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란계 사슬 이동제를 사용한 아크릴 바인더의 제조
Preparation of Acryl Binder with Silane Type Chain Transfer Agent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6 no.3, 2012년, pp.351 - 356  

김진곤 (충북대학교 화학과) ,  신민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공과) ,  신재섭 (충북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의 제작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기물첨가제는 아크릴 바인더이다. 이 아크릴 바인더는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glycidyl methacrylate(GMA), methyl methacrylate(MMA), methacrylic acid(MAA)를 이용하여 공중합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 공중합체의 접착력 향상을 위해서 실란계 mercaptane 화합물을 사슬 이동제(CTA)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CTA는 (3-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MPTMS)이며, 제조된 공중합체들의 분자량, 코팅의 두께, 투과도, 접착력 등의 물성 등을 살펴보았다. 사용된 MPTMS 함량에 따라 분자량이 조절되었고, MPTM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이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ryl binder is a representative organic additive for the manufacture of the display electronic equipment. Acryl binder is usually synthesized by radical copolymerization. Glycidyl methacrylate (GMA), methyl methacrylate (MMA), and methacrylic acid (MAA) were used in this copolymerization of acryl b...

주제어

참고문헌 (34)

  1. A. S. Brar and A. Yadav, J. Mol. Struct., 602-603, 29 (2002). 

  2. T. Nishikubo, E. Takerhara, S. Saita, and T. Matsumur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25, 3049 (1987). 

  3. K. Subramanian and A. V. R. Reddy, J. Appl. Polym. Sci., 86, 3264 (2002). 

  4. J. W. Lee, J. Y. Kim, and T. H. Kim, J. Korean Soc. Imaging Sci. Tech., 6, 39 (2000). 

  5. H. C. Pyun, W. B. Park, and K. S. Choi, Polymer(Korea), 2, 269 (1979). 

  6. H. C. Pyun and W. B. Park, Polymer(Korea), 6, 235 (1982). 

  7. W. B. Park, Polymer(Korea), 7, 254 (1983). 

  8. Y. Mizutani, K. Kusukoto, and Y. Kagiyama, J. Appl. Polym. Sci., 26, 271 (1981). 

  9. G. L. Jialanella and I. Piirma, J. Appl. Polym. Sci., 43, 1577 (1991). 

  10. P. G. Vijayaraghavan and B. S. R. Reddy, J. Appl. Polym. Sci., 61, 935 (1996). 

  11. S. Thamizharasi, P. Gnanasundaram, and B. S. R. Reddy, J. Appl. Polym. Sci., 65, 1285 (1997). 

  12. D. Becker, E. Hage, and L. A. Pessan, J. Appl. Polym. Sci., 106, 3248 (2007). 

  13. J. L. de la Fuente, P. F. Caamero, and M. Fernndez-Garca,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4, 1807 (2006). 

  14. A. Arun and B. S. R. Reddy, J. Polym. Res., 11, 195 (2004). 

  15. K. D. Safa and M. H. Nasirtabrizi, Polym. Bull., 57, 293 (2006). 

  16. H. G. Woo, L. Y. Hong, S. Y. Kim, and S. H. Park, Bull. Korean Chem. Soc., 16, 774 (1995). 

  17. B. Mouanda, Polymer, 38, 5301 (1997). 

  18. Y. Wu, C. Wu, M. Gong, and T. Wu, J. Appl. Polym. Sci., 102, 3580 (2006). 

  19. S. H. Han, K. K. Park, and S. H. Lee, Macromol. Res., 17, 51 (2009). 

  20. K. H. Wong, M. H. Stenzel, S. Duvall, and F. Ladouceur, Chem. Mater., 22, 1878 (2010). 

  21. J. Brandrup and E. H. Immergut, Polymer Handbook, 4th ed., Wiley, New York, p II2-69 (1999). 

  22. I. S. Chung, Elastomer, 40, 53 (2005). 

  23. T. Furuncuolu, I. Uur, I. Deirmenci, and V. Aviyente, Macromolecules, 43, 1823 (1997). 

  24. C. E. Hoyle, T. Y. Lee, and T. Roper,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2, 5301 (2004). 

  25. J. Zhao, M. Chen, Y. O. An, J. X. Lin, and F. Y. Yan, Appl. Surf. Sci., 255, 2295 (2008). 

  26. Z. Karimi and A. R. Mahjoub, Appl. Surf. Sci., 256, 4473 (2010). 

  27. K. Ishizu, Y. Tokuno, S. Uchida, M. Ozawa, and D. H. Lee, J. Appl. Polym. Sci., 112, 2434 (2009). 

  28. Y. Tian, W. Lu, L. B. Shen, L. M. Jiang, Y. Che, and Z. Q. Shen, J. Appl. Polym. Sci., 115, 997 (2010). 

  29. J. J. Chen, K. N. Struk, and A. B. Brennan, Langmuir, 27, 13754 (2011). 

  30. J. M. Antonucci, S. H. Dickens, B. O. Fowler, H. K. X. Hockin, and W. G. Mcdonough, J. Res. Natl. Inst. Stand. Technol., 110, 541 (2005). 

  31. F. Zhou, W. Liu, T. Xu, S. Liu, M. Chen, and J. Liu, J. Appl. Polym. Sci., 92, 1695 (2004). 

  32. S. Nakamura, E. Pavlovic, and E. J. Kramer, J. Adhes., 83, 351 (2007). 

  33. J. Monni, L. Alvila, J. Rainio, and T. T. Pakkanen, J. Appl. Polym. Sci., 104, 1933 (2007). 

  34. S. Kim,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