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자생식물의 내염성 정도 구명
Salt Tolerance of Various Native Plants under Salt Stress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21 no.4, 2012년, pp.478 - 484  

심명선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김영재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이정희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  신창호 (국립수목원 전시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염토지대에 조경용 식재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과에 속하는 자생식물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염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NaCl의 처리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과 이온흡수 특성도 파악하여, 여러 식물에 대한 내성 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 노랑꽃창포, 밀사초, 여우꼬리사초, 줄사초,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 및 땅채송화 등을 이용하였다. 염농도는 0, 100, 200, 300mM로 처리해 주었다. 처리 4주 후 지상부 및 뿌리의 생체중 건물중, 엽내 무기이온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줄사초, 왕밀사초, 여우꼬리사초, 노랑꽃창포 등은 NaCl 200mM의 고농도에서도 잘 견디는 초종으로 판단되었다.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등은 지하부 생육이 NaCl 100mM의 농도에서 저하되어, 지상부다 뿌리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노줄사초는 K의 흡수량이 감소되었고,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3으로 다른 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애기부들은 NaC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K, Ca, Mg의 흡수량이 일시 증가하다가 200mM의 농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0.8로 조사되었다. 땅채송화 및 바위채송화 등도 NaCl 100~200mM의 범위에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위채송화는 NaCl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K, Ca, Mg의 흡수량이 일시 증가하다가 200mM의 농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땅채송화는 염농도에 따라 흡수량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Na/K의 비율은 300mM의 농도에서 모두 1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여우꼬리사초, 왕밀사초, 줄사초, 노랑꽃창포 등은 식물의 생육 및 이온흡수 특성을 고려할 때 NaCl 200mM의 고농도에서도 잘 견디는 초종으로 판단되었고, 특히 사초과 식물들의 내염성이 검증되어 앞으로 많이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되었다.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채송화, 땅채송화 등은 NaCl 100mM의 농도에서도 뿌리의 생육이 저하되었으며, 염처리에 따른 잎의 이온흡수특성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 and ion absorbance balance of various native plants affected by the NaCl concentration (0, 100, 200, 300 mM). Carex blepharicarpa, Carex lenta, Carex matsumarae, Carex sendaica, Iris pseudacorus L., Sedum oryzifolium Makino, Sedum polytric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에서는 염토지대에 조경용 식재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과에 속하는 자생식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염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NaCl의 처리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과 이온흡수 특성도 파악하여, 여러 식물에 대한 내성 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 노랑꽃창포, 밀사초, 여우꼬리사초, 줄사초, 홍노줄사초, 애기부들, 바위 및 땅채송화 등을 이용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염토지대에 조경용 식재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과에 속하는 자생식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염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NaCl의 처리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과 이온흡수 특성을 파악하여, 여러 식물에 대한 내성 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염토지대에 조경용 식재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여러 과에 속하는 자생식물의 염 스트레스에 대한 내염성 정도를 조사하였다. NaCl의 처리에 따른 식물의 생육반응과 이온흡수 특성을 파악하여, 여러 식물에 대한 내성 정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 처리가 식물에게 주는 영향은? 토양 중에 Na과 Cl가 고농도로 존재하면 식물은 염 스트레스를 받으며, 염 스트레스는 독성, 수분포텐셜의 저하, 이온의 흡수 및 수송의 억제에 의한 불균형을 일으키며, 식물의 생산성 억제와 초기생장 감소를 가져온다(Munns와 Termaat, 1986). 게다가, 염 처리는 많은 식물에 Na와 Cl의 증가를 일으키고, Ca, K, Mg의 레벨을 감소시키며(Khan 등, 2000; Khan, 2001), 식물 생장에 부적절하게 Na/K, Na/Ca, Na/Mg비를 증가시킨다(Jeschke 등, 1987; Lacerda 등, 2003).
식물에 대한 염 스트레스가 주는 영향은? 식물에 대한 염 스트레스는 생장, 광합성, 단백질 합성, 에너지나 지방질대사 등 모든 중요한 과정에 영향을 주어 생장억제를 일으키지만, 염에 대한 치사농도, 생장감소율과 내성 레벨은 식물 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Parida와 Das, 2005). 염토지대의 녹화에 적합한 초종을 선발하기 위해 자생식물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이 국화과 식물들 위주로 수행되었다.
염토지대의 녹화에 적합한 초종을 발견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에서 국화과 식물은 어떤 것들이 있는데 내염성이 우수한 초종과 중정도의 초종, 약한 초종은 무엇이 있는가? 염토지대의 녹화에 적합한 초종을 선발하기 위해 자생식물들을 대상으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이 국화과 식물들 위주로 수행되었다. 갯쑥부쟁이, 갯개미취, 갯패랭이, 왕갯쑥부쟁이, 오리새 등은 내염성이 우수한 초종, 눈개쑥부쟁이, 벌노랑이, 쑥부쟁이, 톱풀 등은 중정도의 초종, 벌개미취와 층꽃나무는 내염성이 약한 초종으로 보고되었다(Park 등, 2003). 다른 자생식물들에 대한 내염성 연구는 아직 많이 보고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gastian, P., S.J. Kingsley, and M. Vivekanandan. 2000. Effect of salinity on photosynthesi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in mulberry genotypes. Photosynthetica 38: 287-290. 

  2. Ashraf, M. and A. Orooj. 2006. Salt stress effects on growth, ion accumulation and seed oil concentration in an arid zone traditional medicinal plant ajwain. J. Arid. Environ. 64:209-220. 

  3. Chartzoulakis, K. and G. Klapaki. 2000. Response of two green house pepper hybrids to NaCl salinity during different growth stages. Sci. Hort. 86:247-260. 

  4. Cramer, G.R., J. Lynch, A. Lauchli, and V.S. Polito. 1987. Influx of Na, K and Ca into roots of salt-stressed cotton seedlings. Plant Physiol. 83:510-516. 

  5. Fox, T.C. and M.L. Guerinot. 1998. Molecular biology of cation transport in plants.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9:669-696. 

  6. Jeschke, W.D., J.S. Pate, and C.A. Atkins. 1987. Partitioning of K, Na, Mg, and Ca through xylem and phloem component organs and nodulated white lupin under mild salinity. J. Plant Physiol. 128:77-93. 

  7. Khan, M.A. 2001. Experimental assessment of salinity tolerance of Ceriops tagal seedlings and sapling from the Indus delta, Pakistan. Aquat. Bot. 70:259-268. 

  8. Khan, M.A., I.A. Ungar, and A.M. Showalter. 2000. Effects of sodium chloride treatments on growth and ion accumulation of the halophyte Haloxylon recurvum. Commun. Soil Sci. Plant Anal. 31:2763-2774. 

  9. Kim, J.S., I.S. Shim, and M.J. Kim. 2010. Physiological response of Chinese cabbage to salt stress. Kor. J. Hort. Sci. Technol. 28:343-352. 

  10. Kurban, H., H. Saneoka, K. Nehira, R. Adilla, G.S. Premachandra, and K. Fujita. 1999.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mineral composition in leguminous plant Alhagi pseudoalhagi (Bieb.). Soil Sci. Plant Nutr. 45:851-862. 

  11. Lacerda, C.F., J. Cambraia, M.A. Cano, H.A. Ruiz, and J.T. Prisco. 2003. Solut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during shoot and development in two sorghum genotypes under salt stress. Environ. Exp. Bot. 49: 107-120. 

  12. Mansfield, T.A., A.M. Hetherington, and C.J. Atkinson. 1990. Some aspects of stomatal physiology.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1:55-75. 

  13. Munns, R. and A. Termaat. 1986. Whole-plant responses to salinity. Aust. J. Plant Physiol. 13:143-160. 

  14. Parida, A.K. and A.B. Das. 2005. Salt tolerance and salinity effects on plants. Ecotoxicol. Saf. 60:324-349. 

  15. Park, H.R., H.H. Jeong, S.M. Lee, C.H. Lee, and K.S. Kim. 2003. Selection of salt-tolerant native plants for revegetation in saline area. Kor. J. Hort. Sci. Technol. 21(Suppl.):76. 

  16. Rangel, Z. 1992. The role of calcium in salt toxicity. Plant Cell Environ. 15:625-6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