthel index. Clin Rehabil. 2000;14(5):551-2. 

  21. Shah S, Vanclay F & Cooper B.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 Clin Epidemiol. 1989;42(8):703-9. 

  22. Shumway-Cook A &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 & Wilkins. 2007. 

  23. Sim HS. One year follow up study of the MMSE-K in the elderly. Korea Univeris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998. 

  24. Smania N, Montagnana B, Faccioli S et al. Rehabilitation of somatic sensation and related deficit of motor control in patients with pure sensory st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1):692-702. 

  25. Smith A. Beware of the barthel. Physiotherapy. 1993;79(12):12-3. 

  26. Tamura Y, Hoshiyama M, Inui K et al. Central mechanisms for two-point discrimination in humans. Neurosci Lett. 2003;342(3):187-90. 

  27. Winward CE, Halligan PW & Wade DT. The rivermead assessment of somatosensory performmance (RASP): standardization and reliability data. Clin Rehabil. 2002;16(5):523-33. 

  28. Yekutiel M & Guttman E. A controlled trial of the retraining of the sensory function of the hand in stroke patient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93;56(3):24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