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호아동이 친가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친부모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친부모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은 '자녀를 맡김'이 도출되었고, 현상은 '형벌같은 삶', '자녀와의 분리상황에 적응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맥락적 조건은 '가족 신념', '자녀양육 신념'이며, 중재적 조건은 '재기할 힘', '뜻대로 안됨'이었다. 작용/상호 작용 전략은 '양육기반 마련하기', '부모 역할 지속하기', '적응에 저항하기', '자녀복귀시기 조정하기'로 나타났다. 결과로는 '돌봄 부담감', '맡기고 싶음', '가족의식 강화됨', '미래가 희망적임'이 도출되었다. 과정분석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1) 자녀위탁단계: 자녀를 위탁한 모진 부모가 됨, (2) 자녀 위탁 후 단계: 자녀복귀위해 무너진 가정세움, (3) 자녀 친가정 복귀 단계: 나, 가족, 세상에 떳떳함 (4) 자녀 친가정 복귀 이후 단계: 재위탁 경계하며 가정지킴으로 구분되었고 보호아동의 친부모들은 자녀를 친가정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긴장의 연속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호아동의 친가정 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호아동이 친가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친부모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친부모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은 '자녀를 맡김'이 도출되었고, 현상은 '형벌같은 삶', '자녀와의 분리상황에 적응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맥락적 조건은 '가족 신념', '자녀양육 신념'이며, 중재적 조건은 '재기할 힘', '뜻대로 안됨'이었다. 작용/상호 작용 전략은 '양육기반 마련하기', '부모 역할 지속하기', '적응에 저항하기', '자녀복귀시기 조정하기'로 나타났다. 결과로는 '돌봄 부담감', '맡기고 싶음', '가족의식 강화됨', '미래가 희망적임'이 도출되었다. 과정분석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1) 자녀위탁단계: 자녀를 위탁한 모진 부모가 됨, (2) 자녀 위탁 후 단계: 자녀복귀위해 무너진 가정세움, (3) 자녀 친가정 복귀 단계: 나, 가족, 세상에 떳떳함 (4) 자녀 친가정 복귀 이후 단계: 재위탁 경계하며 가정지킴으로 구분되었고 보호아동의 친부모들은 자녀를 친가정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긴장의 연속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호아동의 친가정 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1 parent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on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family reun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leaving one's child' that composed c...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1 parent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on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family reun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leaving one's child' that composed causal conditions, and also it was 'sentenced life' and 'adapting to a life without child' that composed existing conditions. Thu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found out as 'a belief of family' and 'a belief of child caring' and the mediation conditions were 'power to recover' and 'not being as one's intentions'. Also, re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urned out as 'preparing a basis of child-care', 'playing a parent', 'standing against being adapted' and 'adjusting as their children back to family'. Finally, the analysis showed 'burdens on caring', 'wanting to leave one' child again', 'having stronger family membership' and 'being hopeful in a future' as results. The specific levels of the process were found out as following 4 steps, as time goes by. 1)Fostering children at institutions: become harsh parents(or a harsh parent), 2)After fostering: rebuild collapsed family in order to take the children back, 3)Family reunification: become aboveboard to oneself, family and the world, 4)After family reunification: try to keep the family taking precautions against resending. While taking their children back, the parents turned out to experience long, unremitting tension. Reflecting results of the analysis above, and in order to promote sending institutionalized children back to their families this article suggests practical alternatives for parents who left their children in institutions.
Using grounded theory method, this study analyze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1 parent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experience of the parents on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family reun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leaving one's child' that composed causal conditions, and also it was 'sentenced life' and 'adapting to a life without child' that composed existing conditions. Thus, the contextual condition was found out as 'a belief of family' and 'a belief of child caring' and the mediation conditions were 'power to recover' and 'not being as one's intentions'. Also, re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urned out as 'preparing a basis of child-care', 'playing a parent', 'standing against being adapted' and 'adjusting as their children back to family'. Finally, the analysis showed 'burdens on caring', 'wanting to leave one' child again', 'having stronger family membership' and 'being hopeful in a future' as results. The specific levels of the process were found out as following 4 steps, as time goes by. 1)Fostering children at institutions: become harsh parents(or a harsh parent), 2)After fostering: rebuild collapsed family in order to take the children back, 3)Family reunification: become aboveboard to oneself, family and the world, 4)After family reunification: try to keep the family taking precautions against resending. While taking their children back, the parents turned out to experience long, unremitting tension. Reflecting results of the analysis above, and in order to promote sending institutionalized children back to their families this article suggests practical alternatives for parents who left their children in institutions.
통계청자료에 의하면, 사회적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수가 2008년 9,284명으로 10년 전 9,292명(1998년)으로 조사된 이후로 대략 1만명 내외를 유지하고 있는데 전체 아동인구가 감소추세임을 감안할 때 오히려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의 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더구나 주목해야 할 사실은 시설보호아동의 89.
아동보호의 목적 중의 하나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부모가 생존해 있음에도 사회적 보호를 받는 아동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는 점에서 볼 때, 아동보호의 목적 중의 하나는 다양한 아동보호의 형태를 막론하고 친부모가 생존해 있는 경우에는 친가정 복귀(정익중, 2009)가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종결된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친가정 복귀율이 17.
보호아동이 친가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친부모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친부모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 한 결과는?
본 연구는 보호아동이 친가정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친부모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친부모 1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과적 조건은 '자녀를 맡김'이 도출되었고, 현상은 '형벌같은 삶', '자녀와의 분리상황에 적응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맥락적 조건은 '가족 신념', '자녀양육 신념'이며, 중재적 조건은 '재기할 힘', '뜻대로 안됨'이었다. 작용/상호 작용 전략은 '양육기반 마련하기', '부모 역할 지속하기', '적응에 저항하기', '자녀복귀시기 조정하기'로 나타났다. 결과로는 '돌봄 부담감', '맡기고 싶음', '가족의식 강화됨', '미래가 희망적임'이 도출되었다. 과정분석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1) 자녀위탁단계: 자녀를 위탁한 모진 부모가 됨, (2) 자녀 위탁 후 단계: 자녀복귀위해 무너진 가정세움, (3) 자녀 친가정 복귀 단계: 나, 가족, 세상에 떳떳함 (4) 자녀 친가정 복귀 이후 단계: 재위탁 경계하며 가정지킴으로 구분되었고 보호아동의 친부모들은 자녀를 친가정으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긴장의 연속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보호아동의 친가정 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