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와 관련 위험 요인
Gender Differences in Risk Factors of Self-reported Voice Problem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4 no.1, 2012년, pp.99 - 108  

변해원 (대림대학교 언어재활과, 아주대학교의료원) ,  황영진 (루터대학교 언어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research has identified that self-reported voice problems are a risk indicator for voice disorders. However, previous studies concerning the general population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influence of gender on self-reported voic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0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이비인후과 검진자료를 사용하여 19세 이상 지역사회 성인 남녀의 주관적 음성 문제 특성을 제시하고, 성별에 따른 주관적 음성문제와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지역사회 인구 3,622명에 대한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은 6.
  • 또한, 한국인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음성장애의 잠재적 위험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 연구는 2008년도 전국조사의 이비인후과 검진자료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과 잠재적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음성문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성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성대는 해부학적으로 남녀의 차이가 있다. Butler 등(2001)에 따르면, 음성은 성대의 진동으로 생성되는데 남성에 비해서 여성은 성대의 고유층(lamina propria)에 포함되어 있는 히아루론산(hyaluroic acid)이 약 15%정도 더 적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 기술의 발달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데 이와 함께 무엇이 증가 하고 있는가? 의료 기술의 발달과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질병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건강 및 질병 관리의 책임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며 그 결과 질병 및 장애에 대한 연구 또한 개별 치료법을 연구하는 임상적 관점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예방적 관점으로 초점이 변화되고 있다.
무엇 때문에 건강상태를 증진하여 신체 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것이 현대 의학의 중요한 현안인가? 현대 사회에서 건강 및 질병 관리의 책임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사회적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며 그 결과 질병 및 장애에 대한 연구 또한 개별 치료법을 연구하는 임상적 관점에서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예방적 관점으로 초점이 변화되고 있다. 질병 및 장애에 따른 신체적 기능상태의 저하는 삶의 질뿐만 아니라 의료 수요 증가 및 의료 재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건강상태를 증진하여 신체 기능 장애를 예방하는 것은 현대 의학의 중요한 현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음성 장애는 질병학적으로는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질환은 아니지만, 기능적 문제로 인해 일상생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에 국민 보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음성문제에 관한 성별의 차이를 고려해야하는 이유는? 음성문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성별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성대는 해부학적으로 남녀의 차이가 있다. Butler 등(2001)에 따르면, 음성은 성대의 진동으로 생성되는데 남성에 비해서 여성은 성대의 고유층(lamina propria)에 포함되어 있는 히아루론산(hyaluroic acid)이 약 15%정도 더 적다[8].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여성의 히아루론산은 결국 음성 남용으로부터 성대를 보호하는 데 있어서 남성보다 더 취약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초당 성대의 진동 횟수인 기본주파수 (fundamental frequency)도 남녀의 차이가 있는데, 여성은 남성에 비해 성대의 진동 횟수가 더 많기 때문에 장시간 음성을 남용하는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에서 성대결절 등의 음성장애가 더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10]. 둘째, 음성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흡연 및 음주 등의 부정적 건강행위는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성은 건강 행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며[11], 여성은 남성보다 흡연및 음주 등의 부정적 건강행위가 양호하다[12]. 셋째,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 따르면, 남성에 비해서 여성이 음성문제를 더 많이 호소하며[13, 15], 음성문제의 위험도 더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14, 16, 17]. 이러한 이유에도 불구하고 음성장애를 주제로 한 연구들에서는 음성문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측 요인을 분석할 때 성별의 차이에 대해 거의 주목하고 있지 않으며, 성의 영향을 혼란변수 (confounding factor)로만 통제하고 있다. 음성문제와 관련된 위험 요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른 적절한 개입 역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음성문제에 대한 잠재적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행위 등의 위험요인을 변화시키기 위한 개입을 할 때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18]. 현재까지 음성문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대부분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건강위험행위 등을 파악하는데 머무르고 있으며[4, 5, 13, 14, 16, 17], 성별에 따른 음성장애의 예측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hen, S. M. (2010). Self-reported impact of dysphonia in a primary care population: an epidemiological study, Laryngoscope, Vol. 120, No. 10, 2022-2032. 

  2. Smith, E., Kirchner, H. L., Taylor, M., Hoffman, H., & Lemke, J. H. (1998). Voice problems among teachers: differences in gender and teaching characteristics, Journal of Voice, Vol. 12, 328-334. 

  3. Verdolini, K., & Ramig, L.O. (2001). Review: occupational risks for voice problems, Lo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Vol. 26, No. 1, 37-46. 

  4. Miller, M. K., & Verdolini, K. (1995). Frequency and risk fators for voice problems in teachers of singing and control subjects, Journal of Voice, Vol. 9, No. 4, 348-362. 

  5. Byeon, H.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ported voice problems and voice disorders in the adult population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ol. 3, NO. 1, 111-116. (변해원 (2011).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와 음성장애의 연관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3권 1호, 111-116.) 

  6. Lehto, L., Laaksonen, L., Vilkman, E., & Alku, P. (2006). Occupational voice complaints and objective acoustic measurements-do they correlate?, Lov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Vol. 31, NO. 4, 147-152. 

  7. Woisard, V., Bodin, S., Yardeni, E., & Puech, M. (2007). The voice handicap index: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patient response and quantitative assessment of voice, Journal of Voice, Vol. 21, NO. 5, 623-663. 

  8. Butler, J. E., Hammond, T. H., & Gray, S. D. (2001). Gender related differences of Hyaluronic Acid distribution in the human vocal fold, Laryngoscope, Vol. 111, 907-911. 

  9. Byeon, H. (2011). The risk factor of voice disorder using a Decision Tree, The 2nd Collaboration Conference on The KASLPA and KSLHA, 135-138. (변해원 (2011). 병인학적 음성장애의 위험요인에 관한 의사 결정나무 분석, 제2회 언어청각임상학회 . 언어치료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35-138.) 

  10. Vilkman, E. (2000). Voice problems at work: a challeng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rrangement,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52, 120-125. 

  11. Harris, D., & Guten S. (1979). Health protective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 20, 17-29. 

  12. Brown, J. S., & McCreedy, M. (1986). The hale elderly: Health behavior and its correlate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Vol. 9, 317-329. 

  13. Preciado-Lopez, J., Perez-Fernandez, C., Calzada-Uriondo, M., & Preciado-Ruiz, P. (2008). Epidemiological study of voice disorders among teaching professionals of La Rioja, Spain, Journal of Voice, Vol. 22, No.4, 489-508. 

  14. Smith, E., Lemke, J., Taylor, M., Kirchner, H. L., & Hoffman, H. (1988), Frequency of voice problems among teachers and other occupations, Journal of Voice, Vol. 12, No. 4, pp. 480-488. 

  15. Bermudez de Alvear, R. M., Baron, F. J., & Martinez- Arquero, A. G. (2011). School teachers' vocal use, risk factors, and voice disorder prevalence: Guidelines to detect teachers with current voice problem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63, 209-215. 

  16. de Jong, F. I., Kooijman, P. G., Thomas, G., Huinck, W. J., Graamans, K., & Schutte, H. K. (2006). Epidemiology of voice problems in Dutch teach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Vol. 58, 186-198. 

  17. Rasch, T., Gunther, S., Hoppe, U., Eysholdt, U., & Rosanowski, F. (2005).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in organic and functional voice disorders, Lovgopedics Phoniatrics Vocology, Vol. 30, 9-13. 

  18. Gallant, M. P., & Dorn, G. P. (2001). Gender and race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of daily health practices among older adults, Health Education Research. Vol. 16, 21-31.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KNHNES) 2008,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질병관리본부 (2008). 제4기 2차년도 국민건양영양조사, 서울: 질병관리본부, 9-17.) 

  20. Best, S. R., & Fakhry, C. F. (2011). The prevalenc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oice disorders in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NAMCS) cohort, Laryngoscope, Vol. 121, No. 1, 150-157. 

  21. Herrington-Hall, B. L., Lee, L., Stemple, J. C., Niemi, K. R., & McHone, M. M. (1988). Description of laryngeal pathologies by age, sex, and occupation in a treatment-seeking sample, Journal of Speech, Hearing Disorders, Vol. 53, No.1, 57-64. 

  22. Oyarzun, P., Sepulveda, A., Valdivia, M., Roa, I., Cantin, M., Trujillo, G., Zavando, D., & Suazo G. I. (2011) Variations of the vocal fold epithelium in a menopause induced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Morphology, Vol. 29, No. 2, 377-381. 

  23. Kim, N. J. (2000).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on the Subjective Health and Social Activity of the Elderly, KAHPERD, Vol. 39, No. 1, 149-158. (김남진 (2000). 규칙적인 운동참여가 고령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권 1호, 149-158.) 

  24. Byeon, H. (2011).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Vol. 20, No. 3, 17-30. (변해원 (2011). 흡연과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의 연관성, 한국언어치료학회, 20권 3호, 17-30.) 

  25. Han, K., Lee, J., Ryff, C., Marks, N., Ok, S., & Cha, S. (2003).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 41, No. 1, 213-229. (한경혜, 이정화, Ryff. C., Marks. N., 옥선화, 차승은 (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 행동: 성별, 연령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의학회지, 41권 1호, 213-228.) 

  26. Waldron, I. (1988), Gender and health-related behavior, In Health Behavior: Emerging research perspectives, New York: Plenum, 193-208. 

  27. Han, B., Gfroerer, J. C., Colpe, L. J., Barker, P. R., & Colliver, J. D. (2011). Serious psychological distress and mental health service use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U.S. adults, Psychiatric Services, Vol. 62, No. 3, 291-298. 

  28. Souza, L. S., Crespo, A. N., & Medeiros, J. L. (2009). Laryngeal vocal and endoscopic alterations after thyroidectomy under local anesthesia and hypnosedation,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Vol. 75, No. 4, 511-516. 

  29. Van Houtte, E., Claeys, S., Wuyts, F., & Van Lierde, K. (2011). The impact of voice disorders among teachers: vocal complaints, treatment-seeking behavior, knowledge of vocal care, and voice-related absenteeism, Journal of Voice, Vol. 25, No. 5, 562-569. 

  30. Roy, N., Merrill, R. M., Gray, S. D., & Smith, E. M. (2005). Voice disorders in the general population: prevalence, risk factors, and occupational impact, Laryngoscope, Vol. 115, No. 11, 1988-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