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50세 여자 환자와 남자 환자가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증상의 하악 구치부의 방사선투과성 병소로 인해 의뢰되었다. 임상검사에서 특이할 만한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각각 우측과 좌측 하악 구치부에서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과골성 변연을 수반하지 않는 원형의 방사선투과성 병소가 관찰되었다. 병소 내부는 다방성의 양상이었으며, 또한 병소 부위를 주행하는 하악관의 불연속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에 양성 종양을 배제하기 위해서 조영증강 전산화단층사진을 촬영하였다. 전산화단층사진의 축상면에서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는 명확한 설측 함요부가 관찰되었으며, 내부는 지방 및 일부 악하선 조직으로 채워져 있었으나 다른 질환을 의심할 만한 연조직 종괴는 관찰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비전형적 형태의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으로 진단하였으며, 이 중 한 증례에서, 4개월 후의 재검사시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증례들과 같은 비전형적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을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위해서는 단면 및 내부 구조물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반방사선사진뿐만 아니라 전산화단층영상 또는 자기공명영상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50-year-old female and 50-year-old male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asymptomatic lesions on their posterior mandibular body areas. They were discovered incidentally on panoramic radiographs during routi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전산화단층촬영에서 확인된 내부 구조물의 특성과 위치적인 특징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으로 진단하였으며 향후 주기적인 관찰을 하기로 하였다.
  • 전형적인 과골성 변연을 보이지 않고, 불규칙한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잔존 하악골의 골수강과 겹쳐짐으로 인해 양성 종양과 유사하게 보인 비전형적인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의 증례들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무엇인가?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1942년 Stafne에 의하여 처음으로 35예가 보고 되었으며 하악체 후방부의 설측에서 나타나는 경계가 명확한 함요부를 일컫는다.1)주로 제1 대구치와 하악각 사이, 하악관과 하악 하연 사이에 발생하며 균질성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경계가 명확한 과골성 변연을 가진다.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그동안 문헌에 따라 어떤 이름으로 불리었는가? 2-4)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골결손(defects), 강(cavities), 또는 낭(cysts) 군에 속하며, 이장 상피가 없기 때문에 위낭 (pseudocysts)으로 분류된다.5)문헌에 따라 Stafne bone cyst, Stafne bone cavity, static bone cavity, latent bone cyst, developmental bone defect of the mandible, lingual mandibular salivary gland depression, aberrant salivary gland defect, lingual cortical mandibular bone defect, mandibular embryonic defect, submandibular salivary gland inclusion 및 developmental salivary gland defect 등 다양하게 명명되어 왔다.6)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전형적인 발생 위치와 진성 낭에 비해 특징적으로 두꺼운 과골성 변연으로 인해 대체로 하악측사위 방사선사진이나 파노라마 방사선사진과 같은 일반 방사선사진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어떤 질환으로 분류되는가? 주로 40-50대의 남성에서 발견되며, 크기는 1-3 cm 정도로 다양하다.2-4)발육성 타액선 골결손은 골결손(defects), 강(cavities), 또는 낭(cysts) 군에 속하며, 이장 상피가 없기 때문에 위낭 (pseudocysts)으로 분류된다.5)문헌에 따라 Stafne bone cyst, Stafne bone cavity, static bone cavity, latent bone cyst, developmental bone defect of the mandible, lingual mandibular salivary gland depression, aberrant salivary gland defect, lingual cortical mandibular bone defect, mandibular embryonic defect, submandibular salivary gland inclusion 및 developmental salivary gland defect 등 다양하게 명명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tafne EC. Bone cavities situated near the angle of the mandible, J Am Dent Assoc 1942;29:1969-1972. 

  2. Buchner A, Carpenter WM, Merrell PW, Leider AS. Anterior lingual mandibular salivary gland defect. Evaluation of twenty-four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1;71:131-136. 

  3. Thomas LP, Abramovitch K. Case report.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n anterior lingual mandibular salivary gland defect. Dentomaxillofac Radiol 1996;25:207-210. 

  4. de Courten A, Kuffer R, Samson J, Lombardi T. Anterior lingual mandibular salivary gland defect (Stafne defect) presenting as a residual cyst.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2;94:460-464. 

  5. Philipsen HP, Takata T, Reichart PA, Sato S, Suei Y. Lingual and buccal mandibular bone depressions: a review based on 583 cases from a world-wide literature survey, including 69 new cases from Japan. Dentomaxillofac Radiol 2002;31:281-290. 

  6. Han JW, Choi HM. Developmental salivary gland defect with extra-osseous course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4;34:171-174. 

  7. Scholl RJ, Kellett HM, Neumann DP, Lurie AG. Cysts and cystic lesions of the mandible: clinical and radiologic-histopathologic review. Radiographics 1999;19:1107-1124. 

  8. Prapanpoch S, Langlais RP. Lingual cortical defect of the mandible: an unusual presentation and tomographic diagnosis. Dentomaxillofac Radiol 1994;23: 234-237. 

  9. Reuter I. An unusual case of Stafne bone cavity with extra-osseous course of the mandibular neurovascular bundle. Dentomaxillofac Radiol 1998;27:189-191. 

  10. Li B, Long X, Cheng Y, Wang S. Cone beam CT sialography of Stafne bone cavity. Dentomaxillofac Radiol 2011;40:519-523. 

  11. Chen CY, Ohba T. An analysis of radiological findings of Stafne's idiopathic bone cavity. Dentomaxillofac Radiol 1981;10:18-23. 

  12. Kim HK, Kim JS, Kim JD. Developmental salivary gland defect : Literatures review and case analysis of 12 case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6;36: 81-88. 

  13. Wolf J. Bone defects in mandibular ramus resembling developmental bone cavity (Stafne). Proc Finn Dent Soc 1985;81:215-221. 

  14. Barker GR. A radiolucency of the ascending ramus of the mandible associated with invested parotid salivary gland material and analogous with a Stafne bone cavity. Br J Oral Maxillofac Surg 1988;26:81-84. 

  15. Queiroz LM, Rocha RS, de Medeiros KB, da Silveira EJ, Lins RD. Anterior bilateral presentation of Stafne defect: an unusual case report. J Oral Maxillofac Surg 2004;62:613-615. 

  16. Branstetter BF, Weissman JL, Kaplan SB. Imaging of a Stafne bone cavity: what MR adds and why a new name is needed. AJNR Am J Neuroradiol 1999;20: 587-589. 

  17. Hayashi Y, Kimura Y, Nagumo M. Anterior lingual mandibular bone concavity.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4;57:139-142. 

  18. Lello GE, Makek M. Stafne's mandibular lingual cortical defect. Maxillofac Surg 1985;13:172-176. 

  19. Pogrel MA, Sanders K, Hansen LS. Idiopathic lingual mandibular bone "depression".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86;15:9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