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인식 탐색
Investigation of Prospective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Views on 'Advanced Materia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2 no.2, 2012년, pp.279 - 292  

윤회정 (이화여자대학교) ,  윤원정 (이화여자대학교) ,  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편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신소재'에 대한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신소재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예비 고등학생 1,499명과 과학 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과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지만 신소재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았다. 학생들은 개정 과학 교과서의 신소재 단원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교사들도 신소재 단원 수업을 어렵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과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인지도와 신소재 관련 지식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편이었다. 학생과 교사 모두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신소재에 대해 접했던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소재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과 교사는 많지 않았으며, 신소재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지 못한 교사들도 다수 있었다. 셋째, 학생과 교사 모두 신소재 수업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다. 신소재의 용도에 대해 알 필요가 있으며 매체 활용 수업을 가장 선호한다는 공통점을 나타냈지만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체험학습을 선호하는 등 교사와 학생 입장에서 원하는 수업 진행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소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 이들이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할 때 고려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spective high school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advanced material',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surveyed. One thousand four hundred and ninety nine students and 123 teachers from Seoul, Incheon, and the Kyeonggi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고등학교‘과학’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 신소재 단원을 배울 학생들과 이를 지도하게 될 교사들의 신소재에 대한 인식과 신소재 수업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신소재와 신소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편된 고등학교‘과학’교과서에 새롭게 도입된‘신소재’에 대한 예비 고등학생들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신소재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 신소재의 용도에 대해 알 필요가 있으며 매체 활용 수업을 가장 선호한다는 공통점을 나타냈지만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체험학습을 선호하는등 교사와 학생 입장에서 원하는 수업 진행 방식에는 차이점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신소재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것과 이들이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할 때 고려할 점들을 제안하였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10학년 ‘과학’은 분과적인 경계를 허물고, 커다란 주제 아래 여러 과학 개념들을 담아 융합적 시각에서 과학의 맥락을 이해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소재의 영역은 무엇으로 분류될 수 있는가? 신소재는 금속 무기∙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기술로 제조하여 종래에 없던 새로운 성능 및 용도를 가진 소재를 이르는 것으로 무기 재료, 금속 재료, 고분자 재료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광통신용 유리 섬유나 파인 세라믹스가 무기 재료에 속하며 형상 기억 합금, 초전도 재료는 금속 재료에,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을 활용한 다양한 복합 재료들은 고분자 재료에 속한다(교재연구회, 2002; 전창림, 2009). 신소재는 정부가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 사회 변혁을 주도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선정한 6대 기술 분야(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1) 중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생명 공학 기술(Biology Technology, BT), 나노 기술(Nano Technology, NT), 우주 항공 기술(Space Technology, ST)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6대 기술 분야가 신소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신소재는 정부가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 사회 변혁을 주도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선정한 6대 기술 분야(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1) 중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생명 공학 기술(Biology Technology, BT), 나노 기술(Nano Technology, NT), 우주 항공 기술(Space Technology, ST)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IT 분야의 반도체, 초전도체, BT 분야의 생명 공학 분야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소재, NT 분야의 나노 물질, ST 분야의 인공위성, 우주 탐사선에 필요한 새로운 물질 등의 연구와 개발이 모두 신소재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신소재 중에서 2009 개정 과학 교과서에는 파인 세라믹스, 전도성 고분자 물질, 나노 물질, 탄소 나노 튜브, 액정, 초전도 물질, 형상 기억 합금, 그래핀 등이 소개되고 있다(곽영직 등, 2011; 김희준 등, 2011; 안태인 등, 2011; 오필석 등, 2011; 전동렬 등, 2011; 정완호 등, 2011; 조현수 등, 2011).
무기 재료에는 무엇이 속하는가? 신소재는 금속 무기∙유기 원료 및 이들을 조합한 원료를 새로운 기술로 제조하여 종래에 없던 새로운 성능 및 용도를 가진 소재를 이르는 것으로 무기 재료, 금속 재료, 고분자 재료의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광통신용 유리 섬유나 파인 세라믹스가 무기 재료에 속하며 형상 기억 합금, 초전도 재료는 금속 재료에, 탄소 섬유, 유리 섬유 등을 활용한 다양한 복합 재료들은 고분자 재료에 속한다(교재연구회, 2002; 전창림, 2009). 신소재는 정부가 21세기 과학기술의 발전과 경제 사회 변혁을 주도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선정한 6대 기술 분야(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1) 중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 생명 공학 기술(Biology Technology, BT), 나노 기술(Nano Technology, NT), 우주 항공 기술(Space Technology, ST)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곽영직, 박정일, 강석철, 우문숙, 김재우, 노기종, 박미아, 박기성 (2011). 고등학교 과학. 더텍스트.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 개정 고교 과학과교육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별책 9. 

  3. 교재연구회 (2002). 생활화학과 첨단화학의 세계. 자유아카데미. 

  4.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1).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리개선방안.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5. 김영민, 박수경, 이승우 (2010).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첨단과학기술에 대한 인식 및 관련지식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0(3), 901-919. 

  6. 김진화, 박일우 (2009). 첨단 과학에 대한 초등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교과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390-403. 

  7. 김현정, 홍훈기 (2010).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대한화학회지, 54(5), 633-642. 

  8. 김현정, 홍지혜, 홍훈기 (2011).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도입된 최신 과학 내용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827-835. 

  9. 김희준, 강지훈, 권영식, 김경력, 김선기, 이명균, 이용구, 이진승, 전병희 (2011). 고등학교 과학. 상상아카데미. 

  10. 문대영 (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11. 민경찬 (2009). 융합연구와 융합교육. 인문정책포럼, 2, 35-38. 

  12. 박상태, 신영숙, 이희복, 육근철, 김희수, 김여상 (2002). 제 7차 교육과정의 7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개념 분석 -에너지와 지구 영역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76-285. 

  13. 안태인, 안정선, 한인섭, 김대준, 이문원, 권석민, 신석주, 채광표, 이세연, 김명하, 하윤경, 김영호 (2011). 고등학교 과학. 금성출판사. 

  14. 오필석, 유시욱, 이석영, 배미정, 손정우, 소영무, 이봉우, 최선영, 최승규 (2011).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15. 전동렬, 홍훈기, 전상학, 박영도, 김호련, 유영선, 오소라, 김규태, 권오성, 심정규, 문무현, 김호성, 김현정, 김현희 (2011). 고등학교 과학. 미래엔 컬처그룹. 

  16. 전창림 (2009). 화학으로 들여다본 첨단과학의 신소재. 자유아카데미. 

  17. 전창식, 권동택 (2009). 초등교사가 지각한 체험학습 관련 변인 분석. 초등교육학연구, 16(2), 125-146. 

  18. 정완호, 고현덕, 권혁빈, 김낙현, 김영준, 김웅태, 김희동, 박종석, 송현미, 신미영, 윤용, 임태훈 (2011).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19. 정혜미 (2011). 고등학교 과학, 화학 I, 화학 II 중심의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제 7차 교육과정 비교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조미애, 최은경, 윤진녀, 문성배 (2005). 교실 밖 화학체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부산지역 중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828-836. 

  21. 조선아 (2006). 중등 과학교육에서 첨단 과학기술 교육의 문제점과 그 실례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조현수, 강대훈, 강태욱, 김민수, 김연귀, 김희수, 문태주, 이용철, 이정은, 조영우 (2011).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23. 최경희 (2001). 과학교과에서의 양성 평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및 자료개발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213-230. 

  24. 최유현, 문대영, 강경균, 이진우, 이주호 (2008).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8(2), 143-164. 

  25. 최호형, 최윤종 (2003).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과학교과 생명영역의 교과서 체제 및 학습 내용 비교 분석. 과학교육연구, 34, 87-106. 

  26. Blonder, T. (2011). The story of nanomaterials in modern technology: an advanced course for chemistry teacher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8(1), 49-52. 

  27. Hashweh, M. Z. (1996). Effects of science teachers'epistemological belief in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47-63. 

  28. Hingant, B., & Albe, V. (2010). Nanosciences and nanotechnologies learning and teaching in secondary education: a review of literatur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6(2), 121-152. 

  29. Hurd, P. D. (2002). Modernizing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9. 

  30. Micari, M., Pazos, P., Streitwieser, B., & Light, G. (2010). Small-group learning in undergraduate STEM disciplines: effect of group type on student achievement.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6(3), 269-286. 

  31. Michael, M., Grinyer, A., & Turner, J. (1997). Teaching biotechnology: identity in the context of ignorance and knowledgeabilit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6, 1-17. 

  32. Murray, I., & Reiss, M. (2005). The student review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Review, 87(318), 83-93. 

  33. Owen, S., Dickson, D., Stanisstreet, M., & Boyes, E. (2008). Teaching physics: Students' attitudes towards different learning activitie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6(2), 113-128. 

  34. Susan, E. (2010). Project kaleidoscope 2.0: Leadership for twenty-first century STEM education. Liberal Education, 96(4), 24-33. 

  35. Weinburgh, M. (1995). Gender differences i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A meta-analysis of the literature from 1970 to 1991.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4), 387-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