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 기법을 이용한 마산만 오염총량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of Masan Bay Using GIS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4 no.1, 2012년, pp.89 - 99  

조보현 ((주)빌리언21) ,  양금철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GIS을 활용하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통합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마산만의 점 비점오염원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체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산만 유역의 오염원 관리에 GIS를 이용한 결과 각 행정구역별 오염원 현황 및 발생 오염부하량의 비교가 가능하였고, 오염부하 산정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배출원별 인구현황, 생활계 물사용량, COD/TN/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등의 오염원 부하량을 행정구역별, 연도별, 용도별로 산정할 수 있었다. 또한 대용량의 속성, 공간자료를 활용함에 있어 시간적, 경제적 노력을 최소화함은 물론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마산만 연안오염총량 관리가 가능하여 정책 수립 시 신속한 의사결정에 대한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점 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정보와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고// 부하량 산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향후 오염원 예측이 가능하도록 유역관리 시스템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system of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using GIS as par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and utilize Total Pollution Loads Management System in Masan Bay more systematically and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rcGIS를 이용하여 기준년도(2005년)를 바탕으로 점·비점오염원에 관련된 정보와 이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도모하고 부하량 산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변화에 따른 오염원 예측이 가능하도록 유역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그간의 사후 오염원 규제 정책에서 사전예방 정책으로 변환에 따른 마산만 해역의 오염관리 개선 및 연안환경 정책수립은 물론, 해당 지자체의 친환경 개발여건 조성과 기후변화 및 생태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해양환경 재해저감 및 예방을 위한 연안방재의 효율적인 정책을 판단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GIS을 활용하여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통합관리시스템의 일환으로 마산만의 점·비점오염원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체제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어떠한 제도인가? 이에 따라 환경관리해역 지정x관리,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 등 해양 환경 개선 및 보전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해양환경정책 추진이 진행되고 있다(해양수산부 2005~2007; 국토해양부 2008~2009). 연안오염총량관리제도는 해양의 환경보전을 위해 특정 해역 내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한 배출허용량 이하가 되게 관리하는 제도로써 마산만을 접하고 있는 마산·창원·진해시는 오염물질 총량 내에서 배출허용량을 할당받게 되며 각 자치단체는 오염물질 배출량이 할당범위를 넘지 않도록 행정조치와 관련시설을 마련해야 하는 제도이다.
마산만이 자정작용이 어려운 입지조건인 이유는 무엇인가? 마산만은 남해안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반폐쇄성 해역인 진해만 내에 위치하며 항만이 좁고 길어서 조류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바다에 이어진 하천의 길이도 짧아 자정작용이 어려운 입지조건이며, 우리나라 남도지역의 행정 및 산업 중심도시로 마산, 창원, 진해지역의 인구 증가 및 산업폐수 발생량이 증가하여 방류수역인 마산만 연안의 수환경이 급격히 오염되고 있다. 마산만 특별관리해역은 급속한 도시화x산업화로 인하여 환경용량을 초과한 육상오염 부하량 유입으로 해양 환경 및 생태계 건강도가 급속히 악화되어 오염물질 총량관리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며 마산만의 환경개선을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관리기본계획(2004.
마산만 유역의 오염원 관리에 GIS를 이용함으로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인가? 마산만 유역의 오염원 관리에 GIS를 이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마산만 유역내 소유역도, 행정경계 및 지번도, 토지피복도 및 토양도, 주제도, 하수처리구역도, 하수 처리장 및 기상관측소 위치, 지형도 등 유역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각 행정구역별 오염원 현황 및 발생 오염부하량의 원활한 비교와 파악이 가능하였다. 둘째, 오염부하 산정 프로그램을 구축함으로써 배출원별 인구현황, 생활계 물사용량, 축산계 사육두수 현황, COD 발생 부하량과 배출부하량, TN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TP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등의 오염원 부하량을 행정구역별, 연도별, 용도별로 산정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국토해양부,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연구(이행평가 및 제2차 연안오염총량관리 과학적 기반마련), 2009. 

  2. 국토해양부, 마산만 연안오염총량관리 연구, 2008. 

  3. 김종택, 수질정보 종합관리 시스템 개발 2차년도 보고서, 국립환경연구원, 1994. 

  4. 박성은, 최우정, 이원찬, 구준호, 정래홍, 박종수, GIS를 이용한 양식어장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3): 90-98, 2004. 

  5. 이창희, 장원근, 고성훈, 남정호, 마산만 특별관리 해역의 수질오염총량계획에 반영된 부하량 할당 특성 및 한계, 해양정책연구 24(2), 2009. 

  6. 정종철, 적조정보시스템의 GIS데이터베이스화 연구, 한국GIS학회지 12(3): 263-274. 2004. 

  7. 차윤경,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06. 

  8. 한국해양연구소, 폐쇄성 연안해역의 수질관리 기술 연구 II. 과학기술원, 1994. 

  9. 해양수산부,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 기본방침, 2005. 

  10. 해양수산부,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2006. 

  11. 해양수산부,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제1차 연안오염 총량관리 기본계획, 2007. 

  12. 황병기, 조미영, 마산만 유입하천수의 수질자료 분석 및 수환경 DB 구축,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 2000. 

  13. Beveridge, M.C.M., L.G Ross, Environment, Site Selection and Planning: The Role of Geographic Ingormation Systems in Aquaculture, IFS Regional Workshop on Ecology of Marine Aquaculture Osorno, Chile. pp18-23, 1991. 

  14. Hwang, B.G., M.Y. Cho, K.S. Choi, Development of Water-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Masan Bay Using GIS, J. KSWQ 16(5): 573-583, 2000. 

  15. Kapetsky, J.M., J.M. Hill, L. Dorsey Worthy,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for Catfish Farming Development. Aquaculture 68: 311-320, 1988. 

  16. Meaden, G.J., Where should Trout Farms be in Britain?, Fish Farmer 10(2): 33-35, 1987. 

  17. Megrey, B.A., E. Moksness, Computer in Fisheries Research. Chapman & Hall, 1996. 

  18. Perez, O.M., L.G. Ross, T.C. Telfer, L.M. del Campo Barquin, Water Quality Requirements for Marine Fish Cage Site Selection in Tenerife(Canary Islands): Predictive Modelling and Analysis Using GIS,. Aquaculture 224: 51-68, 2003. 

  19. Perez, O.M., T.C. Telfer, M.C.M. Beveridge, L.G. Ros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 as a Simple Tool to Aid Modelling of Particulate Waste Distribution at Marine Fish Cage Site,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4: 761-768, 2002. 

  20. Ross, L.G., O.M. Mendoza, M.C.M. Beveridge, The Use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for Site Selection for Coastal Aquaculture, Institute of Aquaculture, University of Stirling, Scotland,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