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강 용접금속 저온균열 발생에 미치는 확산성수소량 및 경도의 영향
Effects of Diffusible Hydrogen Content and Hardness on Cold Cracking in High Strength Weld Metal 원문보기

韓國海洋工學會誌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26 no.2 = no.105, 2012년, pp.33 - 38  

서원찬 (부경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방국수 (부경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he diffusible hydrogen content and hardness on the cold cracking in high strength weld metal were investigated. The diffusible hydrogen contents were influenced by welding parameters such as the voltage and contact tip-to-work distance (CTWD). The diffusible hydrogen content incre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러한 용접변수에 따른 확산성수소량의 변화가 실제 용접금속 저온균열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 시 용접변수가 용접금속 확산성수소량 및 경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용접금속에서의 저온균열 발생을 조사하여, 고장력강 용접금속에서 확산성수소, 경도, 저온균열 발생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CW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경우 용접부 확산성수소량은 용접변수에 크게 영향의 예시는? , 2001). 예를 들어 전압의 증가는 아크 중 수소의 혼입을 증대시켜 수소량을 증가시키나, 콘택터팁과 모재사이의 거리 (CTWD) 혹은 전류의 증가는 와이어 저항발열을 증대시켜 수소량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용접변수에 따른 확산성수소량의 변화가 실제 용접금속 저온균열 발생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연구는 매우 적다.
용접금속 저온균열은 무엇인가? 용접금속 저온균열은 고장력강을 사용하여 해양구조물이나 선박을 건조할 때에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용접결함 중 하나로, 그 발생요인과 대책에 대하여 오래전부터 많은 연구가 행하여져 왔다(Watkinson, 1969; Savage et al., 1976; Savage et al.
저온균열의 세 가지 인자는? 일반적으로는 용접부에 존재하는 확산성수소가 미소균열의 선단 등 응력집중부에 확산하여 일정 양 이상 집적하면 격자의 결합력이 재료의 파괴강도 이하로 저하하여 균열이 전파한다고 알려져 있다(Easterling, 1992). 따라서 용접부에 존재하는 확산성수소의 양, 미시조직에 의하여 결정되는 용접부의 강도 혹은 경도, 그리고 용접부에 작용하는 응력이 저온균열의 세 가지 인자로 간주된다. 용접부에 작용하는 응력이 동일한 경우에는 용접부의 경도가 높을수록 적은 확산성수소 양에서 균열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도원도부, 산기강구, 하야무량 (1980). 현대용접기술대계. 제24권, 산보출판, 동경. 

  2. 한동우, 방국수, 정홍철, 이종봉 (2010). "FCAW에서 용접금속 확산성수소량에 미치는 용접변수 영향의 정량적 해석", 대한용접접합학회지, 제28권, 제2호, pp 54-59. 

  3. Davidson, J.L. (1998). "Advances in Hydrogen Management: the Science Based Design of Low Hydrogen Consumables for the Future", Australasian Welding Journal, Vol 43, No 3, pp 33-39. 

  4. Di-jing, X., Hong, Q. and Jianming, J. (1994). "Investigation on Susceptibility to Hydrogen-Assisted Cracking in HSLA Steel Weldments", Welding Journal, Vol 73, No 12, pp 285-290. 

  5. Dixon, B. and Hakansson, K. (1995). "Effects of Welding Parameters on Weld Zone Toughness and Hardness in 600 MPa Steel", Welding Journal, Vol 74, No 4, pp 122-132. 

  6. Easterling, K. (1992).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Metallurgy of Welding, 2nd ed., Butterworth Heinemann, Oxford. 

  7. Harwig, D.D., Longenecker, D.P. and Cruz, J.H. (1999). "Effects of Welding Parameters and Electrode Atmospheric Exposure on the Diffusible Hydrogen Content of Gas Shielded Flux Cored Welding", Welding Journal, Vol 78, No 9, pp 314-321. 

  8. Kiefer, J.H. (1996). "Effects of Moisture Contamination and Welding Parameters on Diffusible Hydrogen", Welding Journal, Vol 75, No 5, pp 155-161. 

  9. Kuebler, R., Pitrun, M. and Pitrun, I. (2000). "The Effect of Welding Parameters and Hydrogen Levels on the Weldability of High Strength Q&T Steel Welded with FCAW Consumables", Australasian Welding Journal, Vol 45, No 1, pp 38-47. 

  10. Pitrun, M., Davidson, J.L., Kenny, C.J., Wittke, P.J. and Cornish, N. (2001). "Factors Affecting the Hydrogen Content of Weld Metal Deposited by Flux Cored Arc Welding Consumables", Australasian Welding Journal, Vol 46, No 1, pp 33-38. 

  11. Savage, W.F., Nippes, E.F. and Homma, H. (1976). "Hydrogen Induced Cracking in HY-80 Steel Weldments", Welding Journal, Vol 55, No 11, pp 368-376. 

  12. Savage, W.F., Nippes, E.F. and Husa, E.I. (1982). "Hydrogen- Assisted Cracking in HY-130 Steel Weldments", Welding Journal, Vol 61 , No 8, pp 233-242. 

  13. Savage, W.F., Nippes, E.F. and Tokunaga, Y. (1978). "Hydrogen Induced Cracking in HY-130 Steel Weldments", Welding Journal, Vol 57, No 4, pp 118-126. 

  14. Vasudevan, R., Stout, R.D. and Pense, A.W. (1981). "Hyd rogen-Assisted Cracking in HSLA Pipeline Steels", Welding Journal, Vol 60, No 9, pp 155-168. 

  15. Watkinson, F. (1969). "Hydrogen Cracking in High Strength Weld Metals", Welding Journal, Vol 48, No 9, pp 417-424. 

  16. White, D. Pollad, G. and Gee, R. (1992). "The Effect of Welding Parameters on Diffusible Hydrogen Levels in Cored Wire Welding", Welding & Metal Fabrication, Vol 60, No 6, pp 209-216. 

  17. Yurioka, N. and Suzuki, H. (1990). "Hydrogen Assisted Cracking in C-Mn and Low Alloy Steel Weldments", International Materials Reviews, Vol 35, No 4, pp 217- 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