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프트 콘텍트 렌즈용 하이드로젤의 계면학적 및 유변학적 특성 연구
Interfaci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elected Hydrogel Formulations for Soft Contact Len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2, 2012년, pp.190 - 195  

노혜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프트 콘텍트 렌즈의 재질 별 계면학적 특성 및 유변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렌즈 재료의 성분 설계에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눈물 단백질인 albumin과 IgG의 흡착량을 측정한 결과 하이드로젤의 표면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단백질 흡착량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Polydimethylsiloxane-polyvinylpyrrolidone(PDMS-PVP) 하이드로젤은 albumin과 IgG 흡착량이 가장 높았으며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polyvinylpyroolidone(HEMA-PVP)의 경우 albumin의 흡착량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한 수직항력 하에서의 하이드로젤의 토크는 실리콘 재질인 PDMS-PVP의 경우 HEMA계열보다 약 5배 이상 크게 측정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흥미로운 것은 단백질 흡착량이 적은 HEMA계열 하이드로젤의 경우 실리콘 계열 하이드로젤보다 인공 눈물 내 거동 시 마찰계수가 오히려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인공눈물 내의 하이드로젤의 거동은 단백질 흡착으로 인한 윤활 효과 외에도 하이드로 젤 고유의 구조와 회전하는 계면의 성질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faci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elected hydrogel formulations were studied to understand the contact-lens comfort in end use. It was concluded that protein adsorption from aqueous solution decreased monotonically with increasing surface energy (water wettability) of tested hydrogels. Al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여러 연구들이 인간 혈청으로부터 다양한 크기와 성질의 단백질들이 재료 표면에 흡착 시 표면 에너지의 변화량은 일정하며 또한, 그 에너지 변화량은 한 가지 단백질 흡착으로 인한 변화량과 거의 흡사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1,35-4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lbumin과 IgG 각각의 단백질의 흡착 현상을 바탕으로 인공눈물 내의 단백질들의 흡착으로 인한 하이드로젤의 거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 콘텍트 렌즈들의 재질 및 단백질 흡착에 따른 유변학적 특성 및 변화를 조사하여 렌즈 재료의 성분 설계에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실리콘 계열의 PDMS젤에 albumin과 IgG 모두 가장 많은 흡착량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텍트 렌즈에 사용되는 하이드로젤을 이용하여 눈물 단백질 흡착현상과 재료특성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눈을 깜빡일 때 렌즈에 작용하는 힘에 따른 하이드로젤의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렌즈의 유변학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는 인체의 눈물 성분과 비슷한 단백질 용액을 어떻게 만들었는가? 인체의 눈물 성분과 비슷한 단백질 용액은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12 Lysozyme (1.2 mg/mL), albumin (3.88 mg/mL) 그리고 Immunoglobulin G (IgG, 1.61 mg/mL)를 CPBSz 용액(0.01 M sodium citrate, 0.01 M sodium phosphate, 0.12 M NaCl, 0.02% sodium azide, pH 7.4)에 녹여 만들었다.
하이드로젤 렌즈의 표면 즉 계면의 성질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하이드로젤 렌즈의 표면 즉 계면의 성질은 콘텍트 렌즈의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8-10 따라서 많은 상업화된 콘텍트 렌즈 제조시 표면 개질을 통하여 렌즈의 생체 적합성을 높이는 시도를 하고 있다.
유변학적 거동을 위한 하이드로젤의 직경과 두께는? 유변학적 특성. 유변학적 거동을 위한 하이드로젤은 직경이 25 mm, 두께 600 µm인 원형으로 절단하였다. 25 mm의 평행평판 회전점도계(Rheometric사,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를 사용하여 용액상(PBS 또는 인공누액)에서의 하이드로젤 토크를 측정하였다(Figure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P. C. Nicolson and J. Vogt, Biomaterials, 22, 3273 (2001). 

  2. Y. Lai, A. Wilson, and S. Zantos, "Contact lens", in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Wiley, New York, pp. 191-218 (1993). 

  3. F. Holly and M. Refojo, J. Biomed. Mater. Res., 9, 315 (1975). 

  4. M. Allansmith, D. Korb, J. Greiner, A. Henriquez, M. Simon, and V. Finnemore, Am. J. Opthalmol., 83, 697 (1977). 

  5. J. Josephson and B. Caffery, ICLC, 6, 223 (1980). 

  6. E. Alfonso, S. Mandelbaum, M. Fox, and R. Forster, Am. J. Opthalm., 101, 429 (1986). 

  7. B. Tighe, Silicone Hydrogels: Continuous Wear Contact Lenses, Butterworth-Heinemann, Oxford, 2004. 

  8. V. A. M. Luprano, P. A. Ramires, G. Montagna, and E. Milella, J. Mater. Sci. Mater. Med., 8, 175 (1997). 

  9. E. V. Aksenenko, V. I. Kovalchuk, V. B. Fainerman, and R. Miller, Adv. Colloid Interface Sci., 122, 57 (2006). 

  10. E. Dickinson, Colloids Surf. B, 15, 161 (1999). 

  11. D. Luensmann and L. Jones, Cont. Lens & Anterior Eye, 31, 179 (2008). 

  12. J. Bohnert, T. Horbett, B. Ratner, and F. Royce, Invest. Ophthalmol. Vis. Sci., 29, 362 (1988). 

  13. B. Holden, D. Sweeney, A. Vannas, K. Nilsson, and N. Efron, Invest. Ophthalmol. Vis. Sci., 26, 1489 (1985). 

  14. X. Hu, T. Wang, L. Xiong, C. Wang, X. Liu, and Z. Tong, Langmuir, 26, 4233 (2010). 

  15. S. Meng, Z. Guo, Q. Wang, Z. Liu, Q. Wang, W. Zhong, and Q. Du, J. Biomat. Sci.-Polym. Ed., 22, 651 (2011). 

  16. K. Cai, Y. Huang, and J.-l. Yang, J. Am. Ceram. Soc., 88, 3332 (2005). 

  17. A. Hillerstrom, M. Andersson, J. S. Pederson, A. Altskar, M. Langton, J. v. Stam, and B. Kronberg, J. Appl. Polym. Sci., 114, 1828 (2009). 

  18. A. Hillerstrom and B. Kronberg, J. Appl. Polym. Sci., 110, 3059 (2008). 

  19. M. Nandu, R. Bawa, and Y. Lai, U. S. Patent 5,260,000 (1992). 

  20. J. P. Gong and Y. Osada, Prog. Polym. Sci., 27, 3 (2002). 

  21. H. Noh and E. A. Vogler, Biomaterials, 27, 5801 (2006). 

  22. B. Ratner and S. Bryant, Annu. Rev. Biomed. Eng., 6, 41 (2004). 

  23. H. Noh and E. A. Vogler, Biomaterials, 28, 405 (2007). 

  24. W. Muller, H. Ringsdorf, E. Rump, G. Wildburg, X. Zhang, L. Angermaier, W. Knoll, M. Liley, and J. Spinke, Science, 262, 1706 (1993). 

  25. J. P. Gong, G. Kagata, Y. Iwasaki, and Y. Osada, Wear, 251, 1183 (2001). 

  26. D. P. Chang, J. E. Dolbow, and S. Zauscher, Langmuir, 23, 250 (2007). 

  27. S. H. Kim, C. Marmo, and G. A. Somorjai, Biomaterials, 22, 3285 (2001). 

  28. C. Evinger, M. Shaw, C. Peck, K. Manning, and R. Baker, J. Neurophysiol., 52, 323 (1984). 

  29. H. Collewijn, V. Steen, and R. Steinman, J. Neurophysiol., 54, 11 (1985). 

  30. J. Khan and C. Graham, Arch. Ophthalmol., 109, 825 (1991). 

  31. L. Vroman, L. Adams, M. Klings, G. Fischer, P. Munoz, and R. Solensky, Ann. Ny. Acad. Sci., 283, 65 (1977). 

  32. E. Leonard and L. Vroman, J. Biomat. Sci. Polym. Ed., 2, 95 (1991). 

  33. J. Brash and D. Lyman, J. Biomed. Mater. Res., 3, 175 (1969). 

  34. P. Wojciechowski and J. Brash, J. Biomat. Sci. Polym. Ed., 2, 203 (1991). 

  35. A. Krishnan, Y. Liu, P. Cha, D. L. Allara, and E. A. Vogler, Biomaterials, 27, 3187 (2006). 

  36. H. Shirahama, J. Lyklema, and W. Norde, J. Colloid Interface Sci., 139, 177 (1990). 

  37. H. Noh and E. A. Vogler, Biomaterials, 28, 405 (2006). 

  38. H. Noh, S. T. Yohe, and E. A. Vogler, Biomaterials, 29, 2033 (2008). 

  39. P. Parhi, A. Golas, N. Barnthip, H. Noh, and E. A. Vogler, Biomaterials, 30, 6814 (2009). 

  40. A. Krishnan, J. Sturgeon, C. Siedlecki, and E. A. Vogler, Langmuir, 19, 10342 (2003). 

  41. B. Lassen and M. Malmsten, J. Colloid Interface Sci., 180, 339 (1996). 

  42. N. Barnthip, H. Noh, E. Leibner, and E. A. Vogler, Biomaterials, 29, 3062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