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계절모형 입력자료로서 확률추정 기상자료의 이용 가능성
Feasibility of Stochastic Weather Data as an Input to Plant Phenology Models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4 no.1, 2012년, pp.11 - 18  

김대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정유란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윤진일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초록

월별 기후통계량의 조화해석에 의해 생성한 일 기온 자료가 생물계절모형의 입력자료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농림업 부문 기후시나리오 응용정보 제작 상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관측소의 1971-2000 평년 월별 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평균값으로부터 조화해석에 의해 365일 간 기온자료를 생성하였다. 이것을 널리 검증된 온도시간 기반의 벚꽃 개화모형에 입력하여 휴면, 발아, 개화 등 주요 식물계절을 추정하였다. 같은 기간 중 실측기온자료에 의해 모형을 구동시켜 얻은 결과와 비교한 바, 연차변이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휴면해제 25일 단축, 강제 휴면기간 57일 연장, 발아 14일 지연, 개화 13일 지연등 평균값도 크게 달라 식물계절을 크게 왜곡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안으로서 확률추정기법에 의해 일기상자료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형을 구동한 결과 실측결과에 비해 휴면해제 6일 단축, 강제휴면기간 10일 단축, 발아 3일 지연, 개화 2일 지연 등으로 조화해석자료 사용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차변이양상 역시 실측기온에 의한 모의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아, 향후 이 자료를 농업부문 전자기후도 제작에 적용하면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실용수준에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ily temperature data produced by harmonic analysis of monthly climate summary have been used as an input to plant phenology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harmonic based daily temperature data in prediction of major phenological developments and to apply the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에는 주어진 날짜에 대해 단 하나의 기온자료만 생성되는 조화해석법을 대신하여 원하는 만큼 반복적으로 생성해주는 확률추정 날씨생성기(stochastic weather generator)를 모형구동용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GEN(Weather GENerator; Richardson and Wright, 1984)과 SIMMETEO(SIMulation of METEOrological variables; Geng et al.
  • 본 연구는 신뢰성이 검증된 생물계절모형에 근거하여 기후학적 평년(1971-2000)의 서울지방 벚꽃 개화일을 조화해석 기반의 입력자료에 의해 추정할 경우, 같은 기간 중 실측 기온자료를 이용한 모형구동결과에 비해 어떤 차이가 생기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취약성 분석 과정에 조화해석 기반의 기온자료를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신뢰성이 검증된 생물계절모형에 근거하여 기후학적 평년(1971-2000)의 서울지방 벚꽃 개화일을 조화해석 기반의 입력자료에 의해 추정할 경우, 같은 기간 중 실측 기온자료를 이용한 모형구동결과에 비해 어떤 차이가 생기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취약성 분석 과정에 조화해석 기반의 기온자료를 사용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 월별 기후통계량의 조화해석에 의해 생성한 일 기온 자료가 생물계절모형의 입력자료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농림업 부문 기후시나리오 응용정보 제작 상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관측소의 1971-2000 평년 월별 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평균값으로부터 조화해석에 의해 365일 간 기온자료를 생성하였다.

가설 설정

  • 낙엽과수에 있어서는 가을에 낙엽이 시작되면 꽃눈이 휴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가정하는데(Oh, 2004), 벚나무의 경우 낙엽개시일자에 대한 관측자료가 없을 뿐 아니라 낙엽현상에 대한 명확한 관측방법이 규정되어있지 않다. 1971-2000 통계 자료에 의하면 서울에서 일 최저기온이 7로 떨어지는 첫날은 평균 10월 22일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10월 1일에 휴면을 시작한다고 가정하였다. 이 날짜부터 냉각량을 계산하더라도 일 최저기온이 7 이하로 내려가지 않으면 실제 냉각량이 누적되지는 않는다.
  • 낙엽수목이 휴면을 시작하는 시점은 기온이 정해진 임계값 이하로 떨어지는 날짜, 수확에 의해 과실이 나무에서 이탈되는 날짜, 단풍이 들기 시작하는 날짜 등으로 아직 표준화 되어있지 못한 상황이다(Seeley, 1996). 낙엽과수에 있어서는 가을에 낙엽이 시작되면 꽃눈이 휴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가정하는데(Oh, 2004), 벚나무의 경우 낙엽개시일자에 대한 관측자료가 없을 뿐 아니라 낙엽현상에 대한 명확한 관측방법이 규정되어있지 않다. 1971-2000 통계 자료에 의하면 서울에서 일 최저기온이 7로 떨어지는 첫날은 평균 10월 22일이므로 이를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10월 1일에 휴면을 시작한다고 가정하였다.
  • 이후 기온이 7℃ 이상으로 상승하여 누적 냉각량이 0으로 회복되면 발아가 시작되고, +13.5에 도달하면 벚꽃의 개화가 시작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눈조직은 어떻게 생장하나요? 온대북반구에서 낙엽수목은 하지를 지나 일장이 짧아지면 일부 조직이 꽃눈으로 분화하기 시작한다. 꽃눈조직은 가을까지 생장을 계속하다가 온도와 토양수분조건이 한계점에 달하면 내생휴면(endodormancy)에 들어간다. 내생휴면에서 깨어나기 위해서는 적당한 저온상태에서 일정기간을 경과해야 하며, 내생휴면해제 이후에 온도조건만 맞으면 생장을 재개하여 꽃눈이 터지고(발아, bud burst), 꽃잎이 열린다(개화, flowering).
조화해석에 의해 일 자료로 변환하였지만 단점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제작된 농업용 전자기후도 역시 개별 농지의 속성인 월별 기후값을 조화해석에 의해 일 자료로 변환함으로써 각종 응용기후정보 제작에 이용하였다(Yun, 2010). 하지만 조화해석이란 12개 월별 평균값 사이의 빈 공간을 추정곡선에 의해 평활화 하는 과정이므로 생성된 일별 기상자료는 평균값의 경향은 잘 보여주지만 연차변이에 대해서는 아무 정보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내생휴면에서 어떻게 깨어나서 꽃잎이 열리나요? 꽃눈조직은 가을까지 생장을 계속하다가 온도와 토양수분조건이 한계점에 달하면 내생휴면(endodormancy)에 들어간다. 내생휴면에서 깨어나기 위해서는 적당한 저온상태에서 일정기간을 경과해야 하며, 내생휴면해제 이후에 온도조건만 맞으면 생장을 재개하여 꽃눈이 터지고(발아, bud burst), 꽃잎이 열린다(개화, flowering). 이러한 화아분화-휴면-발아-개화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기상환경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 즉 식물계절(phenology)에 관한 연구도 상당히 진행되어왔다(Oh,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esaraccio, C., D. Spano, R. 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6, 1-13. 

  2. Chung, U., J. H. Kim, S. O. Kim, M. H. Choi, K. H. Hwang, and J. I. Yun, 2009: Geospatial assessment of frost and freeze risk in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Trees as affected by the projected winter warming in South Korea: I. Determination of freezing temperatur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206-2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U., and J. I. Yun, 2008: A prospect on the changes in short-term cold hardiness in "Campbell Early" grapevine under the future warmer winter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94- 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Geng, S., and J. S. Auburn, 1986: Weather simulation models based on summaries of long-term data. Weather and Rice 7, 237-254. 

  5. Geng, S., J. S. Auburn, E. Brandstetter, and B. Li, 1988: A program to simulate meteorological variables: Documentation for SIMMETEO. Agronomy Progress Report 204, 1-15. 

  6. Jung, J. E., E. Y. Kwon, U. Chung, and J. I. Yun, 2005: Predicting cherry flowering date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 148-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ung, J. E., H. C. Seo, U. Chung, and J. I. Yun, 2006: Spring phenology of a grapevine cultivar under the changing climate in Korea during 1951-20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 116-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 H., and J. I. Yun, 2008: On mapping growing degreedays (GDD) from monthly digital climate surfaces for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 O., U. Chung, S. H. Kim, I. M. Choi, and J. I. Yun, 2009: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162-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Y. H., H. D. Kim, S. W. Han, J. Y. Choi, J. M. Koo, U. Chung, J. Y. Kim, and J. I. Yun, 2002: Using spatial data and crop growth modeling to predict performance of South Korean rice varieties grown in western coastal plains in Nor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 224-2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B. S., 1969: Harmonic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 17-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Oh, S. D., 2004: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Gilmogeum, Seoul, Korea, 364pp. (In Korean) 

  13. Pickering, N. B., J. W. Hansen, J. W. Jones, C. M. Wells, V. K. Chan, and D. C. Godwin, 1994: WeatherMan: A utility for managing and generating daily weather data. Agronomy Journal 86, 332-337. 

  14. Richardson, C. W., and D. A. Wright, 1984: WGEN: A model for generating daily weather variables. ARS-8. USDA-ARS., 83pp. 

  15. Seeley, S. D., 1996: Modeling climatic regulation of bud dormancy. Plant Dormancy - Physiology,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G. A. Lang (Ed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 K., 361-376. 

  16. Seino, H., 1993: An estimation of distribution of meteorological elements using GIS and AMeDAS data.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Japan) 48, 379-383.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7. Soltani, A., and G. Hoogenboom, 2003: Minimum data requirements for parameter estimation of stochastic weather generators. Climate Research 25,109-119. 

  18. Wilks, D. S., and R. L. Wilby, 1999: The weather generation game: a review of stochastic weather model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3, 329-357. 

  19. Wilks, D. S., 2011: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 (3rd ed.) Academic Press., 428-438. 

  20. Yun, J. I., 2006: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flowering season of Japanese cherry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in Korea during 1941-2100.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8, 68-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Yun, J. I., 2010: Agroclimatic maps augmented by a GIS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 6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DOI:10.5532/KJAFM.2010.12.1.063 

  22. www.climate.go.kr (Feb. 25,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