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in blood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exposure among Korean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to include 718 members of the general population residing in five metro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1,12) 우리나라에서도 근로자들의 직업적 노출에 대한 조사를13,14) 시작으로 2009년부터는 일반국민들의 노출실태와 노출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15,16)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조사의 일환으로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 그리고 강원도 등 6개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사람의 혈중 PFOA와 PFOS 농도현황과 특성, 그리고 주요한 노출기여요인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혈액의 PFOS와 PFOS 농도와 설문조사를 통해 생활습관, 사회인구학적특성 및 상수원과 연계한 지역 및 거주지특성 등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의 노출수준과 노출기여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사대상이 5개 광역시와 강원도로 한정되어 우리나라 사람을 대표하기에는 제한 점이 있었다.

가설 설정

  • 29,30) 가공된 인스턴트식품은 포장지 등 직접적인 PFCs 오염 가능성이 높은 식품군으로 추정되고 있다.31) PFCs는 환경잔류성이 강해 생택계 오염은 궁극적으로 먹이사슬을 통해 사람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생선류 또한 주요한 노출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 따라서 최근에는 생선류 또한 주요한 노출원으로 추정되고 있다.31) 우리나라의 경우 먹이사슬을 통한 축적은 먹이사슬이 끈긴 육상에 비하여 해양오염에 따른 먹이사슬이 사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다. 본 조사에서도 생선류 선호군에서 PFOS는 가장 높은 농도를, 그리고 PFOA는 두 번째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 그리고 상류로부터 상수원 지역의 오염실태도 조사결과 이를 잘 반영하고 있다.32) 이러한 결과는 본 조사에서 대구지역에 비하여 부산지역주민의 혈중 PFOA와 PFOS 농도가 유의하게 높게 조사된 결과와도 일치한다. 본 조사는 개인별 음용수 및 조리용 물에서 수돗물의 사용 빈도와 카본필터를 포함한 정수기의 사용 여부 등을 적용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FCs란? Perfluorinated compounds(PFCs)란 산업용 재료를 생산 또는 사용하는 과정에서 불소계 화합물의 합성이나 분해 시 생성되는 화합물 군이다. 다른 물질과 잘 들러붙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화학, 자동차, 전자, 섬유, 건축 등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생활용품으로는 프라이팬, 종이컵 등 음식용기제조 등에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혈중 PFOA와 PFOS 농도와 노출기여요인을 조사한 연구의 결과는? 기하평균 농도는 PFOA가 1.82 ng/ml, PFOS가 6.06 ng/ml이었으며, 20대부터 50대까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혈 중 농도도 증가하였고 60대부터는 감소하였다. PFOA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가족의 월수입, 거주지특성(산업단지, 도시), 지역(상수원) 등이었다. 혈 청 PFOS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과 연령, 규칙적인 운동, 음주, 흡연, 가족의 월수입, 거주지 2 km 이내의 환경유해시설(폐기물소각장, 매립장, 공장), 지역(상수원) 등이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혈 중 PFOA와 PFOS 농도는 일본, 미국, 독일 등의 농도와 비슷하였고 호주에 비하여 낮았다. 노출 기여요인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따라서 국민들의 PFCs 노출관리를 위하여 각 요인별 노출 기여수준에 관한 조사가 필요하다.
PFCs는 어떤 과정으로 잔류하고 축적되는가? 1) PFCs를 포함하는 대표적인 합성수지로는 1938년 개발된 테플론이 있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사용분야가 다각화 되고 제품의 종류와 사용량이 증가하였다.2,3) PFCs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 또는 자연 분해가 어렵고 환경잔류성이 강해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잔류하며, 대기와 토양으로 일차 오염되면 이어서 생태계를 순환하며 지속적으로 축적된다.4) 1990년대 이후 PFCs의 환경오염과 인체노출 및 안전성에 관한 논란이 대두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PFCs: outcome of the 2009 Survey on the production, use and release of PFOS, PFAS, PFOA, PFCA, their related substances and products/ mixtures containing these substances. Available: http://www.oecd.org/officialdocuments/displaydocumentpdf/? coteenv/jm/mono(2011)1&doclanguage en [accessed 12 January 2012]. 

  2. Bus J. Compilation of board comments on draft PFOA panel report, EPA Report. February IS, 2006. 

  3. Kerstner-Wood C, Coward L, Gorman G. Protein binding of perfluorobutane sulfonate, perfluorohexanesulfonate, perfluorooctane sulfonate and perfluorooctanoate to plasma (human, rat, and various human-derived plasma protein fractions. Southern Research Corporation, Study 9921.7. US EPA docket AR-226-135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2004. 

  4. Fromme H, Tittlemier SA, Volkel W, Wilhelm M, Twardella D. Perfluorinated comounds - Exposure assessment for the general population in western countries. Int J Hyg Environ Health. 2009; 212: 239-270. 

  5. Emmett EA, Shofer FS, Zhang H, Freeman D, Desai C, Shaw LM. Community exposure to perfluorooctanoate: Relationships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and exposure sources. JOEM. 2006; 48: 759-770. 

  6. Olsen GW, Logan PW, Hansen KJ, Simpson CA, Burris JM, Burlew MM, et al. An occupational exposure assessment of a perfluorooctanesulfonyl fluoride production site: biomonitoring. AIHAJ. 2003; 64: 651-659. 

  7. Holzer J, Midasch O, Rauchfuss K, Kraft M, Reupert R, Angerer J, et al. Biomonitoring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children and adults exposed to perfluorooctanoate-contaminated drinking water. Environ Health Perspect. 2008; 116: 651-657. 

  8. Begley TH, White K, Honigfort P, Twaroski ML, Neches R, Walker RA. Perfluorochemicals: potential sources of and migration from food packaging. Food Addit Contam. 2005; 22: 1023-1031. 

  9. Ehresman DJ, Froehlich JW, 01sen GW, Chang SC, Butenhoff JL. Comparison of human whole blood, plasma, and serum matri,ces for the determination of pefluorooctanesulfonate (PFOS), perfluorooctanoate (PFOA), and other lluorochernicals. Environ Res. 2007; 103: 176-184. 

  10. Olsen GW, Burlew MM, Marshall JC, Burris JM, Handel JH. Analysis of episodes of care in a perfluorooctanesulfonyl fluonde production facility. J Occup Environ Med. 2004; 46: 837-846. 

  11. Kannan K, Corsolini F, Falandysz J, Fillmann G, Kumar KS, Loganathan BG, et al. Perfluorooctanesulfonate and related fluorochernicals in human blood from several countries. Environ Sci Technol. 2004; 38: 4489-4495. 

  12. Midasch O, Schettgen T, Angerer J. Pilot study on the perfluorooctanesulfonate and perfluorooctanoate exposure of the German general population. Int J Hyg Environ Health. 2006; 209: 489-496. 

  13. KFDA, The survey of exposure level for PFOS and PFOA in human. 2006. 

  14. Jang SH, Lee CK, Kim DH, Kim KB, Ahn JH, Kim HD, et al. Lifestyle and Work 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Serum PFOA among Workers at Manufacturing Compani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 20: 233-244. 

  15. KFDA. Exposure assessment of major perfluorinated compounds among Koreans. 2009. 

  16. KFDA. Database of biological samples for human biomonitoring of hazard materials. 2010. 

  17. Karrman A, Ericson I, van Bavel B, Darnerud PO, Aune M, Glynn A, et al. Exposure of perfluorinated chemicals through lactation: levels of matched human milk and serum and a temporal trend, 1996- 2004, in Sweden. Environ Health Perspect. 2007; 115: 226-230. 

  18. Harada K, Saito N, Inoue K, Yoshinaga T, Watanabe T, Sasaki S, et al. The influence of time, sex and geographic factors on levels of perfluorooctane sulfonate and perfluorooctanoate in human serum over the last 25 years. J Occup Health. 2004; 46: 141- 147. 

  19. Fromme H, Midasch O, Twardella D, Angerer JS, Boehmer B. Occurrence of perXuorinated substances in an adult German population in southern Bavaria.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7; 80: 313-319. 

  20. Karrman A, Mueller JF, van Bavel B, Harden F, Toms LM, Lindstrom G. Levels of 12 perfluorinated chemicals in pooled australian serum, collected 2002-2003, in relation to age, gender, and region. Environ Sci Technol. 2006; 40: 3742-3748. 

  21. Kudo N, Katakura M, Sato Y, Kawashima Y. Sex hormone-regulated renal transport of perfluorooctanoic acid. Chem Biol Interact. 2002; 139: 301- 316. 

  22. Butenhoff J, Costa G, Elcombe C, Farrar D, Hansen K, Iwai H, et al. Toxicity of ammonium perfluorooctanoate in male cynomolgus monkeys after oral dosing for 6 months. Toxicol Sci. 2002; 69: 244- 257. 

  23. Kudo N, Kawashima Y. Toxicity and toxicokinetics of perfluorooctanoic acid in humans and animals. J Toxicol Sci. 2003; 28: 49-57. 

  24. Melzer D, Rice N, Depledge MH, Henley WE, Galloway TS. Association between serum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thyroid disease in the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nviron Health Perspect. 2010; 118: 686-692. 

  25. Eriksen KT, Sorensen M, McLaughlin JK, Tjønneland A, Overvad K, Raaschou-Nielsen O. Determinants of plasma PFOA and PFOS levels among 652 Danish men. Environ Sci Technol. 2011; 45: 8137- 8143. 

  26. Lehmler HJ. Synthesis of environmentally relevant fluorinated surfactants-a review. Chemosphere. 2005; 58: 1471-1496. 

  27. Shoeib M, Harner T, M Webster G, Lee SC. Indoor sources of poly- and perfluorinated compounds (PFCS) in Vancouver, Canada: implications for human exposure. Environ Sci Technol. 2011; 45: 7999-8005. 

  28. Goosey E, Harrad S. Perfluoroalkyl compounds in dust from Asian, Australian, European, and North American homes and UK cars, classrooms, and offices. Environ Int. 2011; 37: 86-92. 

  29. Haug LS, Salihovic S, Jogsten IE, Thomsen C, van Bavel B, Lindstrom G, et al. Levels in food and beverages and daily intake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Norway. Chemosphere. 2010; 80: 1137- 1143. 

  30. Clarke DB, Bailey VA, Routledge A, Lloyd AS, Hird S, Mortimer DN, et al. Dietary intake estimate for perfluorooctanesulphonic acid (PFOS) and other perfluorocompounds (PFCs) in UK retail foods following determination using standard addition LC-MS/MS. Food Addit Contam Part A Chem Anal Control Expo Risk Assess. 2010; 27: 530-545. 

  31. Haug LS, Thomsen C, Brantsaeter AL, Kvalem HE, Haugen M, Becher G, et al. Diet and particularly seafood are major sources of perfluorinated compounds in humans. Environ Int. 2010; 36: 772-778. 

  32. Cho CR, Eom IC, Kim EJ, Kim SJ. Evaluation of the Level of PFOS and PFOA in Environmental Media from Industrial Area and Four Major River Basin. J Korean Soc Environ Analysis 2009; 12: 296-3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