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기배경지역 에어로졸의 입경별 수농도 연속 측정
Continuous Measurements of Size Separated Atmospheric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in Background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1 no.4, 2012년, pp.535 - 543  

강창희 (제주대학교 화학과) ,  허철구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measured with an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APS) at Gosan site, which is known as background area in Korea,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1. The temporal variation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인 발생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배경지역에서의 에어로졸 수농도를 장기간 동안 연속 측정함으로써 대기 에어로졸의 장기적인 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인체 및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인위적인 발생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배경지역에서의 에어로졸 수농도 현황을 파악하고 변화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배경지역으로 알려져 있는 제주도 고산관측소에서 2011년 1월부터 9월까지 에어로졸 수농도를 연속측정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가 에어로졸의 영향을 평가하는 지역으로 선정된 이유는? 본 연구를 수행한 제주도는 중국과 일본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한반도와 약 100 km, 중국 상하이와 500 km, 일본 규수와는 250 km 정도 떨어진 청정지역이다. 그리고 대륙에서 장거리 이동되는 오염물질 들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아주 유리한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의 에어로졸 측정 결과는 대기 에어로졸의 장기적 변화를 예측하고 동북아지역에서 장거리 이동되는 에어로졸의 영향을 평가하는데 아주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를 수행한 고산관측소 (33°17ʹN,126°10ʹE,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소재 수월봉)는 Fig.
APS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에어로졸 수농도 측정을 위해 사용한 APS (Aerodynamic Particle Sizer Spectrometer)는 광산란법 분광기 (Grimm Aerosol Technik GmbH & Co., model #179, Germany)로써 야외 현장용 미세분진 연속측정 수분제어시스템 (Grimm Aerosol Technik GmbH & Co.
환경대기 중에 부유하는 에어로졸은 무엇에 영향을 끼치는가? 환경대기 중에 부유하는 에어로졸은 발생 또는 생성과정에 따라 입자의 크기, 모양 및 화학적 조성 등이큰 차이를 보이며, 인체 건강과 산업 활동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가시도 및 기후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에어로졸의 크기는 대기 중에서의 거동, 건강 및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평가하는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과 최, 2002; Vyziene 와 Girgzdys, 2009; Sharma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지영, 최병철, 2002, 한반도에서 측정된 에어러솔의 크기 분포와 지역별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8(2), 95-104. 

  2. 박경윤, 이호근, 서명석, 장광미, 강창희, 허철구, 김영준, 1994, 제주도 고산 측정소에서의 대기오염 배경농도 측정 및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4), 252- 259. 

  3. 전영신, 김지영, 최재천, 신도식, 1999, 황사시 서울과 안면도의 대기 중 에어로졸 수농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5), 575-586. 

  4. 최병철, Iwasaka, Y., 임재철, 정상부, 김윤석, Dmitri, T., Nagatani, T., Yamada, M., 김상백, 홍기만, 이영곤, 유희정, 2005, 광학입자계수기를 이용한 안면도 연직 에어러솔 수농도 크기 분포 특성, 한국기상학회 대기지, 15(3), 149-153. 

  5. Bigi, A., B., Ghermandi, G., 2011, Particle Number Size Distribution and Weight Concentration of Background Urban Aerosol in a Po Valley Site, Water Air Soil Pollut, 220, 265-278. 

  6. Buzorius, G., Hameri, K., Pekkanen, J., Kulmala, M., 1999, Spatial varia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in helsinki city, Atmospheric Environment, 33, 553-565. 

  7. Longley, I. D., Inglis, D. W. F., Gallagher, M. W., Williams, P. I., Allan, J. D., Coe, H., 2005, Using NOx and CO monitoring data to indicate fin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and emission factors in three UK conurba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39, 5157-5169. 

  8. Minoura, H., Takekawa, H., 2005, Observation of number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and analysis of nanoparticle behavior at an urban background area in japan, Atmospheric Environment, 39, 5806-5816. 

  9. Renjian, Z., Zhiwei, H., Zhenxing, S., Junji, C., 2008, Continuous Measurement of Number Concentrations and Elemental composition of aerosol Particles for a Dust Storm Event in Beijing, Advances in Atmospheric Siciences, 25(1), 89-95. 

  10. Sharma, D. K., Rai, J., Israil, M., Singh, P., 2003, Summer variations of the atmospheric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over roorkee, india, 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 65, 1007-1019. 

  11. Sharma, N. L., Sharma, J. C., Singh, M., Sharma, P., Chand, K., Negi, A. K., Sharma, M., Thakur, H. K., 2011, Atmospheric ultrafine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vehicular flow at two sites in the western Himalayan region: Kullu-Manali, India, J. Earth Syst. Sci., 130(2), 281-290. 

  12. Stanier, C. O., Khlystov, A. Y., Pandis, S. N., 2004, Ambient aerosol size distributions and number concentrations measured during the pittsburgh air quality study (PAQS), Atmospheric Environment, 38, 3275-3284. 

  13. Vyziene, R., Girg?dys, A., 2009, Investigation of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in jonava town,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Landscape Management, 17(1), 51-59. 

  14. Watanabe, K., Suzuki, I., Dokiya, Y., 2005, Aerosol number concentrations during kosa events on suburban hills in Japa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5, 195-206. 

  15. Yan, F., Hu, H., Yu, T., 2004, Analysis of particulate mass concentration,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nd visibility in beijing, China Particuology, 2(1), 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