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주의 유전자원별 과실특성과 Charantin 성분 함량
Charantin Contents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Accession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1 no.4, 2012년, pp.379 - 384  

이희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문지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팀) ,  이우문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이상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김애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  우영회 (한국농수산대학) ,  박동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채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여주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과실특성과 charantin 함량을 분석하고, 추후 유전자원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010년에 선발된 수량이 높은 계통 2점의 charantin 함량을 HPLC 분석한 결과, 착과 후 일수에 따른 함량의 변이를 보였는데, BG1은 착과 후 24일 15일순으로 charantin 함량이 높게 나타나 착과 후반부에 charantin 함량이 높게 나타난 반면 BG7은 착과 후 일수가 13일에 가장 높았고, 16일 19일 순으로 charantin 함량이 높게 나타나 착과 전반부에 charantin 함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rantin 성분 함량이 높은 여주품종 선발 및 수확시기 규명을 위하여 한국, 중국, 인도, 일본 등에서 도입한 유전자원 33점과 시판종 1점중 수량이 높은 13점의 과실특성 및 charantin 함량을 HPLC 분석한 결과 charantin 함량이 높은 104615, K169995, 엔에스454을 선발하였다. 따라서 수량이 높은 13점의 여주자원중 charantin 함량이 높았던 K169995나 NS454은 새로운 품종 육성이나 가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수량이 많았던 K161952나 K051434 등은 과실 생산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착과후 시기별로 용도에 따라 수확을 하여 이용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has long been used for food and medicinal plant in Korea, China and Japan.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productivity, and vitamin-C and charantin contents in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accessions. The contents of charantin of these two accession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여주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과실특성과 charantin 함량을 분석하고, 추후 유전자원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실험은 국내에 보유하고 있는 여주 유전자원의 과실특성과 수량을 조사하고 착과 후 일수에 따른 vitamin C와 charantin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형질이 우수하고 기능성성분 함량이 높은 자원을 선발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품종 육성에 활용하는 한편 목적 성분에 따른 적정 수확시기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주를 쓴오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는 미숙 과실의 쓴맛 때문에 쓴오이(bitter gourd, bitter melon, bitter cucumber)라고도 하며, vitamin C, 칼륨,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며 특히 혈당저하기능이 있는 charantin, momordicin 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성분이 높은 박과채소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주는 일본에서 분말제나 차로 가공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더위를 이기는 건강채소로 직접 조리하여 섭취하는 식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여주에 함유되어 있는 혈당저하기능이 있는 성분은? 여주(Momordica charantia L.)는 미숙 과실의 쓴맛 때문에 쓴오이(bitter gourd, bitter melon, bitter cucumber)라고도 하며, vitamin C, 칼륨,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며 특히 혈당저하기능이 있는 charantin, momordicin 이라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 성분이 높은 박과채소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주는 일본에서 분말제나 차로 가공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더위를 이기는 건강채소로 직접 조리하여 섭취하는 식문화가 발달되어 있다.
유전자원 중 BG 1과 BG 7을 대상으로 착과 후 일자별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BG 1은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유전자원중 BG 1과 BG 7을 대상으로 착과 후 일자별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한 결과 착과 후 일수에 따른 유의차가 인정되었고, 계통에 따라 그 경향에 차이를 보였다. 즉 BG 1은 착과 후 24일에 수확한 과실이 생체중 100g당 60mg으로 비타민 C 함량이 가장 높았고, 20, 16일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착과후 일수가 오래 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BG 7은 착과 후 17일에 수확한 과실의 비타민 C 함량이 생체중 100g당 약 50mg으로 가장 높았고 18일, 19일, 14일 순으로 높게 나타나 착과후 19일까지는 높게 유지되다가 점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dams, P. and L.C. Ho. 1992. The susceptibility of modem tomato cultivars to blossom end rot in relation to salinity. J. Hort. Sci. 67:827-839. 

  2. Ali, L., A.K. Khan, M.I. Mamun, M. Mosihuzzaman, N. Nahar, M. Nur-e-Alam, and B. Rokeya. 1993. Studies on hypoglycemic effects of fruit pulp, seed, and whole plant of Momrdica charantia on normal and diabetic model rats. Planta Med. 59:408-412. 

  3. Behera, T.K., S.S. Dey, A.D. Munshi, B. Ambika, A.P. Gaikwad, and I. Singh. 2009. Sex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gynoecious hybrids in bitter gourd. Scientia Horticulturae 120:130-133. 

  4. Dey, S.S., A.K., Singh, D. Chandel, and T.K. Behera. 2006. Genetic diversity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genotypes revealed by RAPD markers and agronomic traits.. Scientia Horticulturae 109:21-28. 

  5. Jittawan, K. and Siriamornpun, S. 2008.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leaf, stem and fruit fraction extracts in vitro. Food Chemistry 110:881-890. 

  6. Lawrence, L., R. Birtwhistle, J. Kotecha, S. Hannah, and S. Cuthbertson. 2009. Anti-diabetic and hypoglycaemic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bitter melon): a mini review.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2:1703- 1708. 

  7. Lee, J.W. 2010. Chem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Disser-tation (Ph. D.), Chonbuk Natl. Univ., Korea. 

  8. Nadine, B., M. Gbeassor, K. Akpagana, J. Hudson, K.D. Soussa, K. Koumaglo, and J.T. Arnason. 2005. Ethnomedicinal uses of Momordica charantia (Cucurbitaceae) in togo and relation to its phyto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y.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96:49-55. 

  9. Olaofea, O., B.Y. Okiribitia, and M.O. Aremub. 2008. Chemical evaluation of the nutritive value of smooth luffa (Luffa cylindrica) seed's kernel. EJEAFChe 7: 3444-3452. 

  10. Park, Y., H.O. Boo, Y.L. Park, D.H. Cho, and H.H. Lee.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omordica charantia L. extracts. Kor. J. Medicinal Crop Sci. 15:56-61. 

  11. Parreira, M.C., C.N. Piffer, G.F.G.P. Roberto, and A.A.D.A. Luis. 2011. Water, temperature and light on bitter melon germination. Bioscience Journal 27: 363-370. 

  12. Poma, A., K. Galeota, M. Miranda, and L. Spano. 1997. A ribosome-inactivating protein principle from hairy roots and seeds of Luffa cylindrica (L) Roem and its cytotoxicity on melanotic and melanoma cell line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gnosy 35:212-214. 

  13. Raman, A. and C. Lau. 1996. Anti-diabetic properties and phytochemistry of Momordica charantia L. (Cucarbitaceae). Phytomedicine 2:349-362. 

  14. Sharma, S.R., S.K. Dwivedi, and V.P. Vershney. 1996. Antihyperglycaemic and insulin release effects of Aegle mamelos leaves in sterptozotocin-diabetic rats. Phytother. Res. 10:426-428. 

  15. Sook, Y.L., S.H. Eom, Y.K. Kim, N.I. Park, and S.U. Park. 2009. Cucurbitane-type triterpenoids in momordica charantia Linn. Journal of Medicinal Plants Research 3:1264-1269. 

  16. Sunil, G., R. Gopal, and M.V. Singh. 2007. Growth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bitter-gourd plants grown with variable calcium supply in sand culture. Journal of Plant Nutrition 30:2051-59. 

  17. Tanaka, S., C. Uno, M. Akimoto, M. Tabata, C. Honda, and W. Kamisako. 1991. Anti-allergic effect of bryonolic acid from Luffa cylindrica cell suspension cultures. Planta Med. 57:527-30. 

  18. Tabata. M., S. Tanaka, H.J. Cho, C. Uno, J. Shimakura, and M. Uro. 1993. Production of an anti-allergic triterpene, bryonolic acid, by plant cell cultures. Journal of Natural Products 56:165-174. 

  19. Wu, S.J. and L.T. Ng. 2007.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ild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inn. var. abbreviata Ser.) in Taiwan. LWT Food Sci. and Tech. 23:325-3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