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정치성향이 뉴스 댓글에 대한 신뢰성과 사회적 영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dividuals' Political Tendency on the Perception of Reliability and Social Impact of Online Newspaper Comments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17 no.1, 2012년, pp.173 - 187  

이준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한미애 (SK텔레콤 정책협력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뉴스 이용 경로가 오프라인 신문에서 온라인 뉴스 매체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여론 형성의 기제로 대두된 댓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왔다. 댓글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댓글의 품질이나 영향력 유무, 여론 형성 기능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런데, 댓글의 여론 형성 기능에 대한 연구 외에, 정치적 민감도가 높은 이슈에 대한 매체별 논조와 개인의 정치성향에 따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이용자의 사회정체성과 정치성향이 그들의 매체선택과 해당 매체에서 접하는 댓글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온라인 뉴스 매체와 자신의 정치성향이 유사한 정도에 따라 해당 댓글의 신뢰도, 영향도 등을 다르게 평가하는지에 대해 사회 정체성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개인과 온라인 뉴스 매체 간 정치성향의 유사성'을 독립 변수로 놓고 '댓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정치성향이 각기 다른 매체의 댓글에 대한 인식'을 종속 변수로 하여 양 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동 연구는 댓글 읽기에 초점을 두고 처음으로 정치성향에 따른 매체 이용 패턴과 댓글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여 분석했다는 데 학문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뉴스 매체별 댓글 인식의 차이는 댓글 읽기의 중요성과 공론장으로서의 댓글이 유효함을 증명한데 그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newspapers which have been major news media are being replaced by on-line news media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rs are paying attention to "comments(news users' short remarks on an article)", a newly emerged way of forming public opinion. This study is examining how the similarity between p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매체와 개인의 정치 성향에 따른 댓글의 영향도와 여론인식에 관한 탐구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뉴스 매체의 정치성향과 개인의 정치성향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온라인 뉴스 매체와 이용자의 정치적 유사성이 해당 매체의 댓글과 일반 공중의 여론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치성향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포털과 관련 댓글들은 정치적 편견에서 자유로운지에 대한 연구가 본 연구의 목적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개인과 온라인 뉴스 매체 간 정치 성향의 유사성이 댓글에 대한 인식과 댓글을 통해 일반 공중의 여론을 인식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정치성향의 유무에 대해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포털 뉴스 페이지에 대해서 이용자들이 실제 어떻게 생각하는지, 해당 댓글과 댓글을 통한 여론 인식 상 어떤 특징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댓글 읽기에 초점을 두고 처음으로 정치성향에 따른 매체 이용 패턴과 댓글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온라인 뉴스 이용자들이 뉴스 기사에 대한 댓글을 인식함에 있어 사회적인 제반 요소를 감안하여 균형 있게 판단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점, 그리하여 댓글의 주된 효용성이 ‘댓글 읽기’에 있으며 ‘공론장으로서의 댓글의 역할’이 유효하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본다.
  • 본 연구는 매체와 개인의 정치 성향에 따른 댓글의 영향도와 여론인식에 관한 탐구이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뉴스 매체의 정치성향과 개인의 정치성향이 얼마나 일치하는지, 온라인 뉴스 매체와 이용자의 정치적 유사성이 해당 매체의 댓글과 일반 공중의 여론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정치성향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는 포털과 관련 댓글들은 정치적 편견에서 자유로운지에 대한 연구가 본 연구의 목적이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매체의 이용자들이 자신과 해당 매체 간 정치성향의 유사성에 따라 댓글을 인식함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뉴스 매체와 댓글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직장인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온라인 뉴스 매체의 정치성향을 선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보수와 진보 성향의 대표 매체를 선정하여 이용자들이 실제 해당 매체를 그렇게 인식하는지, 개인의 정치성향별로 제시한 매체에 대한 정치성향의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응답자의 설문 응답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대표적인 온라인 뉴스 매체를 제시하였는데, 언론사 웹 사이트에서 대표적인 보수 매체로 조선 • 중앙을, 진보 매체로 한겨레 • 경향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개인과 온라인 뉴스 매체 간 정치 성향의 유사성이 댓글에 대한 인식과 댓글을 통해 일반 공중의 여론을 인식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정치성향의 유무에 대해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포털 뉴스 페이지에 대해서 이용자들이 실제 어떻게 생각하는지, 해당 댓글과 댓글을 통한 여론 인식 상 어떤 특징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개인의 정치성향(보수-진보)에 따라 온라인 뉴스 매체별 정치성향에 대한 인식 및 매체 선택에 차이가 나타난다.
  • 가설 2 : 개인과 온라인 뉴스 매체 간 정치성향의 유사성 여부에 따라 해당 매체의 댓글 인식과 일반 공중의 여론 인식에 대한 차이를 드러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다수 사람들이 댓글 쓰기보다 댓글 읽기에 참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일권, 김영석[28] 또한 대다수 사람들이 주로 댓글 쓰기보다 댓글 읽기에 참여하는 것은, 사람들이 “쓰기를 통해 자신을 드러내기 보다는 읽기를 통해 타인을 알려고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라며, 댓글 이용자들의 보편적 행위인 댓글 읽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설파하였다. 동 연구에 따르면, 댓글이 전달하는 정보를 사실이라고 믿을수록 댓글 읽기가 개인의 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증가하게 된다[28].
온라인 뉴스 매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어떤 경향이 강한가? 온라인 뉴스 매체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댓글을 쓰기보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접하는 방식, 즉, 댓글 읽기의 방식으로 참여하는 경향이 강하다[33].
포털 뉴스 페이지와 보수와 진보의 대표적인 언론사 웹 사이트에서 보도한 기사들을 선정하여 각 매체의 댓글 내용을 전수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동 연구는 포털 뉴스 페이지와 보수와 진보의 대표적인 언론사 웹 사이트에서 보도한 기사들을 선정하여 각 매체의 댓글 내용을 전수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수 언론사 웹 사이트의 댓글은 보수적인 성향을 띄고, 진보 언론사 웹 사이트의 댓글은 진보적 성향이 나타났다고 밝혔다[29]. 이는 온라인 뉴스 매체의 이용자들이 자신의 정치성향과 유사한 성향의 온라인 뉴스 매체에 주로 ‘댓글 쓰기’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강상현, "대안매체로서의 사이버 공간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1호, pp. 7-40, 2000. 

  2. 고상민, 황보환, 지용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 한국전자거래학회, 제15권, 제1호, pp. 1-201, 2010. 

  3. 권상희, 김익혁,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 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2호, pp. 44-78, 2008. 

  4. 김경년, 김재영,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3호, pp. 7-41, 2005. 

  5. 김관규, 인현규, "CMC를 통해 형성되는 대인인상 특징과 인상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4호, pp. 76-106, 2002. 

  6. 김도연, "상호작용 미디어와 이용자의 역할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보고서, pp. 4-56, 2004. 

  7. 김은미, 김현주,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보고서, 제4권, 제54호, 2004. 

  8. 김은미, 선유화,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 33-64, 2006. 

  9. 김은미, 이준웅, "읽기의 재발견 :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50권, 제4호, pp. 65-94, 2006. 

  10. 나은경, 이준웅, "댓글 문화 연구 : 온라인 뉴스 이용 양태의 변화와 담론 공중의 의미", 서울 : 한국언론재단, 2008. 

  11. 박선희, "인터넷 신문의 뉴스 특성과 대안언론의 가능성 : 오마이뉴스 기사 분석", 한국언론학보, 제45권, 제2호, pp. 117-165, 2001. 

  12. 박성호,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 : 사이버 공간의 자유와 규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1호, pp. 75-110, 2003. 

  13. 박진형, "포털 0.06% '악플러', 댓글 25% 양산 : 네이버 다음달 댓글 시스템 전면 개편", 한겨레, 2006. 1. 25. 

  14. 반 현, "온라인, 오프라인 뉴스 미디어의 시민저널리즘 역할에 대한 수용자 평가와 신뢰도 연구", 정치정보연구, 제10권, 제2호, pp. 297-316, 2007. 

  15. 석종훈, "뉴스 포털 사이트의 파급력", 관훈저널, 제91권, pp. 34-42, 2004. 

  16. 송경재, "포털의 의제설정과정에 관한 연구, 네이버, 네이트, 다음 뉴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회이론, 봄/여름, pp. 178-208, 2006. 

  17.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2호, pp. 254-280, 2008. 

  18. 윤영철, "온라인 게시판 토론과 숙의 민주주의 : 총선 연대 사이트의게시판 분석",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2호, pp. 109-150, 2000. 

  19. 이은주, 장윤재,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범위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1호, pp. 197-232, 2009. 

  20. 이재신, 성민정, "온라인 댓글이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 PR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권, 제4호, pp. 7-45, 2007. 

  21. 이재신, 이민영,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2호, pp. 249-279, 2008. 

  22. 이종혁, "사이버 대변인 캐릭터의 정보원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형적 결정 요인", 광고학연구, 제13권, 제2호, pp. 147-166, 2002. 

  23. 이준웅, 김은미, 문태준, "사회자본 형성의 커뮤니케이션 기초 : 대중 매체 이용의 신뢰, 사회 연계망 활동 및 사회정치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 234-262, 2005. 

  24. 이창호, 정의철, "공론장으로서의 인터넷카페 게시판의 가능성과 한계 : '쭉빵클럽'과 '엽기 혹은 진실'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 388-424, 2009. 

  25. 이형탁, 서응교,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7권, 제2호, pp. 65-96, 2009. 

  26. 임종수, "미디어로서 포털 : 포털, 저널리즘 변화", 한국언론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 2004. 

  27. 정동훈, 포털 뉴스 피해사례 및 현황연구",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발표문, 2008 

  28. 정일권, 김영석,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 동향 지각과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 302-327, 2006. 

  29. 정희정, "온라인 뉴스 기사 댓글의 정파적 성향과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논문, 2006. 

  30. 조수선, "온라인 신문 댓글의 내용 분석 : 댓글이 유형과 댓글 게시자의 성향",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65-84, 2007. 

  31. 최민재, 김위근, "포털 뉴스서비스의 의제 설정 기능에 관한 연구 : 제공된 뉴스와 선호되 뉴스의 특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 437-463, 2006. 

  32. 한은정, 서보밀, "IPTV 도입에 따른 국내 양방향 방송 매체간 경쟁 관계 비교: 적소 이론의 적용", 한국전자거래학회, 제15권, 제4호, pp. 1-321, 2010. 

  33. 한혜경, "인터넷 이용자의 여론 지각과 의견 표현 : 현실공간과 사이버공간의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제23호, pp. 189-222, 2003. 

  34. 황성기, "뉴스 매개자로서의 포털 뉴스 서비스의 언론성 및 법적 책임", 2007. 

  35. 황용석, "포털저널리즘에 관한 이론적 고찰 : 포털뉴스의 언론적 특성과 그 영향", 언론중재, 제25권, 제4호, pp. 1-27, 2005. 

  36. Festinger, L.,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Human relations, Vol. 7, 1954. 

  37. Petty, R. E. and Cacioppo, J. T.,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ttitude change," New York : Springer, 1986. 

  38. Petty, R. E., Cacioppo, J. T., and Goldman, "Personal involvement as a determinant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ttitude change," New York : Springer, 1981. 

  39. Tajfel, H. and Turner, J. C.,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ur, In S. Worchel and W. G. Austin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7-24), Chicago, IL : Nelson-Hall, 1986. 

  40. Williams, 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Behavior," CA : Wadsworth Pub Co.,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