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차광정도가 산마늘의 생육 및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ing Levels on the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Makino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1 no.3, 2012년, pp.281 - 285  

박병모 (전북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배종향 (원광대학교 원예애완동식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쌈채 및 강장제로 이용되고 있는 산마늘을 조경용 지피식물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 정도를 30%, 50%, 80%로 처리하여 생육 특성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엽수는 처리구별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80% 차광 처리구가 각각 16.8cm, 10.1cm로 무처리구의 13.4cm, 7.3cm에 비해 우수하였다. 생체중은 무처리구가 차광 처리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무처기구가 8.5g인데 비해 80% 차광 처리구가 0.4g로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50% 차광 처리구가 42.8, 80% 차광 처리구가 40.5로 무처리의 36.7에 비해 높았다. 따라서 차광 수준에 따른 산마늘의 생육 특성은 80% 차광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하여 음지성 지피식물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hat leafty and tonic vegetable using garlic (Allium victorialis L. var. platyphyllum Makino) makes use of landscape ground-cover plant. Following shading level treatments (30%, 50%, 80%), garlic was cultivated to investigate plant growth characteristic and 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Ota(1982)의 Ophiopogon japonicus 및 Miyachi 등(1980)은 양엽과 음엽의 형태적 차이와 광부족 환경하에서 식물의 적응현상을 형태적으로 연구한 보고서가 있으며 광도 변화에 따른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리적 반응실험에서는 식용으로 이용하기 위한 광합성의 특성 및 엽록소 함량을 분석한 실험(Kwon 등, 2009) 등이 있으나 아직까지 조경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산마늘에 대한 음지성 적응 실험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마늘을 조경용 지피식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광 조건을 달리하여 생육상황, 엽록소함량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쌈채 및 강장제로 이용되고 있는 산마늘을 조경용 지피식물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 정도를 30%, 50%, 80%로 처리하여 생육 특성 및 엽록소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자생식물은 몇 종이나 있는가?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은 11속 1,116종으로서 약 4,500종류의 고등식물이 일반적 식물도감 등에 소개되고 있으며(Ko와 Kim, 1989), 이중에서 조경수목으로서 요구되어지는 특성을 지닌 식물은 약 200여종에 불과하며, 그 중에서 공급과 수요에 있어서 적절한 균형을 갖추어 조경식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는 수종은 약 100여종에 이르고 있다(Lee와 Han, 1995).
국내에서 산마늘은 주로 어디에서 자생하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 설악산, 울릉도 숲속이나 우리나라 북부에서 주로 자생하는 다년생식물로 식물 전체에서 강한 마늘 냄새가 나며 주로 약용식물로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울릉도에서는 옛날 춘궁기에 구황식물로 사용하여 명(命)이라고 하여 지금까지 명이나물이라고 한다.
지피식물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에는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조경 식재 식물보다는 주거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녹지의 감소로 인하여 녹지의 공급이 절대적이므로 지피식물의 식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피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지표면을 조밀하게 피복할 수 있는 식물을 총칭하며, 경관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부류의 식물소재로 지표를 치밀하게 덮으며, 대개 생육 초기에는 50~100cn 이하로 성장하고 지상부의 생장은 더디면서 지하경의 생장이 뛰어난 식물을 말한다(Bang, 2009). 지피식물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차광실험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Kim(2001)과 Hong 등(2006)은 바위솔의 차광정도에 따른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Park 등(2004)은 삽주의 실험 결과를 보고한바 있으며, Kwon 등(2009)은 광도변화에 따라 산마늘, 곰취, 곤달비의 생리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Kim 등(2012)은 차광처리에 의한 잔대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특성을 파악하여 잔대의 임간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ng, K.J. 2009. Ground cover plants. Landscape Architecture Publishing Co., LTD. pp. 12 (in Korean). 

  2. Han, J.S., S.K. Kim, S.W. Kim, and Y.J. Kim. 2001. Effects of shading treatments and harvesting methods on the growth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Kor. J. Medicinal Corp Sci. 9(1):1-7 (in Korean). 

  3. Hong, C.K., S.B. Bang, and J.S. Han. 1996. Effects of shading net on growth and yield of Aster scaber Thunbe and Ligularia fischeri Turcz. RDA. J. Agri. Sci. 38(2):462-467 (in Korean). 

  4. Hong, D.O., C.W. Lee, H.Y. Kim, J.H. Kang, Y.S. Ryu, and S.C. Shin. 2006. Shading effects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4:239-243 (in Korean). 

  5. Kim, G.S. and J.S. Lee. 2009. Growth reaction of some ground cover plant in Korean native greening according to shading levels. Flower Res. J. 17(2):75-80 (in Korean). 

  6. Kim, J.W., J.H. Yoon, K.S. Jeon, J.M. Jung, H.R. Jung, M.G. Cho, and H.S. Moon. 2012. Growth characteristics of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um by shading treatments.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6(2):19-25 (in Korean). 

  7. Kim, S.K. 2001. Effect of shading and growing medium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leaf color of several Orostachys species native to Korea. Master Thesis, Chongbuk National Univ., Chonju (in Korean). 

  8. Kitato, M., H. Utsugi, S. Kuramoto, R. Tabuchi, K. Fujimoto, and S. Lihpai. 2003. Light-dependent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indicated by chlorophyll fluorescence in five mangrove species natived to Pohnpei Island, Micronesia. Physiol. Plantarum 117:376-382. 

  9. Ko, K.M. and Y.S. Kim. 1989. Flora of Korea. Academy Pub. pp. 3 (in Korean). 

  10. Kwon, K.W., G.N. Kim, and M.S. Cho. 2009.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three wild vegetable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 Jour. Kor. For. Soc. 98(1): 106-114 (in Korean). 

  11. Lee, C.B. 2003. Flora of Korea. Hangmoon Publishing Co., LTD. pp. 910 (in Korean). 

  12. Lee, J.K. and B.K. Han. 1995. A study on the ground cover plant applic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construction. Jour. of Garden 13(1):39-48 (in Korean). 

  13. Lee, Y.N. 1998.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pp. 806 (in Korean). 

  14. Miyachi, Tnaka, and Kato. 1980. Different of sun leaf and shade leaf. Chlorophyll, Rikougakusya, Tokyo, Japan 311-312. 

  15. Ota. 1982. Janohike effect of on the growth of Janohike in the shading. Jouenzasshi 45(3):168-174. 

  16. Park, B.M., C.H Kim, J.H. Bae, and J.R Shin. 2011. Effect of shading level on the soil properties,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igularia stenocephala. Jour. of Bio-Environ. Control 20(4):352- 356 (in Korean). 

  17. Park, I.H. 1993. Studies on the shade adaptation of native ground cover plant, Disporum spp. and Sedum sarmentosum. Journal of th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1(1):1-12 (in Korean). 

  18. Park, J.M., J.H. Kang, and M.B. Kim. 2004.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shading and flower bud pinching. Korean J. Medicinal Corp. Sci. 12: 231-23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