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선탄경석(選炭硬石)과 광산화물(鑛酸化物)로 제조(製造)한 담체(擔體)의 중금속(重金屬) 불용화(不溶化) 특성연구(特性硏究) A study of Immobilizing Heavy metals by pellets manufactured from Coal tailings and Iron oxide원문보기
선탄경석을 환경개선물질로 순환자원화하기 위해 철산화물과 혼합하여 중금속 불용화제를 제조하고 이의 적정제조 조건과 중금속에 대한 불용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탄경석을 분쇄한 후 철산화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구형의 펠릿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하여 중금속 불용화제를 제조하였다. 온도별로 가열한 결과, $1100^{\circ}C$부터 선탄경석에 함유된 탄질분에 의해 영가철이 생성되었다. 제조된 불용화제는 구형의 다공체로서 공극률은 34.63%, 겉보기 밀도는 1.31 g/mL, 공극의 평균크기는 9.82 ${\mu}m$로 측정되었다. 불용화제를 비소(V), 구리(II), 크롬(VI), 카드뮴(II)이 함유된 각각의 중금속 용액과 반응시킨 결과, 영가철이 생성된 $1100^{\circ}C$에서 제조된 펠릿이 중금속 불용화도가 높고 pH를 더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농도 10 ppm의 용액을 99.9%이상 불용화하기까지 비소의 경우 1시간, 크롬의 경우 2시간, 구리의 경우 4시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카드뮴의 경우 불용화도가 낮게 나타났고 중금속농도가 높을수록 불용화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탄경석을 환경개선물질로 순환자원화하기 위해 철산화물과 혼합하여 중금속 불용화제를 제조하고 이의 적정제조 조건과 중금속에 대한 불용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탄경석을 분쇄한 후 철산화물의 분말을 혼합하여 구형의 펠릿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하여 중금속 불용화제를 제조하였다. 온도별로 가열한 결과, $1100^{\circ}C$부터 선탄경석에 함유된 탄질분에 의해 영가철이 생성되었다. 제조된 불용화제는 구형의 다공체로서 공극률은 34.63%, 겉보기 밀도는 1.31 g/mL, 공극의 평균크기는 9.82 ${\mu}m$로 측정되었다. 불용화제를 비소(V), 구리(II), 크롬(VI), 카드뮴(II)이 함유된 각각의 중금속 용액과 반응시킨 결과, 영가철이 생성된 $1100^{\circ}C$에서 제조된 펠릿이 중금속 불용화도가 높고 pH를 더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농도 10 ppm의 용액을 99.9%이상 불용화하기까지 비소의 경우 1시간, 크롬의 경우 2시간, 구리의 경우 4시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카드뮴의 경우 불용화도가 낮게 나타났고 중금속농도가 높을수록 불용화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orous pellets for immobilizing heavy metals were manufactured from coal tailings and iron oxide powder. Coal tailings was pulverized and mixed with iron oxide powder. The mixed powder was granulated into spherical pellets and roasted. Over $1100^{\circ}C$, residual coal in coal tailings ...
Porous pellets for immobilizing heavy metals were manufactured from coal tailings and iron oxide powder. Coal tailings was pulverized and mixed with iron oxide powder. The mixed powder was granulated into spherical pellets and roasted. Over $1100^{\circ}C$, residual coal in coal tailings reduced iron oxide to ZVI(Zero-Valent Iron). The pellets have 34.63% of porosity, 1.31 g/mL of bulk density, and 9.82.urn median pore diameter. The pellets were reacted with synthetic solutions containing each heavy metals: arsenic(V), copper(II), chrome(VI), and cadmium(II), respectively. On the test of immobilizing heavy metal, the pellets made at $1100^{\circ}C$ were superior to the other pellets made under $1000^{\circ}C$. Immobilizing over 99.9% of 10ppm heavy metal solutions required I hour for arsenic, 2 hours for chrome, and 4 hours for copper. However, immobilizing capacity of cadmium was inferior to that of the other metals and it was decreased in reversely proportion to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s.
Porous pellets for immobilizing heavy metals were manufactured from coal tailings and iron oxide powder. Coal tailings was pulverized and mixed with iron oxide powder. The mixed powder was granulated into spherical pellets and roasted. Over $1100^{\circ}C$, residual coal in coal tailings reduced iron oxide to ZVI(Zero-Valent Iron). The pellets have 34.63% of porosity, 1.31 g/mL of bulk density, and 9.82.urn median pore diameter. The pellets were reacted with synthetic solutions containing each heavy metals: arsenic(V), copper(II), chrome(VI), and cadmium(II), respectively. On the test of immobilizing heavy metal, the pellets made at $1100^{\circ}C$ were superior to the other pellets made under $1000^{\circ}C$. Immobilizing over 99.9% of 10ppm heavy metal solutions required I hour for arsenic, 2 hours for chrome, and 4 hours for copper. However, immobilizing capacity of cadmium was inferior to that of the other metals and it was decreased in reversely proportion to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solutio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리고 선탄경석은 자체에 석탄의 탄질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철산화물과 같이 가열할 경우에 철산화물을 환원시켜 중금속의 불용화에 많이 활용되는 영가철을 생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탄경석과 철산화물을 활용하여 중금속 불용화에 사용할 담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선탄경석과 철산화물의 분말을 혼합, 과립 (pelletizing), 가열하여 구형의 다공성 펠릿을 제조하고 이의 적정제조조건과 중금속 불용화성능을 시험하였다.
제안 방법
선탄경석을 순환자원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철산화 물과 혼합하여 중금속의 불용화제를 제조하고 이의 적정제조 조건과 불용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탄경석을 60 mesh이하로 분쇄한 후 철산화물분말과 혼합하여 3~5 mm크기의 구형 펠릿을 제조하였다.
채취된 상등액은 모두 원심분리 한 후 pH를 측정하고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 AES, Varian)를 통해 잔류 금속농도를 분석하여 불용화도를 계산하였다.
광업소의 선탄공정은 상승류에 의한 선별과 배출구의 컨베이어 밸트에서 이루어지는 수선(hand picking)으로 구성되며, 주로 5~30 cm크기의 괴상으로 배출된다. 본 연구에서는 배출되는 선탄경석을 채취하여 조크러셔(Jaw crusher)로 조쇄를 한 후, 볼 밀과 진동체에 의한 사분(sieving)을 반복하여 전체를 60mesh체의 사하산물(undersize)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철산화물로는 시판되는 Fe2O3분말시약을 사용하여 철산화물의 활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출되는 선탄경석을 채취하여 조크러셔(Jaw crusher)로 조쇄를 한 후, 볼 밀과 진동체에 의한 사분(sieving)을 반복하여 전체를 60mesh체의 사하산물(undersize)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철산화물로는 시판되는 Fe2O3분말시약을 사용하여 철산화물의 활용가능성을 시험하였다.
불용화제의 제조공정은 선탄경석의 분쇄, 철산화물과의 혼합, 펠릿의 제조, 가열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분쇄한 선탄경석에 철산화물분말을 5%, 10%, 20%로 혼합하여 세가지 시료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 pan type의 과립기(pelletizer)에서 순수를 분무하여 과립하였다.
불용화제의 제조공정은 선탄경석의 분쇄, 철산화물과의 혼합, 펠릿의 제조, 가열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분쇄한 선탄경석에 철산화물분말을 5%, 10%, 20%로 혼합하여 세가지 시료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 pan type의 과립기(pelletizer)에서 순수를 분무하여 과립하였다. 과립된 구형의 펠릿은 건조한 후 체가름하여 3~5 mm크기의 펠릿만을 선별하였다.
과립된 구형의 펠릿은 건조한 후 체가름하여 3~5 mm크기의 펠릿만을 선별하였다. 이후 펠릿을 도가니에 넣고 뚜껑을 닫아 공기를 차단한 후 900℃, 1000℃, 1100℃의 온도에서 각각 2시간씩 가열하여 구형의 다공성 담체인 불용화제를 제조하였다.
선탄경석은 한국공업규격 [KS E 3705]에 따른 공업 분석(proximate analysis)을 통해 수분, 휘발분, 회분, 고정탄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화학성분은 전기로에서 900℃로 가열하여 완전연소시킨 선탄경석을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s: ZSX100e, Rigaku)로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시료의 입도는 입도분석기(FRITSCH, Analysette-2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화학성분은 전기로에서 900℃로 가열하여 완전연소시킨 선탄경석을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s: ZSX100e, Rigaku)로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시료의 입도는 입도분석기(FRITSCH, Analysette-2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불용화제는 다공질 구조체이므로 공극률과 기공크기분포 등의 특성을 pycnometer (AutoPore IV 9500, Micromeritics Instrument Co.
시료의 입도는 입도분석기(FRITSCH, Analysette-2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불용화제는 다공질 구조체이므로 공극률과 기공크기분포 등의 특성을 pycnometer (AutoPore IV 9500, Micromeritics Instrument Co.)에 의한 Hg-intrusion으로 분석하였다.
보이는 바와 같이 구형의 펠릿이며 3~5 mm의 크기의 다공체이다. 이 다공체가 갖는 공극의 크기와 특성을 알기 위해 Hg-intrusion분석을 실시하였다(Fig. 4). 측정결과 공극률은 34.
상기 결과를 토대로 철산화물 5%와 10%를 혼합한 각각의 펠릿을 1100℃에서 2시간 가열하고 또한 철산 화물 10%를 혼합한 펠릿을 1000℃에서 가열하여 세가지 불용화제를 제조하였다. Fig.
적정 제조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철산화물을 10%로 혼합하고 900~1100 ℃로 가열하여 제조한 불용화제를 XRD분석하였고 이를 Fig. 2에 나타내었다. 가열하지 않은 선탄경석은 주로 quartz, phyrophyllite, muscovite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불용화제에 혼합한 철산화물 중 환원되어 반응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된 양을 알아보기 위해 철산화물을 3%, 5%, 10%, 20%씩 혼합한 펠릿을 각각 제조하고 이를 1000 o C와 1100 oC에서 가열하여 환원을 유도하였다. 환원에 의해 생성된 금속상태의 철분은 약산으로도 쉽게 용해될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각 조건에 따라 제조한 불용화제를 분쇄한 후 묽은 염산(1/20)으로 30분간 용해시키고 용해된 철분의 양을 분석하였다(Table 2).
C에서 가열하여 환원을 유도하였다. 환원에 의해 생성된 금속상태의 철분은 약산으로도 쉽게 용해될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각 조건에 따라 제조한 불용화제를 분쇄한 후 묽은 염산(1/20)으로 30분간 용해시키고 용해된 철분의 양을 분석하였다(Table 2).
불용화제가 처리할 수 있는 중금속의 양을 평가하기 위해 50 ppm까지 농도를 높여서 1시간, 2시간의 반응 시간을 주어 평가하였다. Fig.
선탄경석을 순환자원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철산화 물과 혼합하여 중금속의 불용화제를 제조하고 이의 적정제조 조건과 불용화 성능을 평가하였다. 선탄경석을 60 mesh이하로 분쇄한 후 철산화물분말과 혼합하여 3~5 mm크기의 구형 펠릿을 제조하였다. 공기를 차단하고 펠릿을 가열한 결과, 1100℃부터 선탄경석에 함유된 탄질분에 의해 철산화물이 환원되어 영가철이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제조된 불용화제는 구형의 다공체로서 공극률은 34.63%, 겉보기 밀도는 1.31 g/mL, 공극의 평균크기는 9.82 µm로 측정되었다.
선탄경석 혼합하여 제조할 중금속 불용화제로는 철산화물을 선택하였다. 철산화물로는 부산물로 많이 발생하는 밀스케일 등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또한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선탄경석은 장성광업소 철암생산부의 협조를 받아 채취하였다. 광업소의 선탄공정은 상승류에 의한 선별과 배출구의 컨베이어 밸트에서 이루어지는 수선(hand picking)으로 구성되며, 주로 5~30 cm크기의 괴상으로 배출된다.
상기 분쇄한 선탄경석에 철산화물분말을 5%, 10%, 20%로 혼합하여 세가지 시료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 pan type의 과립기(pelletizer)에서 순수를 분무하여 과립하였다. 과립된 구형의 펠릿은 건조한 후 체가름하여 3~5 mm크기의 펠릿만을 선별하였다. 이후 펠릿을 도가니에 넣고 뚜껑을 닫아 공기를 차단한 후 900℃, 1000℃, 1100℃의 온도에서 각각 2시간씩 가열하여 구형의 다공성 담체인 불용화제를 제조하였다.
3은 선탄경석에 철산화물을 10%혼합하고 1100℃에서 2시간 가열하여 제조한 불용화제의 사진이다. 보이는 바와 같이 구형의 펠릿이며 3~5 mm의 크기의 다공체이다. 이 다공체가 갖는 공극의 크기와 특성을 알기 위해 Hg-intrusion분석을 실시하였다(Fig.
이론/모형
선탄경석은 한국공업규격 [KS E 3705]에 따른 공업 분석(proximate analysis)을 통해 수분, 휘발분, 회분, 고정탄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화학성분은 전기로에서 900℃로 가열하여 완전연소시킨 선탄경석을 XRF(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s: ZSX100e, Rigaku)로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성능/효과
선탄경석을 60 mesh이하로 분쇄한 후 철산화물분말과 혼합하여 3~5 mm크기의 구형 펠릿을 제조하였다. 공기를 차단하고 펠릿을 가열한 결과, 1100℃부터 선탄경석에 함유된 탄질분에 의해 철산화물이 환원되어 영가철이 생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된 불용화제는 구형의 다공체로서 공극률은 34.
1) 철산화물의 존재하는 Fe2+ 수용액에 비소가 투입되면 Fe2+와 H2AsO4−가 철산화물 표면에 같이 흡착되며 비소는 H2AsO3-로 환원된다.
4). 측정결과 공극률은 34.6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0.1 psi의 압력으로 주입하였을 때 채워지지 않은 부분의 부피를 펠릿의 겉보기체적으로 가정하여 계산한 겉보기 밀도는 1.31 g/mL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극의 평균크기는 9.
결과를 보면 시험한 네가지 중금속 모두에서 시간에 따라 중금속의 농도가 감소하고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철산화물을 10% 혼합한 펠릿이 5% 혼합한 펠릿보다 중금속의 불용화도가 높고 pH를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시험한 네가지 중금속 모두에서 시간에 따라 중금속의 농도가 감소하고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철산화물을 10% 혼합한 펠릿이 5% 혼합한 펠릿보다 중금속의 불용화도가 높고 pH를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용화제 중 1000 oC에서 제조한 것은 크롬과 비소의 경우에서 1100℃에서 제조한것 보다 더 낳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구리와 카드뮴에 서는 낮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결과를 보면 선탄경석이 47.5 µm의 평균입도를 가지며 이것이 산화되었을 경우 입도는 14.8 µm로 낮아지고 철산화물의 경우 평균입도가 5.17 µm이었다.
결과를 보면 상기 Fig.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철산화물의 환원은 1100℃부터 일어나고 이에 따라 1000℃에서 가열한 펠릿은 철분이 거의 용해되지 않았다. 그리고 1100℃에서 가열한 경우는 5%이상에서 철산화물의 혼합량에 따라 철분의 용해량이 같은 비율로 증가하여 10% 혼합체의 경우 용해될 수 있는 철분이약 3.
1 ppm까지 낮아졌다. 1000℃의 펠릿은 6시간에 1.1 ppm까지 낮아져서 산화물 상태보다 영가철이 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선탄경석은 환경재료로서 세라믹담체를 제조하는데 적절하고, 또한 철산화물과 혼합하여 제조할 경우에는 선탄경석이 함유한 탄질물에 의해 철산화물을 환원시켜 담체내에 영가철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한 펠릿은 비소, 구리, 크롬 등의 불용화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탄 경석과 철산화물 모두 부산물로 발생하는 양이 많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82 µm로 측정되었다. 불용화제를 비소(V), 구리(II), 크롬(VI), 카드뮴(II)이 약 10 ppm 함유된 각각의 중금속 용액과 반응시킨 결과, 영가철이 생성된 1100℃의 펠릿이 중금속 불용화도가 높고 pH를 더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의 99.
후속연구
철산화물로는 부산물로 많이 발생하는 밀스케일 등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또한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리고 선탄경석은 자체에 석탄의 탄질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철산화물과 같이 가열할 경우에 철산화물을 환원시켜 중금속의 불용화에 많이 활용되는 영가철을 생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탄경석과 철산화물을 활용하여 중금속 불용화에 사용할 담체를 제조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선탄경석과 철산화물의 분말을 혼합, 과립 (pelletizing), 가열하여 구형의 다공성 펠릿을 제조하고 이의 적정제조조건과 중금속 불용화성능을 시험하였다.
1 ppm까지 불용화시킬 수 있었다. 카드뮴의 불용화과정은 산화-환원 반응으로 영가철표면에 카드뮴이 흡착되며 매우 효과적인 불용화방법으로 알려졌으나11) 본 연구에서는 효과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나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선탄 경석과 철산화물 모두 부산물로 발생하는 양이 많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본 기술을 이용하여 선탄경석이 발생하는 광업소부근의 환경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탄경석이 환경개선을 위한 세라믹재료로 적합함을 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업분석을 통해 조사한 선탄경석의 수분, 휘발분, 고정탄소 및 회분 함유량과 선탄경석을 연소시킨 시료의 XRF분석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선탄경석이 함유하는 휘발분과 고정탄소는 각각 2.25%와 11.65%으로 발열량 또한 약 1210 kcal/kg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회분의 양은 약 84.35%이며 이를 분석한 XRF결과를 보면 주성분이 SiO2와 Al2O3이고 SiO2/Al2O3 또한 1.88로서 일반적인 토양구성광물과 비슷하다. 따라서 선탄경석이 환경개선을 위한 세라믹재료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불용화제의 제조공정은 어떤 순서로 이루어졌는가?
불용화제의 제조공정은 선탄경석의 분쇄, 철산화물과의 혼합, 펠릿의 제조, 가열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분쇄한 선탄경석에 철산화물분말을 5%, 10%, 20%로 혼합하여 세가지 시료를 제조하고 이를 각각 pan type 의 과립기(pelletizer)에서 순수를 분무하여 과립하였다.
대부분의 중금속들은 왜 침강, 흡착 등으로 처리될 수 있는가?
대부분의 중금속들은 높은 pH영역에서 수산화물을 생성하므로 침강, 흡착 등으로 처리될 수 있지만, 비소와 같이 여러 산화상태로 존재하며 높은 pH영역에서 용해도가 큰 원소는 쉽게 처리되지 않는다.1) 최근에는 중성 영역에서 활성알루미나, 활성탄, 영가철, 수산화철 등을 이용하여 불용화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참고문헌 (11)
Fields, K. Chen, A., Wang, L., 2000 : Arsenic removal from drinking water by iron removal plants, EPA report, EPA/600/R-00/086.
Kanel, S.R., Manning, B., Charlet, L. and Choi, H., 2005 : Removal of arsenic(III) from groundwater by nanoscale zero-ValentiIron, Environ. Sci. Technol., 39(5), pp12911298.
Song, T., Ahn, J. and Kang, H., 1967 :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al-refuse: Fundamental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fireproof material and lightweight aggregate from coal refuse (part 1), J.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 4, pp21-28.
Hyun, J., Jeong, S. and Chae, Y., 2005 : Utilization of a coal-preparation refuse as a raw material for clay brick, J. of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4(4), pp3-9.
Jeong, S., 2004 :, Effective utilization for the domestic coal refuse, Research Report of Korea Ins. Geosci. Mineral Res., KR-04(C)-19.
Giasuddin, B. M. A., Kanel R. S., Choi H., 2007 : Adsorption of Humic Acid onto Nanoscale Zerovalent Iron and Its Effect on Arsenic Removal, Environ. Sci. Technol., 41(6), pp2022-2027.
Lim J., Kim K., Lee, S., Kwon O., Yang J., Ok Y., 2010 : Stabilization of As (arsenic(V) or roxarsone) contaminated soils using zerovalent iron and basic oxygen furnace slag, Kor. Soc. Env. Eng., 32(6), pp631-638.
William, R. R., Mitch, L., Jonathon, M., Gordon, M. P., 2004 : Arsenic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via Ferrihydrite Crystallization Control, Environ. Sci. Technol., 38(8), pp2368-2372.
Mouedhena, G., Fekia, M., Petris-Weryb, M,. Ayedi, H.F., 2009 : Electrochemical removal of Cr(VI) from aqueous media using iron and aluminum as electrode materials: Toward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volved phenomena, J. of Hazardous Materials, 168, pp. 983-991.
Boparai, K. H., Joseph, M., O'Carroll, M. D., 2011 : Kinetics and thermodynamics of cadmium ion removal by adsorption onto nano-zerovalent iron particles, J. of Hazardous Materials, 186, pp458-465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