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계만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개체수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Taxonom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in the Chunggye Bay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1 no.3, 2012년, pp.313 - 326  

정병관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지성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embankments, namely Changpo, Bokkil and Guil, in Chunggye Bay were investiga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changes to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distribution of species and standing crops. Three stations was sampled near at each embankment in Nov. 2006, Feb. 2007, May 2007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청계만 환경에 대한 조사로는 복길간척지 주변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관한 연구(박, 1994), 저서무척추동물 및 담수어류상(송, 1997)에 관한 연구, 청계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계절적 변동(지 등, 2008)에 관한 연구, 목포항 주변해역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동 특성(조, 2010)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 졌지만 식물플랑크톤의 크기구조를 고려한 군집구조(종조성) 및 개체수 변화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를 고려한 군집구조를 파악함으로서 청계만 수계의 식물플랑크톤 변동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계만 해역의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변동과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에 따른 군집(종조성)의 계절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계절별로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온은 우리나라 계절에 따른 패턴과 유사하였으며, 염분은 강우가 집중되는 여름철에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염분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담수유입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이란? 식물플랑크톤이란 수(水)중에서 부유생활을 하고 있는 작은 단세포 조류의 총칭으로 수 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로서, 수계의 물성변화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여 환경변화 및 오염의 지표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Bold 와 Wynne, 1985; Brook, 1965; Chapman, 1968; Dodge, 1975; Hellawell, 1986; Watanabe, 1962). 식물플랑크톤 동역학(dynamics)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기구조에 따라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생태계 먹이사슬을 통한 에너지의 흐름(Ryther, 1969; Walsh, 1976)과 침전속도 및 이동속도(Michaels 와 Silver, 1988)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수 생태계에서 일차생산성을 조절하는 두 가지 기작은? 일반적으로 수 생태계에서 일차생산성은 크게 두 가지 기작에 의해 조절된다. 포식자에 의한 섭식과 같은 생물학적 작용(하향식 조절: top-down control)과 영양물질의 공급(상향식 조절: bottom-up control)이다(Armstrong, 1994; Caraco 등, 1997; Carpenter 등, 1987; Kivi 등, 1993; Sin 등, 1999).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우점종은 상향식과 하향식 조절인자에 의해서 민감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수질에 대한 지표로 의미가 있다(김 등, 1998; 문과 최, 1991; James, 1979; UNESCO, 1978; Whitton, 1979).
식물플랑크톤의 활용은? 식물플랑크톤이란 수(水)중에서 부유생활을 하고 있는 작은 단세포 조류의 총칭으로 수 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로서, 수계의 물성변화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여 환경변화 및 오염의 지표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Bold 와 Wynne, 1985; Brook, 1965; Chapman, 1968; Dodge, 1975; Hellawell, 1986; Watanabe, 1962). 식물플랑크톤 동역학(dynamics)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크기구조에 따라 연구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생태계 먹이사슬을 통한 에너지의 흐름(Ryther, 1969; Walsh, 1976)과 침전속도 및 이동속도(Michaels 와 Silver, 1988)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용재, 김명운, 김상종, 1998, 한강 중하류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조류학회지, 13(3), 331-338. 

  2. 권기영, 문창호, 이재성, 양성렬, 박미옥, 이필용, 2004,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한국해양학회지, 9, 153-162. 

  3. 문창호, 최혜지,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주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2), 144-154. 

  4. 박경양, 1994, 복길 간척지 주변 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에 관한 연구,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1, 81-90. 

  5. 송태곤, 1997, 전남 무안군의 4개 소하천의 저서무척추동물 및 담수어류상,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Environment, 14, 27-34. 

  6. 심재형, 1994, 한국동식물도감 제34권 식물편 해양식물 플랑크톤, 141. 

  7. 양성렬, 송환석, 문창호, 권기영, 양한섭, 2001, 낙동강 하구역의 담수유입에 따른 해양환경 및 일차생산력 변화, 한국조류학회지, 16(2), 165-177. 

  8.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군집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7(2), 149-159. 

  9. 이영식, 이재성, 정래홍, 김성수, 고우진, 김귀영, 박종수, 2001, 광양만에서 식물플랑크톤 제한영양염, 한국해양학회지(바다), 6, 201-210. 

  10. 조은섭, 2010, 목포항 주변해역의 수질 및 식물플랑크톤 변동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9(11), 1323-1336. 

  11. 지 성, 신용식, 서호영, 2008, 청계만 식물플랑크톤 크기 구조의 계절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13(4), 333-341. 

  12. Amstrong, R. A., 1994, Grazing limitation and nutrient limitation in marine ecosystems: steady state solution of an ecosystem model with multiple food chains, Limnol. Oceanogr, 39(3), 597-608. 

  13. Arruda, J. A., Marzolf, G. R., Faulk, R. T., 1983, The role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nutrition of zooplankton in the turbid reservoirs, Ecology, 64, 1225-1235. 

  14. Bold, H. C., Wynne, M. J., 1985, Introduction to the algae, 2nd Ed., Prentice-Hall Inc., Englwood Cliffs, New Jersey, 720. 

  15. Brook, A. J., 1965, Planktonic Algae as indicators of lake typ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smidaceae, Limnol. Oceanogr, 10, 403-411. 

  16. Caraco, N. F., Cole, J. J., Raymond, P. A., Strayer, D. L., Pace, M .L., Findlay, S. E. G., Fisher, D. T., 1997, Zebramussel invasion in a large, turbid river: Phytoplankton response to increased grazing, Ecol., 78(2), 599-602. 

  17. Carpenter, S. R., Kitchell, J. F., Hodgson, J. R., Cochran, P. A., Elser, J. J., Elser, M. M., Lodge, D. M., Kretchmer, X., He, X., von Ende, C. N., 1987, Regulation of lake primary productivity by food web structure, Ecol., 68, 1863-1876. 

  18. Chapman, V. J., 1968, The algae, Macmillan London, Melbourne, Toronto St Martis Press, New York, 472. 

  19. Dodge, J. D., 1975, The fine structure of algal cells, Academic Press, Inc. London, 261. 

  20. Dortch, Q., Whitledge, T. E., 1992, Does nitrogen or silicon limit phytoplankton production in the Mississipi River plume and nearby regions?, Continental Shelf Research, 12, 1293-1309. 

  21. Fisher, T. R., Harding, L. W., Jr., Stanley, D. W., Ward, L. G., 1988, Phytoplankton, nutrient and turbidity in the Chesapeake, Delaware and Hudson estuaries, Mar. Ecol Prog. Ser., 27, 61-93. 

  22. Hart, R. C., 1998, Zooplankton feeding rates in relation to suspended sediment content:Potential influence on community structure in a turbid reservoir, Freshwater Biol., 19, 123-139. 

  23. Hellawell, J. M., 1986, Biological indicators of freshwater pollu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lsevier Applied Science Publishers, 546. 

  24. James, A., 1979, The value of biological indicators in relation to other parameter of water quality, in: James, A. and Evison, L. (eds.),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Chapter 1. John Wiley and Sons, USA. 

  25. Justic, D., Rabalais, N. N., Turner, R. E., Dortch, Q., 1995, Changes in nutrient structure of river-dominated coastal waters: stoichiometric nutrient balance and its consequences, Estuar. Coast. Shelf. Sci., 40, 339-356. 

  26. Kirk, K. L., 1991, Suspended clay reduces Daphnia feeding behavioural mechanism, Freshwater Biol., 25, 357-365. 

  27. Kivi, K., Kaitala, S., Kuosa, H., Kuparinen, J., Leskinen, E., Lignell, R., Marcussen, B., Tamminen, T., 1993, Nutrient limitation and grazing control of the Baltic plankton community during annual succession, Limnol. Oceanogr., 38(5), 893-905. 

  28. Michaels, A. E., Silver, M. W., 1988, Primary production, sinking fluxes and the microbial food web, Deep-Sea Res., 35, 473-490. 

  29. Nybbaken, J. W., 1997, Marine biology: An ecological approach, Wesley Educational Publishers Inc., 304-308. 

  30. Palmer, C. M., Adams, S., 1977, Algae and water pollution, Municipal environ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USA. 

  31. Parsons, T. T., Maita, Y., Lalli, C. 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amon Press, New York, 22-25. 

  32. Raymont, J. E. C., 1980, Plankton and productivity in the ocean, 2nd, Phytoplankton, Peramon. Press. Oxford, 330. 

  33. Ryther, J. H., 1969, Photosynthesis and fish production in the sea, Sci., 166, 72-76. 

  34. Schoeman, F. R., 1973, A systematic and ecological study of the diatom flora of Lesotho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water quality, 365, in: James, A. and Evison, L. (eds.),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John Wiley and Sons, USA. 

  35. Sin, Y. S., Wetzel, R. L., Anderson, I. C., 1999,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utrient and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YORK River, Virginia: analyses of long-data, Estuarine., 22, 260-275. 

  36. UNESCO, 1978, Water quality surveys, UNESCO., WHO, 350. 

  37. Walsh, J. J., 1976, Herbivory as a factor in patterns of nutrient utilization in the sea, Limnol. Oceanogr., 21, 1-13. 

  38. Watanabe, T., 1962, On the Biotic. Index of Water Pollution based upon the species Number of Bacillariophyceae in the Tokoro River in Hokkaido (in Japanese), Japan J. Ecol., 12, 216-222. 

  39. Whitton, B. A., 1979, Plants as indicators of river water quality, in : James, A. and Evison, L. (eds.),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Chapter. 5., John Wiley and Sons, USA. 

  40. Zurek, R., 1980, The effects of suspended materials on the zooplankton. I Natural environments, Acta Hydrobiol., 22, 449-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