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마늘의 부위별(뿌리, 줄기 및 잎) 무기성분 함량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한 결과, 부위에 관계없이 K과 Ca이 다른 무기성분에 비해 그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mg tannic acid eq./100 g dry wt.)은 잎($792.7{\pm}16.6$ mg) > 줄기($160.3{\pm}6.8$ mg) > 뿌리($101.5{\pm}2.7$ mg) 순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quercetin eq./100 g dry wt.)은 잎($497.9{\pm}11.1$ mg) > 뿌리($35.7{\pm}0.4$ mg) > 줄기($18.5{\pm}1.4$ mg) 순이었다. DPPH 라디칼(최종농도 250 ${\mu}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한 결과, 뿌리 30 mg, 줄기 25 mg, 그리고 잎 4 mg에서 $SC_{50}$값을 보였고, CE-OOH 생성 억제 효과는 잎 > 줄기 > 뿌리 순이었다. 그리고 부위별 항균활성 검토 결과, 뿌리, 줄기, 잎 모두 C. perfringens, S. aureus, L. monocytogenes, V. vulnificus, V. parahaemolyticus에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 특히 C. perfringens 균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sis of the various constituents and determin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different parts (root, stem, and leaf)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ere carried out. Potassium and calcium were detected in higher contents (mg/100 g fresh wt.) than other minerals. The total phenol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DL은 산화에 민감한 cholesterol 및 cholesteryl ester를 약 50%정도 함유하고 있어 혈액 내에서 활성산소종의 공격으로 산화되어 혈관벽에 플라크를 침착시켜 동맥경화를 야기한다(30). 본 연구에서는 동이온 유도 산화에 의해 생성된 CE-OOH의 생성 억제능을 비교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산마늘의 부위별 건조중량 50 µg을 쥐 혈장에 첨가하여 동이온에 의해 유도된 산화반응 후(7시간), CE-OOH 생성농도를 측정한 결과(Fig.
  • 또한 마늘, 양파 및 부추가 강한 항산화 활성을 발휘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산마늘에 대한 항산화 활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성에서 재배ㆍ생산된 산마늘에 함유된 일반성분, 무기성분,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등의 함량을 부위별(뿌리, 줄기, 잎)로 분석하고, 항균 및 항산화 활성 또한 평가함으로써 산마늘의 식품학적 특성및 기능성을 발굴하여 농가 소득증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No inhibition zone was form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마늘이란 무엇인가?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은 백합과(Liliaceae)의 Allium속 식물로서 시베리아, 중국, 한국, 일본, 아메리카, 히말라야 산지의 낙엽 활엽수림 밑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1-3). 우리나라의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평창, 태백 등의 높은 산지에서는 작은 군락을 형성하여 자생하나 그와는 달리, 울릉도에서는 비교적 큰 군락을 형성하여 산지 전역에 분포되어 자생하고 있다(1,4).
산마늘과 같은 Allium 속의 대표적인 식물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산마늘과 같은 Allium속의 대표적인 식물들이라 할 수있는 마늘, 양파 및 부추 등에 비해 아직 많은 연구가 행하여 지지 않았으며, 행해진 기존의 연구 또한 주 생산지인 울릉도에서 생산되는 산마늘의 식생분포와 재배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마늘, 양파 및 부추가 강한 항산화 활성을 발휘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는 반면, 산마늘에 대한 항산화 활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산마늘꽃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생육 최적성기는 6월 중순이며, 하기에는 지상부가 고사하고 인경만이 휴면에 들어가 월동한 후, 다시 이른 봄에 맹아하여 생육하게 된다(3,6). 꽃은 백색 또는 황색으로 5-7월에 높이 40-70 cm의 크기로 피고, 잎은 길이 20-30 cm, 너비 3-10 cm의 타원형으로 양끝이 좁고 윤 채가 없으며, 갈색을 띠는 인경은 길이 4-7 cm로 그물 같은 섬유로 외피가 덮여져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i ST, Lee JT, Park WC. Growth environm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nativ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lyllum in Ulrung island. J. Korean Agr. Chem. Soc. 36: 502-509 (1993) 

  2. Kim WB, Kim JG, Lee EA, Kim BH, Kim JK, Lim HT. Plant regeneration from bulb expla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lyllum Makino.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3: 123-127 (1996) 

  3. Choi ST, Lee JT, Park WC. Dormancy physiology, softening culture and evaluation of nutrition value in the Ulrung-nativ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lyllum. J. Korean Agr. Chem. Soc. 36: 495- 501 (1993) 

  4. Choi JW, Lee KT, Kim WB, Park KG, Jung HJ, Park HJ. Pharmcological effect of th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racts on the rats induced by streptozotocin, poloxamer-407, CCl4, and D-galactosamine. Korean J. Pharmacogn. 34: 250-255 (2003) 

  5. Lee HJ, Lee SK, Choi YJ, Jo HJ, Kang HY, Lee SS, Choi DH. Extractives from the Allium victorials. J. Korean For. Soc. 96: 620-624 (2007) 

  6. Choi JW, Lee KT, Kim WB, Park KK, Chung WY, Lee JH, Lim SC, Jung HJ, Park HJ. Effec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eaves on Triton WR-1339-Induced and poloxamer-407- Induced hyperlipidemic rats and on diet-induced obesity rats. Korean J. Pharmacogn. 36: 109-115 (2005) 

  7. Bae KH, Hong SC.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gr. Res. Bull. Kyungpook Natl. Univ., Korea 13: 45-53 (1995) 

  8. Park SC, Park HJ, Yun SY, Lee MS, Kim WB, Jung WT. Structures of flavonoids and furostanol glycosides isolated from the bulbs of Allium victorialis L. J. Korean Soc. Hort. Sci. 37: 675- 679 (1996) 

  9. Kim WB, Yoo KO, Ryu SY, Seo JT, Om YH, Jung HT. Intra specific variations of the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J. Korean Soc. Hort. Sci. 38: 129-132 (1997) 

  10. Suh JT, Kim WB, Lee WC, Kim BH, Kim JK, Paik WK, Yoo KO. Nativ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Makino. RDA. J. Agr. Sci. 38: 654- 659 (1996) 

  11. Whitaker J. Development of flavor, odor, and pungency in onion and garlic. Adv. Food Res. 22: 73-133 (1976) 

  12. Jeong JC, Ok HC, Hur OS, Kim CG, Kim SY, Kim WB. Food value and postharvest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garlic (Allium Vicorialis var. platyphyllum) in Korea. Korean J. Hort. Sci. Technol. 23: 164-169 (2005) 

  13. Wijiaya CH, Muchtani D, Lalel HJ, Zakaria F, Kowara S. Antiplaelet aggregation potencies of some Allium spp. grown in Indonesia. Nat. Prod. Sci. 2: 37-42 (1996) 

  14. Liakopoulou-Kyriakides M, Sinakos Z, Kyriakidids DA. Identification of alliin, a constituent of Allium cepa with an inhibitory effect on platelet aggregation. Phytochemistry 24: 600-601 (1985) 

  15. Lee KT, Choi JH, Kim DH, Kim WB, Kwon SH, Park HJ. Constituents and the antitumor principle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Arch. Pharm. Res. 24: 44-50 (2001) 

  16. Kim TG, Kim SH, Kang SY, Jung KK, Choi DH, Park YB, Ryu JH, Han HM. Antiatherogenic effect of the extract of Allium vitorialis on the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the rabbit and transgenic mouse. Korean J. Pharmacogn. 31: 149-156 (2000) 

  17.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8th ed. Method 930.04, 930.05, 930.09, and 979.09.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Gaithersburg, MD, USA (2005) 

  18. KFDA. Korea Food Code. Korean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7) 

  19. Swain T, Hills WE, Ortega M.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 10: 83-88 (1959) 

  20.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21. Abe N, Nemoto A, Tsuchiya Y, Hojo H, Hirota A. Studies of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mechanism for a 2-pyrone compound. Biosic. Biotech. Bioch. 64: 306-333 (2000) 

  22. Kim JY, Cho JY, Ma YK, Park KY, Lee SH, Ham KS, Lee HJ, Park KH, Moon JH.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and flavonoid glucosides from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Food Chem. 125: 55-62 (2011) 

  23. Cha WS, Cho MJ, Ding JL, Shin HJ. Nutritional component analysis of green tea tree's root and see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387-391 (2008) 

  24. Ding JL, Lim IJ, Lee HD, Cha WS.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 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14-417 (2006) 

  25. Abbey M, Nestel PJ, Baghurst PA. Antioxidant vitamins and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m. J. Clin. Nutr. 58: 525-532 (1993) 

  26. Kim IW, Shin DH, Choi U.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Fhus verniciflua stokes screened from some Chines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55- 863 (1999) 

  27. Renaud S, de Lorgeril M. Wine alcohol, platelets, and the French Paradox for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339: 1523-1526 (1992) 

  28. Jang EK, Seo JH, Lee SP.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43-448 (2008) 

  29.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2006) 

  30. Kim GD, Lee YS, Cho JY, Lee YH, Choi KJ, Lee Y, Han TH, Lee SH, Park KH, Moon JH. Comparison of the content of bioactive substances and the inhibitory effects against rat plasma oxidation of conventional and organic hot peppers (Capsicum annuum L.). J. Agr. Food Chem. 58: 12300-12306 (2010) 

  31. Kim KU, Do JR, Kim HK.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28-232 (2005) 

  32. Park JH, Han NS, Yoo JY, Kwon DJ, Shin HK, Koo YJ. Screening of the foodstuffs influencing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spp. and Clostridium perfrin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5: 582-588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