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증 화자 음성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Vocal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peakers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1, 2012년, pp.91 - 98  

백연숙 (명지대학교) ,  김세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김은연 (삼성서울병원) ,  최예린 (명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ed to the speakers voice without depression and speakers with depression, and to propose a objective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e therapeutic effects as well as for diagnostics of depress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e v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국내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감정 상태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해서만 연구(조은경 외, 1997; 김성지, 조성호, 2001; 남경식, 민경환, 2001)되어졌고, 정서 장애 유형에 따른 음성 특이성에 대하여는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 문제를 가진 정신과 환자 중 우울증 화자들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쓰여졌던 음성 매개변수들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우울증 화자들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그러나 국내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감정 상태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해서만 연구(조은경 외, 1997; 김성지, 조성호, 2001; 남경식, 민경환, 2001)되어졌고, 정서 장애 유형에 따른 음성 특이성에 대하여는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서 문제를 가진 정신과 환자 중 우울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에서 쓰여졌던 음성 매개변수들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우울증 화자들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를 근거로 임상에서 우울증 환자들의 진단 및 치료 효과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울증 화자군과 정상군 간의 음성 매개변수들의 특성 차이를 객관적으로 비교해 보고자 하였고, 우울증 중증도와 음성 매개변수들 간의 관계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울증 화자군과 정상군의 음향음성학 특성 평가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화된 문구 읽기 과제에서 우울증 화자와 정상 화자 음성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연구의 문제는 무엇인가? 표준화된 문구 읽기 과제에서 우울증 화자와 정상 화자 음성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 화자와 정상 화자 간 음성 매개변수들(평균발화기본주파수, 전체발화속도, 음도 범위, 강도 범위)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Beck 우울 척도와 음성 매개변수들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최근 1년 간 자살시도를 한 사람은 몇 명으로 추산되는가? 3%가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 간 자살시도를 한 사람은 10만 8천명으로 추산되며, 자살 생각을 한 경우의 57.0%, 자살 계획을 한 경우의 73.
우리나라의 정신질환 역학조사에서 OECD 국가 중 자살률 순위는? 현재 우리나라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정신질환 역학조사에서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1년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정신질환 역학조사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 사이에 성인의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lastair, J. F., Sandra, E. B., Irene, C. T., Gillian, F. G. & Carey, L. (1992). Acoustic analysis in the differentiation of parkinson's disease and major depression.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Vol. 21, 383-389. 

  2. Beck, A. T., Ward, C. H., Mendelson, M. M.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 4, 53-63. 

  3. Cheon, E. J. (1997). Attributional styles major depressed outpatients according to stressful life-events. M.A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천은주 (1997). 생활사건에 따른 우울증 화자의 귀인유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Christina, S. & Harold, A. S. (1997). Psychomotor symptoms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4, 4-17. 

  5. Daniel, J. F., Richard, G. S., Stephen, S. M. S. & Mitchell, W. (2000). Acoustical properties of speech as indicators of depression and suicidal risk.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47, No. 7. 

  6. DSM-IV-TR. (2008).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rd ed., revis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7. Eldred, S. H. & Price, D. B. (1958). A linguistic evaluation of feeling states in psychotherapy. Psychiatry, Vol. 21, No. 2, 115-121. 

  8. Ellgring, H. & Scherer, K. R. (1996). Vocal indicators of mood change in depression.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Vol. 20, No. 2, 83-110. 

  9. Garcia-Toro, M., Talavera, J. A., Saiz-Ruiz, J. & Gonzalez, A. (2000). Prosody impairment in depression measured through acoustic analysis.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88, No. 12, 824-829. 

  10. Hamilton, M. (1960). A rating scale for depressi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Vol. 23, 56-62. 

  11. Hwang, N. S. (2008). Depression induce suicide.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48, No. 12, 78-79. (황남성 (2008). 우울증이 자살을 유도한다. 대한기계학회 48 권 12호, 78-79.) 

  12. Im, M. H. (2010).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depression disorder. M.A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임미화 (2010). 인지행동치료가 우울증 입원화자에게 미치는 효과-우울,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덕성 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Je, Y. J., Ryu, S. H., Kim, J. S., Kim, H. Y. & Jung, I. K. (1997). Neuropsychological aspects of psychotic depression - comparison with nonpsychotic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 3, No. 1, 128-137.) (제용진, 유승호, 김진세, 김해열, 정인과 (1997). 정신병적 우울증의 신경심리학적 양상-비정신병적 우울증 및 정신분열병과의 비교. 생물치료 정신의학 3권 1호, 128-137.) 

  14. Jo, E. K., Jo, C. W. & Min, K. H. (1997). Acquisition of natural emotional voice through autobiographical recall method.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ol. 16, No. 2, 66-70. (조은경, 조철우, 민경환 (1997). 자전적 회상을 통한 자연스 런 정서음성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16 권 2호, 66-70.) 

  15. Kim, H. H. (2005). Evaluation of dysarthria.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Language disorder summer workshop. (김향희 (2005). 마비말장애평가. 언어청각임상학회, 언어장애 여름연수회.) 

  16. Kim, S. J. & Cho, S. H. (2001).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vocal codes of clients' emotion.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Vol. 19, 5-15. (김성지, 조성호 (2001). 내담자 정서에 따른 음성 정보 특성. 학생생활상담 19권, 5-15.) 

  17. Kim, Y. H., Baek, Y. M. & Hong, S. H. (2000). Adult Behavior Therapy Casebook. Hakjisa. (김영화, 백용매, 홍상황 (2000). 성인행동치료사례집. 학지 사.) 

  18. Klos, T., Ellgring, H. & Scherer, K. R. (1988). Vocal changes in depression. Max-Planck-Institut fur Psychiatrie, Munchen, submitted. 

  19. Kwon, S. M. (2000). Depression. Hakjisa. (권석만 (2000). 우울증. 학지사.) 

  20.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28, No. 1, 125-135. (권용철, 박종한 (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제1편: MMSE-K의 개 발. 신경정신의학 28권 1호, 125-135.) 

  21. Laver, J. (1980). The Phonetic Description of Voice Qu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Lee, M. S. (2008). Depression 119. Galim publishing. (이민수 (2008). 우울증 119. 가림출판사.) 

  23. Lee, Y. H. & Song, J. Y.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5, No. 1, 98-113.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권 1호, 98-113.) 

  24. Low, L. S. A., Maddage, M. C., Lech, M., Scherer, L. B. & Allen, N. B. (2011). Detection of clinical depression in adolescents' speech during family interactions.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Vol. 58, No. 3, 574-586. 

  25. Michael, C., Brian, H., Nicole, R., Phillip, C. & Peter, J. S. (2004). Voice acoustical measurement of the severity of major depression. Brain and Cognition, Vol. 56, No. 11, 30-35.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Mental Illness Real Epidemiological Survey Report. (보건복지부 (201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27. Moses, P. J. (1954). The Voice of Neurosis. New York: Grune & Stratton. 

  28. Nam, K. S. & Min, K. H. (2001). Acoustic profiles and recognition in vocal emotion ex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5, No. 1, 39-52. (남경식, 민경화 (2001). 음성 정서표현의 음향프로파일 및 재 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권 1호, 39-52.) 

  29. Nilsonne, A. (1998). Measuring the rate of change of voice fundamental frequency in fluent speech during mental depression.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America, Vol. 83, No. 2, 716-728. 

  30. Scherer, K. R. (1979). Nonlinguistic vocal indicators of emotion and psychopathology. in Emotions in personality and psychopathology, New York: Plenum Press, 493-529. 

  31. Scherer, K. R. (1986). Vocal affect expression: a review and a model for future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Vol. 99, 143-165. 

  32. Scherer, K. R. (1988). Vocal indicators of affective disorder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 Vol. 49, No. 3-4, 179-186. 

  33. Talavera, J. A., Saiz-Ruiz, J. & Garcia-Toro, M. (1994). Quantitative measurement of depression through speech analysis. European Psychiatry, Vol. 9, No. 4, 185-193. 

  34. Tolkmitt, F., Helfrich, H., Standke, R. & Scherer, K. R. (1982). Vocal indicators of psychiatric treatment effects in depressives and schizophrenic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 15, No. 3, 209-222. 

  35. Yi, J. S., Bae, S. O., Ahn, Y. M., Park, D. B., Noh, K. S., Shin, H. K., Woo, H. W., Lee, H. S., Han, S. I. & Kim, Y. S. (2005).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K-HDR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4, No. 4, 456-465. (이중서, 배승오, 안용민, 박두병, 노경선, 신현균, 우행원, 이 홍식, 한상익, 김용식 (2005). 한국판 Hamilton 우울증 평가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권 4호, 456-4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