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적 특성: II. 질뫼늪 보호구역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2. Conservation Area of Jilmoe-neup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4 no.1, 2012년, pp.101 - 120  

박지현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오대산 습지 중 하나인 질뫼늪 보호구역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유출수는 연평균 0.80 $m^3/min$이었다. 질뫼늪 보호구역 수질 중 pH는 평균 6.1, EC는 19 ${\mu}S/cm$, 칼륨, 칼슘, 암모늄 등의 양이온질산, 그리고 유효 인산 분석 결과 모두 평균 2.0 mg/L 이하였다. 퇴적층은 다른 산지 습지인 용늪이나 왕등재늪에 비하여 덜 발달되었다. 식물상으로는 49과 118속 163종 3아종, 29변종, 6품종으로 163종류가 조사되었으며, 물이끼가 우점하는 장소와 사초기둥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인 기생꽃이 서식하고 있었다. 식생 조사 결과 질뫼늪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식물종은 시기에 따라 분포의 확장과 감소를 반복하면서 우점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질뫼늪은 물이끼를 기반으로 한 이탄습지로서 식물종 다양성 등 그 보존 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나 보호지역 주변에 위치한 목장 등 잠재적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ilmoe-neup conservation area which is one of wetlands designated as a Ramsar convention site in Mt. Odae from 2007 to 2011. Average out-flow of water was 0.80 $m^3/min$ during observation period. Average pH of water was 6.1, electric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대산 질뫼늪의 전반적인 생태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지습지의 경우 습지의 특성이 형성되는 요인은 무엇인가? 산지습지가 형성된 지형은 자연환경이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외부의 환경변화에 노출되기 쉬우며 이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특히 산지습지의 경우, 지표면에 유입되는 지표수 및 지하수의 물수지 변화에 따라 습지의 특징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이기철과 남정칠 2008). 유호상과 공우석(2001)에 의하면 무제치늪은 등산객에 의한 훼손 가능성과 방화선 설치로 인한 교란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으며, 신불산 고산습지는 이기철과 남정칠(2008)에 의하여 과거 고랭지 채소재배지로 이용되던 지역이 서서히 육지화 되고 있어 습지의 규모가 작아지고 있다고 밝혀졌다.
산지습지가 생태학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지습지는 지형적 특징과 기후로 인하여 대부분 이탄습지의 형태를 띠며 다른 습지들에 비해 생물학적 다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멸종위기 생물들도 상당수 분포하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가치있다 할 수 있다(윤성윤 2001). 산지습지가 형성된 지형은 자연환경이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외부의 환경변화에 노출되기 쉬우며 이에 예민하게 반응한다.
유출수량이 2010년 4월에 매우 적은 양을 보인 이유는 무엇인가? 2). 특히 2010년 4월에 매우 적은 양을 보이는데, 이는 낮은 기온 때문에 겨울철에 결빙된 물이 녹아 나오는 시기가 늦어져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구본학. 2009. 습지 생태학. 조경. p 324. 

  2. 국가표준식물목록위원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nature.go.kr/kpni 2012. 1. 30 일 접속. 

  3.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관리사무소. 2000.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1차)보고서. 

  4.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관리사무소. 2002.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3차)보고서. 

  5.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사무소. 2007.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3차년도)보고서. 

  6.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사무소. 2008.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4차년도)보고서. 

  7.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관리사무소. 1999. 지리산 왕등재습지 조사 (수질 및 토양환경) 모니터링 결과보고서(3차). 

  8.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9. 김재근. 2003. 습지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자연보전 123: 44-54. 

  10. 김재근, 박정호, 최병진, 심재한, 권기진, 이양우, 이보아, 주은정. 2004. 생태조사방법론. 보문당. 

  11. 김재근. 2009.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I. 소황병산늪. 한국습지학회지 11(1): 15-27. 

  12. 대암산 고층습원 생태계 조사단. 1988. 대암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청. 

  13. 데일리안 강원. 2010. 강원도내 축산농가 특별 소독 점검 실시. 8월 20일. 

  14. 손명원, 박경. 1999. 오대산국립공원 내 질뫼늪의 지형생성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5(2): 133-142. 

  15. 오용자. 2006. 한국산사초아과식물. 성신여대출판부. 

  16. 유호상, 공우석. 2001. 정족산 무제치늪의 경관발달. 제사기학회지 15(2): 101-109. 

  17. 윤성윤. 2001. 고층습지의 정책방향 및 관리대책. 경남발전연구원 논문집 49: 62-71. 

  18. 이기철, 남정칠. 2008.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0(2): 1-14. 

  19.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 이헌호, 김재훈. 2002. 무제치늪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강우의 유출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39-248. 

  21. 진득환. 2006. 습지보전 현황과 대책. 2006 세계 습지의 날 기념 특별 세미나 및 심포지엄 자료집. 해양수산부. 환경부. 순천시. pp. 117-127. 

  22. Bray RH, Kurtz LT. 1945.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and extracted forms of phosphorus in soil. Soil Sciences 59: 39-45. 

  23. Carter MR. 1993.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Lewis Publishers, Florida. 

  24. Rydin H, Jeglum JK. 2009. The biology of peat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25. Spatt PD, Miller MC. 1981. Growth conditions and vitality of Sphagnum in a tundra community along the Alaska Pipeline HaylRoad. Arctic 34(1): 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