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수지표를 이용한 우리나라 강수량의 시간적인 특성 변화
Rainfall Variation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Using Rainfall Indicator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5 no.4, 2012년, pp.393 - 407  

홍성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김영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이원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공학부) ,  정은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디자인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거에서부터 기록된 우리나라 65개의 관측소들을 대상으로 강수량 데이터를사용하여 강수빈도와 극한 지표들을 산출해 냄으로써, 지표에 따라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고 시공간적인 증 감율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시계열로 도시함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지만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통계적 방법인 Mann-Kendall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여 이에 대해 파악하였다. 더불어 FARD를 이용하여 100년과 200년의 빈도확률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강우특성을 크게 Amount, Extreme, Frequency로 분류하고 각각의 지수를 강우량 지수(Rainfall Index for Amount), 강우극치 지수(Rainfall Index for Extremes), 강우빈도 지수(Rainfall Index for Frequency)로 정의하고 RIA, RIE, RIF를 산술평균하여 홍수에 대한 종합적인 강우 위험도를 나타내는 평균 강우지수(Average Rainfall Index, ARI)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과거에 비해 최근 10년간 강우량의 정량적인 평가 특성은 양적으로 22.3%, 극치사상 발생측면은 26.2%, 빈도측면은 5.1% 증가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최근 우리나라 기후변화 경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 대비 적응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the results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for rainfall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We got the index of the rainfall amount, frequency and extreme indices from 65 weather stations. The results could be easily understood by drawing the graph, and the Mann-Kendall trend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이전부터 운영된 우리나라 65개의 관측소들을 대상으로 강수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강수빈도와 극한지표들을 산출해 냄으로써, 지표에 따라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고 시간적인 증·감률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고자한다.
  • 본 연구는 강수빈도와 극한 사상에 대한 기후변화의 관련성을 지수화하여 보다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우리나라 전역에 고르게 분포되어있는 65개의 관측소들을 대상으로 과거에서부터 기록된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여 지표를 산출하였고 지표의 성격에 따라 크게 RIA, RIE, RIF로 분류하여 시공간적 증 감률과 각 지표의 경향성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화하고 있는 강수량을 고려한 빈도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의 양과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재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변화하고 있는 강수량을 고려한 빈도해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문기호 등, 2010). 기후변화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연자료 및 연평균 자료 분석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극한 사상의 발생빈도와 경향성과 같은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집중호우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기상현상은 20세기와는 판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이는 과거에 비해 비정상적인 기후 즉, 극치 기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및 범람이나 극심한 가뭄, 기온의 급격한 변화로 인한 폭염 및 혹한 등의 극한 사상의 발생으로 인명피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사회 기반시설의 취약성이 커질 뿐만 아니라 인간의 행복까지 위협받는 상황이다(Karl and Eastering. 1999).
호우에 의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수공구조물 설계 시, 증가 경향이 고려된 목표연도의 확률강우량 변화를 예측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호우에 의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는 수공구조물 설계 시, 증가 경향이 고려된 목표연도의 확률강우량 변화를 예측한 연구들도 많다. “삽교천 수계 유역 종합치수계획 수립”(건설교통부, 2005)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GCM-5)를 적용한 10년 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김병식 등(2009)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극한강우의 특성분석과 IDF분석을 실시하여 미래의 기후변화가 극한 강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평가한 바있고, 경민수 등(2009)은 기후변화로 인한 우리나라의 극한홍수의 예측과 평가를 위해 GCM(General Circulation Model)으로부터 지상 관측소지점으로 축소된 월 총강수량을 기반으로 일강수를 모의할 수 있는 강수발생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강수발생모형으로부터 재현된 연 최대치를 시계열로 빈도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의 빈도별 일 강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바 있다. 권영문 등(2009)은 20년 이상 자료보유기간을 가진 기상청 관할 56개 강우관측소의 강우자료를 분석하여 증가 경향성이 존재하는 7개 지점의 설계목표년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오태석 등(2009)은 최근 10년간 주요 호우사상에 의해 홍수피해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지속시간별로 최대강우량의 빈도를 산정하였고 Jung et al. (2010)은 우리나라 186개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1973∼2005년 평균 기온과 극치 강수량에 대한 시공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편, 외국의 경우, Karl and Eastering (1999)은 지난 세기동안 세계 각국에 걸쳐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사상을 평가한 연구에서 극심하게 추운 날(cold day)은 감소하는 반면, 극심하게 더운 날(hot day)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Fowler (2005)는 관측치를 분석하여 영국 북동부 지역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극한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Nicholls et al. (1996)은 현재까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지구의 평균온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강수량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Yue and Hashino (2003)은 일본지역을 대상으로 강우 월 자료와 연 자료를 MannKendall test와 Bootstrap test를 이용하여 경향성을 분석 평가한 바 있고, Ekstrom et al. (2005)은 영국의 미래 강우 시나리오를 이용한 지역 빈도 해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과 각각의 격자 분석(Grid Box Analysis)방법을 이용하여 극한 강우의 변화양상에 대한 평가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건설교통부 (2005). 삽교천수계 유역종합치수계획. 건설교통부. 

  2. 경민수, 김형수, 김병식 (2009). "기후변화가 한반도 일 강수량의 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29-133. 

  3. 권영문, 박진원, 김태웅(2009). "강우량의 증가 경향성을 고려한 목표연도 확률강우량 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2B호, pp. 131-139. 

  4. 권원태, 부경온, 허인혜(2007). "한반도 최근 10년 기후특성." 한국수자원학회 07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278-280 

  5. 김보경, 김병식 (2009). "B2 기후변화시나리오와 극한지수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극한 강우 발생에 미치는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9, No. 1B, pp. 23-33. 

  6. 김정희, 김태훈, 오재호 (2002). "한반도에서의 기후변동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2002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1242-1245. 

  7. 문기호, 경민수, 김형수 (2010). "극한강우를 고려한 SIR알고리즘과 Bootstrap을 활용한 강우빈도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4B호, pp. 367-377. 

  8. 손태석, 신현석 (2010).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경향성 및 유출과의 탄성도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5B호, pp. 497-507. 

  9. 오태석, 김은철, 문영일, 안재현 (2009).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시간강우사상의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B호, pp. 513-526 

  10. 이상복, 김경덕, 허준행(2004). "강수자료에 대한 변동성 및 경향성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04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96-700. 

  11. 이재준, 장주영, 곽창재 (2010). "각종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별 특성변화분석(I):기본통계량, 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4호, pp. 409-419. 

  12. Goodess, C. (2005). STARDEX, Statistical and Regional dynamical Downscaling of Extremes for European regions, UK. 

  13. Ekstrom, M., Fowler, H.J., Kilsby, C.G., and Jones, P.D. (2005). "New estimates of future changes in extreme rainfall across the UK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integrations. 2. Future estimates and use in impact studies." Journal of Hydrology, Vol. 300, Issues 1-4, pp. 234-251. 

  14. Flowler, H.J. (2005). "Are extremes increasing? Changing rainfall patterns in Yorkshire." The Yorkshire and Humberside Regional Review, Vol. 15, No. 1, pp. 21-24. 

  15. Jung, I.W., Bae, D.H., and Kim, G. (2010). "Recent trends of mean and extreme precipitatio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1, No. 3, pp. 359-370. 

  16. Karl, T.R. and Eastering, D.R. (1999). "Climate extremes: Selected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limate Change, Vol. 42, No. 10, pp. 309-325. 

  17. Kunkel, K.E., Pielke, Jr. R.A., and Changnon, S.A. (1999). "Temporal fluctuations in weather and climate extremes that cause economic and human health impacts: A review."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80, No. 3, pp. 437-442. 

  18.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245-259. 

  19. Nicholls, J.M. (1996).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of climatological information and services: A review of existing assessments." World Climate Applications and Services Programme, WMO/TD No. 78, pp. 37. 

  20. Yue, S., and Hashino, M. (2003). "Long term trends of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in Japan."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Issue 3, pp. 587-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