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빔을 이용한 폴록사머 하이드로젤의 제조 및 구강 점막부착성 약물전달을 위한 특성 분석
Preparation of Poloxamer-based Hydrogels Using Electron Beam and Their Evaluation for Buccal Mucoadhesive Drug Delivery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2, 2012년, pp.182 - 189  

백은정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신백기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노영창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공업환경연구부) ,  임윤묵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공업환경연구부) ,  박종석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공업환경연구부) ,  박정숙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  허강무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폴록사머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여 구강 점막부착성 약물전달체로서의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온도감응성을 나타내는 폴록사머 고분자의 말단에 가교반응을 위한 비닐기를 도입한 후, 방사선 가교반응을 이용하여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점착성 향상을 위한 첨가제로 점착성 고분자인 카보폴을 첨가하여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고, 카보폴이 점막부착성과 서방성 방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폴록사머 고분자의 말단 개질과 카보폴의 첨가에 의해 하이드로젤의 기계적 물성과 점막부착성이 향상되었고, 약물방출실험 결과 약물이 방출되는 속도가 지연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oloxamer hydrogels were prepar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evaluated for potential application as a buccal mucoadhesive drug delivery system. Poloxamer, one of typical thermoresponsive polymers, was modified to have vinyl end groups for crosslinking reaction, and its hydrogels...

주제어

참고문헌 (29)

  1. J. S. Kim and K. Han, J. Pharm. Invest., 32, 1 (2002). 

  2. N. Salamat-Miller, M. Chittchang, and T. P. Johnston, Adv. Drug Deliver. Rev., 57, 1556 (2005). 

  3. J. R. Robinson, M. A. Longer, and M. Veillard, Ann. Ny. Acad. Sci., 507, 307 (1987). 

  4. S. H. S. Leung and J. R. Robinson, J. Control. Release, 12, 187 (1990). 

  5. H. Park and J. R. Robinson, Pharm. Res., 4, 457 (1987). 

  6. D. Duchene, F. Touchard, and N. A. Peppas, Drug Dev. Ind. Pharm., 14, 283 (1988). 

  7. C. Robert, P. Buri, and N. A. Peppas, Acta Pharm. Technol., 34, 95 (1988). 

  8. M. E. Devries, H. E. Bodde, J. C. Verhoef, and H. E. Junginger, Crit. Rev. Ther. Drug, 8, 271 (1991). 

  9. C. A. Squier, Crit. Rev. Oral Biol. M., 2, 13 (1991). 

  10. W. E. Hennink and C. F. van Nostrum, Adv. Drug Deliver. Rev., 54, 13 (2002). 

  11. H. Omidian, J. G. Rocca, and K. Park, J. Control. Release, 102, 3 (2005). 

  12. J. Kopecek, Biomaterials, 28, 5185 (2007). 

  13. J. D. Smart, Adv. Drug Deliver. Rev., 57, 1556 (2005). 

  14. P. L. Wang and T. P. Johnston, Int. J. Pharm., 113, 73 (1995). 

  15. S. Fusco, A. Borzacchiello, and P. A. Netti, J. Bioact. Compat. Pol., 21, 149 (2006). 

  16. P. Alexandridis and T. A. Hatton, Colloid Surface A, 96, 1 (1995). 

  17. Y. K. Han, J. W. Kwon, J. S. Kim, C. S. Cho, W. R. Wee, and J. H. Lee, Brit. J. Ophthalmol., 87, 1399 (2003). 

  18. H. J. Chung, Y. H. Lee, and T. G. Park, J. Control. Release, 127, 22 (2008). 

  19. M. Malmsten, Soft Matter, 2, 760 (2006). 

  20. K. Morikawa, F. Okada, M. Hosokawa, and H. Kobayashi, Cancer Res., 47, 37 (1987). 

  21. R. Bhardwaj and J. Blanchard, J. Pharm. Sci., 85, 915 (1996). 

  22. S. D. Desai and J. Blanchard, J. Pharm. Sci., 87, 1190 (1998). 

  23. J. B. Lee, K. W. Chun, J. J. Yoon, and T. G. Park, Macromol. Biosci., 4, 957 (2004). 

  24. K. W. Chun, J. B. Lee, S. H. Kim, and T. G. Park, Biomaterials, 26, 3319 (2005). 

  25. H. Y. Kweon, M. K. Yoo, J. H. Lee, W. R. Wee, Y. G. Han, K. G. Lee, and C. S. Cho, J. Appl. Polym. Sci., 88, 2670 (2003). 

  26. A. B. Lugao and S. M. Malmonge, Nucl. Instrum. Meth. B, 185, 37 (2001). 

  27. Y. J. Lee, J. H. Choi, Y. M. Lim, P. H. Kang, J. Shin, and Y. C. Nho,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8, 253 (2007). 

  28. S. Y. Jo, Y. M. Lim, M. H. Youn, H. J. Gwon, J. S. Park, Y. C. Nho, and H. Shin, Polymer(Korea), 33, 551 (2000). 

  29. I. S. Han, Y. M. Lim, H. J. Gwon, J. S. Park, and Y. C. Nho, Polymer(Korea), 35, 1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