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8 no.3 = no.36, 2012년, pp.63 - 74
김진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원 협동과정 음악교육학과)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comparative results from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Eight Constitution and Five Elements Constitution. Methods : Searching the records, papers, documents and analyzing. Results and Conclusions :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heory is organized with Ta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팔체질은 체질을 어떻게 나누는가? | 팔체질은 체질을 4개로 분류하는 사상체질과 달리 肝이 가장 강한 木陽체질, 쓸개가 가장 강한 木陰체질, 肺가 가장 강한 金陽체질, 大腸이 가장 강한 金陰체질, 脾臟이 가장 강한 土陽체질, 胃가 가장 강한 土陰체질, 腎臟이 가장 강한 水陽체질, 膀胱이 가장 강한 水陰체질로 나뉜다. | |
사상체질의 병리관의 특징은 어떻게 나뉘어지나? | 사상체질의 병리관의 특징을 크게 心因論的 病因論과 性情論的 病因論으로 나눈다. | |
黃帝內徑에서 설명하고 있는 체질론은 무엇인가? | 『黃帝內徑』에서 설명하고 있는 체질론은 크게 2가지이다. 첫째는 「靈樞-逆順肥瘦」 「靈樞-衛氣失常」 「靈樞-論勇」에서와 같이 체질이 후천적인 섭생, 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서 어느 정도 변화할 수 있다는 ‘일반적 체질론’이며, 둘째는 「靈樞-通天」 「靈樞-陰陽二十五人」15)에서와 같이 체질이 후천적인 조건에 관계없이 선천적으로 결정되어 일정한 것으로 인식하는 ‘類型體質論’이다. 한의학계에서는 ‘類型體質論’의 성격을 띤 「靈樞-通天」의 五態人論과 「靈樞-陰陽二十五人」의 陰陽二十五人論이 사상체질론의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보는 경우와 「靈樞-通天」 「靈樞-陰陽二十五人」과 사상체질론이 별개라는 2가지 의견이 있다. |
강기림, 황상문, 박소정, 채한. 세계 전통 체질 의학 비교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9;18(3).
김광수, 강정수. 十二地支의 原理로 본 사상의학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
김대원. 10체질을 알면 성공이 보인다. 쌤앤파커스. 2011.
박주홍. 고대 서양의학 체질론과 한의학 사상체질론의 형성과정 비교 연구. 서울대 의학과 의사학 전공 박사논문. 2008.
배철환. 8체질과 사상의학으로 풀어보는 몸. 산해. 2002.
백승헌. 주역으로 보는 이제마의 사상체질. 중앙생활사. 2002.
백승헌. 28체질론으로 쉽게 풀이한 동의수세보원. 하남출판사. 2000.
오청식 편. 淵海子平. 대유학당. 2008.
장은수, 김호석, 정종욱, 유종향, 임정아, 이시우. 사상 체질과 팔체질 진단결과의 연관성에 대한 예비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14(2).
정용재. 사상의학과 8체질론의 비교 연구. 동국대 한의대 박사논문. 2012.
주석원. 8체질 의학의 원리. 통나무. 2007.
沈鍾哲 譯解. 周易. 大韓曆法硏究所 南山堂. 1979.
李濟馬 原著, 朴性植 譯解. 東醫壽世保元, 草本論, 서울:集文堂. 2003.
全國 韓醫人 四象醫學 敎室 編. 四象醫學. 서울:集文堂. 2005.
鄭遇悅. 東武 李濟馬의 哲學과 醫學思想. 醫師學. 1994;3(2). p.220, 197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