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자성 초전도체의 연구동향과 전망
Research Trend and Prospect in Ferromagnetic Superconductor 원문보기

韓國磁氣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v.22 no.2, 2012년, pp.66 - 72  

한상욱 (울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자성 초전도체의 발견은 상극으로 알려진 강자성과 초전도성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조화롭게 공존하는지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적인 응용을 위한 광범위한 탐구를 이끌고 있다. 본 해설논문에서는 강자성 초전도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먼저 초전도체의 쿠퍼쌍을 깨뜨리는 강한 자기장의 궤도 효과와 상자성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기장의 이러한 효과 이외에도 초전도체/강자성체 복합 구조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근접 효과에 의해 단일상 쿠퍼쌍은 강자성체를 지나가는 동안 불안정하여 아주 짧은 침투깊이를 가진다. 그러나 쿠퍼쌍이 홀-진동수 삼중상인 경우 안정되고 긴 유효길이를 가지게 되는데, 새로운 스핀 전자소자로서의 개발을 위해 그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강자성 초전도체와 양자구속효과에 의해 두 성질이 공존하는 저차원의 물질들을 소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ndings of ferromagnetic superconductor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not only for fundamental research to investigate how the antagonistic properties of ferromagnetism and superconductivity coexist peacefully but also for potential technological applications. Firstly, in order to help for u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반되는 두 특성이 한 물질 내에 공존하여 나타나는 초전도와 강자성의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강자성 초전도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II) 초전도와 자기장의 상호작용과(III) 초전도체(S)/강자성체(F) 다층박막구조의 근접효과(Proximity effect)를 설명하고 (IV) 한 물질 내에서 초전도와 강자성이 공존하는 강자성 초전도체(Ferromagnetic superconductor)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V)크기(size) 감소에 따른 현상, 즉 양자구속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에 의한 사례들을 소개하고 마무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전도 물질이 가지고 있는 성질은 무엇인가? 초전도 물질은 임계온도(Tc)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전기 저항이 0이며, 외부 자기장을 차폐하거나 밀어내는 완전 반자성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임계자기장(Hc)을 넘어서면 초전도 성질을 완전히 잃고 정상상태가 된다.
LaFeAsO의 초전도현상이 발생하는 방식은? Hosono 교수 연구 그룹에서는 임계온도(Tc)가 26 K인 새로운 철(Fe) 기반 초전도 물질 LaFeAsO : F를 보고하였다[1]. LaFeAsO는 반강자성-금속 성질을 가지고 있는 반면, LaO 층에서 산소(O) 자리를 불소(F)로 치환하면 반강자성은 점차 감소하고 전자는 증가하여 FeAs 층에 공급되어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다양한 구조의 유사 화합물인 SrFe2As2, LiFeAs, Fe(Se,Te) 등에서 새로운 초전도 현상이 발견되어 철 기반의 초전도 연구가 활발해졌다[2].
고온 초전도체 YBCO를 고온 열처리 하여 생성된 입자가 초전도성을 가지게 된 이유는? 고온 초전도체 YBCO를 고온 열처리 하여 생성된 나노입자들(100~200 nm)의 경우 덩어리의 초전도성을(Tc= 91 K) 유지하며 상온에서 강자성이 보고되었다. 표면의 산소 결함에 의한 것으로 고려되어지며, 초전도와 강자성이 공존하는지에 대해서는 불투명하다[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Y. Kamihar, T. Watanabe, M. Hirano, and H. Hosono, J. Am. Chem. Soc. 130, 3296 (2008). 

  2. G. R. Stewart, Rev. Mod. Phys. 83, 1589 (2011). 

  3. M. Tinkham, Introduction to Superconductivity, 2nd Ed., McGraw-Hill, New York (1996). 

  4. A. M. Clogston, Phys. Rev. Lett. 9, 266 (1962). 

  5. B. S. Chandrasekhar, Appl. Phys. Lett. 1, 7 (1962). 

  6. K. Maki, Physics, Long Island City, New York, 1, 127 (1964). 

  7. P. Fulde and R. A. Ferrell, Phys. Rev. 135 A550 (1964); A. I. Larkin and Y. N. Ovchinnikov, Sov. Phys. JETP 20, 762 (1965). 

  8. H. A. Radovan, N. A. Fortune, T. P. Murphy, S. T. Hannahs, E. C. Palm, S. W. Tozer, and D. Hall, Nature 425, 51 (2003) 

  9. R. Lortz, Y. Wang, A. Demuer, P. H. M. Bottger, B. Bergk, G. Zwicknagl, Y. Nakazawa, and J. Wosnitza, Phys. Rev. Lett. 99, 187002 (2007). 

  10. A. I. Buzdin, Rev. Mod. Phys. 77, 935 (2005). 

  11. H. W. Meul, C. Rossel, M. Decroux, O Fischer, G. Remenyi, and A. Briggs, Phys. Rev. Lett. 53, 497 (1984) 

  12. S. Uji, H. Shinagawa, T. Terashima, T. Yakabe, Y. Terai, M. Tokumoto, A. Kobayashi, H. Tanaka, and H. Kobayashi, Nature 410, 908 (2001) 

  13. L. Balicas, J. S. Brooks, K. Storr, S. Uji, M. Tokumoto, H. Tanaka, H. Kobayashi, A. Kobayashi, V. Barzykin, and L. P. Gor'kov, Phys. Rev. Lett. 87, 067002 (2001). 

  14. V. Jaccarino and M. Peter, Phys. Rev. Lett. 9, 290 (1962). 

  15. 이후종, 물리학과첨단기술 9, 7/8호 (2000). 

  16. N. R. Werthamer, Phys. Rev. 132, 2440 (1963) 

  17. P. G. de Gennes, Rev. Mod. Phys. 36, 225 (1964) 

  18. K. D. Usadel, Phys. Rev. Lett. 25, 507 (1970). 

  19. R. S. Keizer, S. T. B. Goennenwein, T. M. Klapwijk, G. Miao, G. Xiao, and A. Gupta, Nature 439, 825 (2006). 

  20. M. Eschrig, Phys. Today 64, 43 (2011). 

  21. V. L. Berezinskii, JETP Lett. 20, 287 (1974) 

  22. F. S. Bergeret, A. F. Volkov, and K. B. Efetov, Rev. Mod. Phys. 77, 1321 (2005). 

  23. M. Eschrig and T. Lofwander, Natue Phys. 4, 138 (2008). 

  24. B. T. Matthias, H. Suhl, and E. Corenzwit, Phys. Rev. Lett. 1, 92 (1958). 

  25. K. Machida, Appl. Phys. A 35, 193 (1984). 

  26. I. Felner, U. Asaf, Y. Levi, and O. Millo, Phys. Rev. B 55, R3374 (1997) 

  27. J. L. Tallon, C. Bernhard, M. E. Bowden, P. W. Gilberd, T. M. Stoto, and D. J. Pringle, IEEE Trans. Appl. Supercond. 9, 1696 (1999) 

  28. C. Bernhard, J. L. Tallon, Ch. Niedermayer, Th. Blasius, A. Golnik, E. Brucher, R. K. Kremer, D. R. Noakes, C. E. Stronach, and E. J. Ansaldo, Phys. Rev. B 59, 14099 (1999). 

  29. S. S. Saxena, P. Agarwal, K. Ahilan, F. M. Grosche, R. K. W. Haselwimmer, M. J. Steiner, E. Pugh, I. R. Walker, S. R. Julian, P. Monthoux, G. G. Lonzarich, A. Huxley, I. Sheikin, D. Braithwaite, and J. Flouquet, Nature 406, 587 (2000) 

  30. D. Aoki, A. Huxley, E. Ressouche, D. Braithwaite, J. Flouquet, J.-P. Brison, E. Lhotel, and C. Paulsen, Nature 413, 613 (2001) 

  31. N. T. Huy, A. Gasparini, D. E. de Nijs, Y. Huang, J. C. P. Klaasse, T. Gortenmulder, A. de Visser, A. Hamann, T. Gorlach, and H. v. Lohneysen, Phys. Rev. Lett. 99, 067006 (2007) 

  32. T. Akazawa, H. Hidaka, T. Fujiwara, T. C. Kobayashi, E. Yamamoto, Y. Haga, R. Settai, and Y. Onuki, J. Phys.: Condens. Matter 16, L29 (2004). 

  33. D. Fay and J. Appel, Phys. Rev. B 22, 3173 (1980) 

  34. T. R. Kirkpatrick, D. Belitz, Thomas Vojta, and R. Narayanan, Phys. Rev. Lett. 87, 127003 (2001). 

  35. F. Levy, I. Sheikin, B. Grenier, and A. D. Huxley, Science 309, 1343 (2005). 

  36. S. Maekawa and M. Tachiki, Phys. Rev. B 18, 4688 (1978). 

  37. T. Hattori, Y. Ihara, Y. Nakai, K. Ishida, Y. Tada, S. Fujimoto, N. Kawakami, E. Osaki, K. Deguchi, N. K. Sato, and I. Satoh, Phys. Rev. Lett. 108, 066403 (2012). 

  38. D. A. Dikin, M. Mehta, C. W. Bark, C. M. Folkman, C. B. Eom, and V. Chandrasekhar, Phys. Rev. Lett. 107, 056802 (2011) 

  39. L. Li, C. Richter, J. Mannhart, and R. C. Ashoori, Nature Phys. 7, 762 (2011) 

  40. K. Michaeli, A. C. Potter, and P. A. Lee, Phys. Rev. Lett. 108, 117003 (2012). 

  41. J. Wang, M. Singh, M. Tian, N. Kumar, B. Liu, C. Shi, J. K. Jain, N. Samarth, T. E. Mallouk, and M. H. W. Chan, Nature Phys. 6, 389 (2010). 

  42. M. Tian, N. Kumar, S. Xu, J. Wang, J. S. Kurtz, and M. H. W. Chan, Phys. Rev. Lett. 95, 076802 (2005) 

  43. Y. Chen, S. D. Snyder, and A. M. Goldman, Phys. Rev. Lett. 103, 127002 (2009). 

  44. T. Herrmannsdorfer, R. Skrotzki, J. Wosnitza, D. Kohler, R. Boldt, and M. Ruck, Phys. Rev. B 83, 140501(R) (2011). 

  45. S. Bose, A. M. Garcia-Garcia, M. M. Ugeda, J. D. Urbina, C. H. Michaelis, I. Brihuega, and K. Kern, Nature Mater. 9, 550 (2010) 

  46. W.-H. Li, C.-W. Wang, C.-Y. Li, C. K. Hsu, C. C. Yang, and C.-M. Wu, Phys. Rev. B 77, 094508 (2008). 

  47. S. A. Gomathi, A. Sundaresan, and C. N. R. Rao, Solid State Commun. 142, 685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