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악취성 유기지방산 성분의 분석기술
A review of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fatty acids as designated offensive odorants in Korea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5 no.2, 2012년, pp.91 - 101  

안지원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융합학과) ,  김용현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융합학과) ,  김기현 (세종대학교 환경에너지융합학과) ,  송희남 (에이스엔)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부터 지정악취물질로 관리 중인 유기지방산은 큰 반응성과 그에 따른 낮은 회수율 등의 문제로 인해, 분석이 난해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악취공정시험기준에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지방산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알칼리함침필터법과 알칼리흡수용액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지방산의 분석기법을 전반적으로 비교검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정분석방법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쉽지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기지방산의 새로운 대안 분석방안으로 고체흡착관-저온농축탈착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체흡착관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저온농축열탈착기를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공정시험기준상에 제시한 분석방법들에 비해 상당히 간편하고 검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에 덧붙여, 표준시료의 준비, 시료의 채취단계, 최종적인 검출단계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유기지방산의 현장시료를 채취 및 분석하기 위해서, 용기채취법의 적용은 심각한 오차를 수반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유기지방산을 분석할 때, GC/FID에 의존할 경우, 여러 가지 간섭 성분의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기지방산의 분석에는 GC/MS를 이용하여 정량뿐 아니라 정성적인 부분까지 동시에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ist of volatile fatty acids (VFA) including propion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etc. is well known for offensive odorants. The analysis of odorant VFA is a highly delicate task due to high reactivity and unstable recovery rate. At present, analytical methods of VFA are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지방산의 새로운 대안 분석방안인 고체흡착관-저온농축탈착법의 이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들 지정분석방법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쉽지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유기지방산의 새로운 대안 분석방안으로 고체흡착관-저온농축탈착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고체흡착관으로 시료를 채취하고 저온농축열탈착기를 이용하여 분석할 경우, 공정시험기준상에 제시한 분석방법들에 비해 상당히 간편하고 검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에 덧붙여, 표준시료의 준비, 시료의 채취단계, 최종적인 검출단계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악취공정시험기준에서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지방산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제시되는 것은? 2010년부터 지정악취물질로 관리 중인 유기지방산은 큰 반응성과 그에 따른 낮은 회수율 등의 문제로 인해, 분석이 난해한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악취공정시험기준에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지방산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알칼리함침필터법과 알칼리흡수용액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지방산의 분석기법을 전반적으로 비교검토하였다.
GC/FID에 의존하여 유기지방산을 분석할 경우 나타나는 한계점은? 유기지방산의 현장시료를 채취 및 분석하기 위해서, 용기채취법의 적용은 심각한 오차를 수반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유기지방산을 분석할 때, GC/FID에 의존할 경우, 여러 가지 간섭 성분의 영향을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기지방산의 분석에는 GC/MS를 이용하여 정량뿐 아니라 정성적인 부분까지 동시에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J. Park, J. Korea Soc. Environ. Admin., 12(2), 95-103 (2006). 

  2.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Malodor Prevention Law of Korea Ministry of Enviro. (2007). 

  3. N. Narkis and S. Henfeld-Furie, Water Res., 12(7), 437-446 (1978). 

  4. M. Abalos and J. M. Bayona, J. Chromatogr. A, 891, 287-294 (2000). 

  5. J. A. Cruwys, R. M. Dinsdale, F. R. Hawkes, and D. L. Hawkes, J. Chromatogr. A, 945, 195-209 (2002). 

  6. C. N. Sawyer, Perry L. McCarty, and Gene F. Parkin, 'Chemistr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Science', 5th Ed., p231-232 and 689-698, McGraw-Hill, 2003. 

  7. L. Spina, F. Cavallaro, N. I. Fardowza, P. Lagoussis, D. Bona, C. Ciscato, A. Rigante, and M. Vecchi, Digestive and Liver Disease Supplements, 1, 7-11 (2007). 

  8. P. Elefsiniotis and D. G. Wareham, Enzyme Microb. Tech., 41, 92-97(2007). 

  9. L. Otten, M. T. Afzal and D. M. Mainville, Adv. Environ. Res., 8, 397-409 (2004). 

  10. N. Narkis, S. Henefeld-Fourrier and M. Rebhun, Water Res., 14(9), 1215-1223 (1980). 

  11. G. Manni and F. Caron, J. Chromatogr. A, 690, 237-242 (1995). 

  12. E. Lie and T. Welander, Water Res., 31(6) 1269-1274 (1997). 

  13. S.-I. Yun and Y. Ohta, Bioresource Technol., 96, 41-46 (2005). 

  14. P. Elefsiniotis and D. G. Wareham, Enzyme. Microb. Tech., 41, 92-97 (2007). 

  15. Y. Nagata, Japan MOE, 41(2), 17-25 (2003). 

  16. P. M. G. Curioni and J.O. Bosset, Int. Dairy J., 12(12), 959-984 (2002). 

  17. K. Y. Kono, 'Malodor Preventive Law: Editorial Supervision for Special Pollution Section of Air Preservation Department i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Japan', Gyousei Inc., 13-35, 1993. 

  18. A. Bories, J.-M. Guillot, Y. Sire, M. Couderc, S.-A. Lemaire, V. Kreim and J.-C. Roux, Water Res., 41, 2987-2995 (2007). 

  19. G. W. Heo, Y.-M. You, S. M. Shin and J.-H. Lee, Korean J. Odor Research and Engin., 3(2), 88-98 (2004). 

  20. Ministry of the Environment in Japan, (2000) Malodor Prevention law of Jap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21. T.-K. Jung, M.-O. Jang, Y. R. Jung, M.-G. Kim and M.- D. Lee, Korean J. Odor Res. Eng., 6(2), 87-95 (2007). 

  22. M.-R. Lee, J.-S. Lee, W.-S. Hsiang and C.-M. Chen, J. Chromatogr. A, 775, 267-274 (1997). 

  23.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U.S., (1999). 

  24. R. R. Arnts, Atmos. Environ., 44, 1579-1584 (2010). 

  25. J.-W. Ahn, K.-H. Kim, D.-W. Ju and M.-S. Im, Korean J. Anal. Sci. Technol., 24(3), 200-211 (2011). 

  26. J.-W. Ahn, O.-F. Hong, E.-H. Lee and K.-H. Kim, J. Korean Soc. Atmospheric Envi., 26(3), 305-317 (2010). 

  27. J. Namiesnik, J. Chromatogr. A, 300, 79-108 (1984). 

  28. K. R. Lassey, C. F. Walker, A. M. S. McMillan and M. J. Ulyatt, Chemosphere, 3, 367-376 (2001). 

  29. J. A. Neuman, T. B. Ryerson, L. G. Huey, R. Jakoubek, J. B. Nowak, C. Simons and F. C. Fehsenfeld, Environ. Sci. Technol., 37, 2975-2981 (2003). 

  30. R. A. Washenfelder, C. M. Roehl, K. A. McKinney, R. R. Julian and P. O. Wennberg, Rev. Sci. Instrum., 74(6), 3151-3154 (2003). 

  31. T. J. Bruno, J. Chromatogr. A, 704, 157-162 (1995). 

  32. J. Susaya, K.-H. Kim, J.-W. Cho and D. Parker, J. Chromatogr. A. 1218, 9328-9335 (2011). 

  33. J.-W. Ahn, Unpublished Doctorate Thesis. Sejong Univ., Seoul Korea (2011). 

  34. J.-B- Kim, T.-H. Kim, T.-H. Kim, D.-W. Ju and M.-S. Lim, Korean J. Odor Res. Eng., 7(4), 231-237 (2008). 

  35. F. Ulberth and F. Schrammel, J. Chromatogr. A, 704(2), 455-463 (1995). 

  36. J.-W. Ahn, K.-H. Kim, D.-W. Ju and M.-S. Lim, Korean J. Anal. Scie. Tech., 22(6), 488-49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