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세 공간정보를 활용한 국지기온 분석 개선 - 서울 은평구 뉴타운을 사례로 -
Improvement of Air Temperature Analysis by Precise Spatial Data on a Local-scale - A Case Study of Eunpyeong New Town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5 no.1, 2012년, pp.144 - 158  

이채연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안승만 (건국대학교 신기술융합전공) ,  김규랑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의 국지기후 분석에 충분한 공간해상도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이를 지원할 정밀한 공간정보가 필요하다. 1~4m 해상도의 항공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자료와 KOMPSAT-2(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초고해상도(5m) 입체적 지형 지면 토지피복 모델을 개선하였다. CAS(Climate Analysis Seoul)를 이용하여 도시내부의 지표면 속성비율과 건물의 밀집도 높이 면적에 따른 열적용량과 국지규모 기온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정밀도 향상 결과가 국지규모 기온 분석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개선이전 및 이후 국지기온 분석 결과와 ASTER 위성영상 지표면온도 및 지상 기온관측 자료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선이후 국지규모 기온분석 결과와 ASTER 지표면온도 비교시, 건물(BS)지역에서 높은(R=0.76)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지상 기온관측과의 비교에서도 그 편차가 개선이전 1.27K보다 개선되어 0.70K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초고해상도 공간정보가 현실을 잘 반영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상세한 기온분석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도시 개발 계획 시나리오에 대한 상세도시기후 예측 및 분석에 본 연구의 정밀한 지형 지면 토지피복 모델 기술 등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higher spatial resolution is preferable to support the accuracy of detailed climate analysis in urban areas. Airborne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nd satellite (KOMPSAT-2,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images at 1 to 4 m resolution were utilized to produce digital elevation and building...

주제어

참고문헌 (13)

  1. 김수봉, 나정화, 정응호. 2006. 친환경적 도시계획-도시열섬연구. 문운당. 245쪽. 

  2. 백경혜, 이명진, 강병진. 2011. GIS를 활용한 KMA-RCM의 규모 상세화 기법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136-149 

  3.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4-127. 

  4. 안승만, 이호영, 최영진, 김규랑, 원혜영, 이채연. 2011. 수치모델 활용을 위한 항공 LiDAR 자료 기반 입력자료 생산 연구. 2011년 한국기상학회 봄 학술대회 논문집. 66쪽. 

  5. 엄정희. 2010. 용산미군기지 지역의 기후정보구축 및 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 학회지 ,45(1):185-198. 

  6. 이우성, 정성관, 박경훈, 김경태. 2010. 친환경적 공간계획을 위한 도시의 열환경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42-154. 

  7. 이채연, 엄정희, 최영진, 김규랑, Dieter Scherer, Ute Fehrenbach, 김근회. 2011. 토지이용도와 기상모델을 이용한 서울기후분석(CAS)지도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12-25. 

  8. 정응호, 김대욱, 류지원, 차재규, 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길 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2):73-84. 

  9. Christen, A. and Vogt, R. 2004. Energy and radiation balance of a central european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4:1395-1421. 

  10. Eum, J.H. 2008.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Ph.D. Thesis, Technical Univ. of Berlin, Berlin, Germany. 

  11. Jensen J. R. 2004.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3rd).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544pp. 

  12. Ren, C., Ng, E.Y., Katzschner, L. 2010. Urban climatic map studies: a review,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doi: 10.1002/joc.2237. 

  13. Sakuno, Y., T. Matsunaga, T. Kozu and K. Takayasu. 2002, Preliminary study of the monitoring for turbid coastal waters using a new satellite sensor, "ASTER", Proceedings of The Twelfth International Offshore and Polar Engineering Conference Kitakyushu, Japan, May 26-31, 2002. pp.341-3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