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물 마감재료 연소가스에 의한 독성평가
A Toxicity Evaluation for the Toxic Gases of Building Finish Material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29 no.1, 2012년, pp.129 - 140  

조남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센터) ,  이동호 (인천대학교, 소방방재연구센터) ,  오은하 (재)네오딘의학연구소, 생명환경과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에서 건축물 내장재의 화재안전성능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39호에 의한 평가방법에 의해 불연성시험(KS F ISO 1182), 열방출률시험(KS F ISO 5660) 및 가스유해성시험(KSF 2271)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서 분류하도록 되어 있다. 그 중 연기 및 연소독성가스에 대한 시험인 가스 유해성 시험은, 건축재료 및 내장재의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의 유해성을 마우스의 평균 행동정지시간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여 왔다. 이 중 연소 독성가스 4종(HCl, HF, HCN, $SO_2$) 흡입독성시험방법의 확립을 위하여 ICR계 mouse와 전신흡입노출장치를 이용하여, 독성가스 노출 및 병리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호흡기관지와 가까운 폐포에서 대식세포(Macrophage)의 침윤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종의 물질에 대한 조직의 병리검사로 전체적으로 충혈과 울혈은 확인되었다. 조직 중 폐와 신장에서 조직손상이 심하였고, 물질로는 HCN이 가장 많은 병리소견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oke toxicity is the test for the toxicity evaluation of smoke and hazardous gas, caused by combustion of building materials and finishing materials. Smoke toxicity can be evaluated by the mean incapacitation time of mice. This test result can be influenced by the health status of mice and test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장재의 연소독성 평가를 위한 연구로 연간 20,000마리 이상의 동물시험을 대체하여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흡입독성평가방법의 확립과 표준작업에 대한 절차서(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배출가스의 미세입자 및 가스상 물질에 의한 건강영향과 이에 미치는 독성을 파학하고 향후 연소독성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난연성능 평가방법은 건축물의 피난․방화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5조 내지 7조 규정에 따라 제정된 ‘건축물 마감 재료의 난연성능기준’(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39호)에서 정하고 있으며 국제규격으로서 채택된 콘칼로리미터방법(KS F ISO 5660-1)과 불연시험방법(KS F ISO 1182) 및 개정된 가스유해성시험방법(KS F 2271)을 채택하여 그 성능기준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기준에서 설치류를 사용하여 시험하는 가스유해성시험을 화재모델로 하였다. 건축용 마감재료의 직접 연소에 의한 발생 가스를 mouse에 노출시켜 시험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표준가스를 상정하여 mouse에 노출시킨 후 표적장기에 대한 적출실험을 수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장재의 연소독성 평가를 위한 연구로 연간 20,000마리 이상의 동물시험을 대체하여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의 흡입독성평가방법의 확립과 표준작업에 대한 절차서(Standard Operation Procedure, SOP) 마련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배출가스의 미세입자 및 가스상 물질에 의한 건강영향과 이에 미치는 독성을 파학하고 향후 연소독성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가스 유해성 시험은 가열을 시작해서 시험용 흰쥐가 행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이하 행동정지시간) 측정은 자동 기록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며, 가열은 시작 후 15분간 개개의 시험용 흰쥐마다 실시하여야 한다. 흰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여 9분이상을 적합한 것으로 한 것으로 하며 본 연구에서는 평균행동정지시간의 측정 및 표적장기의 적출을 통한 병리학적 관찰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스유해성시험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건축물 내장재의 화재안전성능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39호에 의한 평가방법에 의해 불연성시험(KS F ISO 1182), 열방출률시험(KS F ISO 5660) 및 가스유해성시험(KS F 2271)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서 분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가스유해성시험은 시험용 흰쥐 8마리가 연소가스에 노출 되었을 때 나타나는 평균행동정지시간(min)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 이상이 되는 재료만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 시험방법은 국외의 경우 동물보호의 차원에서 꼭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양되고 있고 일본과 한국에서만 건축법에 의해 실시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동물보호법 및 실험동물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동물실험을 제한하고 있고, 국내 흡입 가이드라인에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15-16].
건축물 내의 연소 생성가스 중, 유독가스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건축물 재료의 위험성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겠지만 인명피해의 주원인은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나 연소가스에 의한 질식사가 주요 사망원인으로 판명됨에 따라 연기발생농도와 가스 유해성이야 말로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부각 되고 있다. 건축재료 및 일반 건축물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각종 재료의 연소 생성가스중에서 일산화탄소(CO) 및 이산화탄소(CO2)이외의 유해성분으로서 Cyan계 물질, 염화수소계 물질 및 기타 합성수지류 등에서 발생되는 시안화수소(HCN), 염화수소(HCl) 및 포스겐(COCl2) 등 여러 가지의 유독가스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그 독성이 상당히 강하여 극히 미량으로도 인체에 위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황화수소,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의한 인명피해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8-11].
연소 독성가스 4종의 흡입독성시험방법 결과 는 어떠한가? 이 중 연소 독성가스 4종(HCl, HF, HCN, $SO_2$) 흡입독성시험방법의 확립을 위하여 ICR계 mouse와 전신흡입노출장치를 이용하여, 독성가스 노출 및 병리검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호흡기관지와 가까운 폐포에서 대식세포(Macrophage)의 침윤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종의 물질에 대한 조직의 병리검사로 전체적으로 충혈과 울혈은 확인되었다. 조직 중 폐와 신장에서 조직손상이 심하였고, 물질로는 HCN이 가장 많은 병리소견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United Kingdom Fire Statistics, Home Office, London(1983). 

  2. Marcelo M. H., Fire retardance, smoke toxicity and fire hazard. Proc, Flame Retardants '94, British Plastics Federation Interscience Communications, London, UK, Jan. 26 (1994). 

  3. B.F. Clarke, in Fire Deaths, Causes and Strategies for Control, Technomic, Lancaster, PA (1984). 

  4. J.R. Hall and A.E. Cote, in Fire Protection Handbook, 18th ed. (A.E. Cote, editor-in-chief), NFPA, Quincy, MA, Ch. 1(1997). 

  5. V. Berl and B. Halpin, NBS Grant Contract Report NBS-GCR 168,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shington, DC(1979). 

  6. The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3rd edition, NFPA(2002). 

  7. Nam-Wook Cho, Jong-Cheon Lee, Bong-Jae Lee, Jae-Bum Choi, Dong-Ho Rie. A comparative study on toxic gas index by BS6853 and gas hazardous test.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5, No. 4, (2011). 

  8. FTP code(International Code for Applicati on of Fire Test Procedure), (2002). 

  9. Hartzell G. E., Overview of combustion toxicology. Toxicology Vol. 115, 7 (1996). 

  10. OECD. Guideline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No. 403.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2009). 

  11. KS F 2271, Built in Flame retardant Building Materials, Test Methods and Structures, Korea Standards Association. (1998). 

  12. Soo-Young Park, Woo-Seok Lee, Han-Seung Yeo, Hong-Soon Im.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smoke optical density and toxic gases of sandwich panel insulations.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0, No. 4, (2006). 

  13. Babrauskas, V., Smoke and gas-evolution rate measurements on fire-retarded plastics with the cone calorimeter. Fire Saf. J., Vol. 14, No. 3, 135 (1989). 

  14. Yamamoto, I. and Watanabe, K., Toxic components of smoke in fire accidents. Jpn. J. Toxicology., Vol. 11, No. 4, 329 (1998). 

  15. Kaplan, H. L., Grand, A. F. and Hartzell, G. E., Combution Toxicology : principles and test methods. Lancaster, PA, Technomic Publ. (1983). 

  16. Hirschler, M. M., Fire hazard and toxic potency of the smoke from burning materials. J. Fire Sci., Vol. 5, 289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