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바탕으로 한 어메니티자원 분류체계 재정립
Remodelling of Amenity Resources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Rural Territory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8 no.1, 2012년, pp.1 - 8  

최영완 (경상대학교 대학원) ,  김영주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ral policies in Korea have been changed into amenity-oriented ones recently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villigian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the amenity-oriented maintenance system for rural space or environment too. Although so many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res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도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살터”, “일터”, “쉼터”로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한경수(1999)의 연구는 토지자원, 자연환경자원, 인문사회자원 등 농촌자원을 총망라하여 농촌자원평가에 대한 전체골격체계의 구축을 목적으로 구분한 반면 이 연구에서는 어메니티 자원의 활용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향후 효율적인 어메니티 자원별 관리 및 활용방안을 찾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한편, 농촌어메니티 자원으로서의 경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인적자원으로 최근 증가하고 있는 귀농·귀촌인구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리고 고령층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농촌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경제활동 인구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역사·문화자원에 인적자원과 귀농·귀촌 인구, 농촌경제활동인구(75세 이하)를 추가하였다.
  • 배승종 등(2007)은 객관적으로 파악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농촌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어메니티 자원요소를 자연적 자원,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 등으로 구분하여 모두 61개의 평가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농촌 어메니티 자원 중 중요한 요소인 농촌 경관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위하여 농촌경관가치도(RSVI)의 개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간적 입지 특성에 따라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분류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국내 외 기존 문헌 및 연구보고서 등을 비교·분석하여 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를 검토하고, 관련 전문가 그룹의 평가를 통해 농촌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 기존의 연구와 문헌자료에서의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분류방식은 자원 자체의 본질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장소 고착적 성격을 갖고 있는 어메니티 자원을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자원분류의 기조 및 체계성이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살터, 일터, 쉼터)에 따라 장소 입지적 측면에서 재분류하여 자원조사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어메니티 분류체계는 주로 자원 자체의 본질적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장소 고착적 성격을 갖고 있는 어메니티 자원을 효과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데는 근 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 바탕으로 하여 공간적 입지특성에 따라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분류하는 새로운 체계를 개발함으로써 농촌지역개발 계획 및 사업에서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기본 목적이다.
  • 이 연구에서 재정립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례적용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지역은 경상남도 함안군 칠서면 청계리(2개 마을), 의령군 정곡면 중교리(3개 마을) 등 2개 법정리를 선정하였다.
  • 전문가 평가를 통해 자원의 중복 및 누락, 명칭 또는 표현의 적절성 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하고 참여연구진의 검토를 거쳐 적절히 조정·보완함으로써 분류체계의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illiam Holford는 어메니티는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어메니티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영국의 도시계획자인 William Holford는 어메니티는 단순히 하나의 성질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가치를 지닌 총체적인 카탈로그이며, 그 것은 ‘적재적소(適材適所)(The right thing in the right place)’ 또는 ‘전체로서 쾌적한 상태’라고 정의하였다(임형백, 2001). Cullingworth 1964)는 영국의 도시·농촌계획(Town and Country in England and Wales)에서 어메니티를 ‘환경보전’의 의미로 설명하고, ‘어메니티를 정의하기 보다는 인식하는 쪽이 쉽다(Amenity is Easier to Recognize to Define)’고 개념화 하였다.
농촌공간은 구조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구분 되는가? 즉, 기존의 연구는 농촌어메니티 자원 자체의 본질적인 특성에만 기초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농촌공간은 구조적 특성에 따라 크게 살터(생활환경공간), 일터(생산 환경공간), 쉼터(생태환경공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어메니티 지향형으로 전환되고 있는 시대적 트렌드에 부응할 수 있도록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여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공간적 입지 특성에 따라 분류체계를 재정립하고 이들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된다. 나아가, 농촌마을 정비의 새로운 대안으로 농촌공간의 구조적 특성에 어울리는 농촌어메니티 자원 별 관리 및 활용방안 등이 농촌마을의 효율적인 정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새로 제안된 농촌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 시안은 어떠한가?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자료 검토결과를 토대로 새로운 농촌어메니티 자원분류체계 시안을 작성하였다. 농촌어메니티 자원을 공간 구조상의 입지측면에서 녹색·생산·생활환경공간 등 3개의 특성공간에 맞게 대분류하고 각각의 공간에 대해 5개의 자원으로 중분류하여 정형화하였다. 녹색환경공간으로 분류된 자원은 농촌지역의 자연환경과 관련된 어메니티 자원으로 동물자원, 식물자원, 경관(지형)자원, 수자원, 기상자원 등으로 분류하고, 생산환 경공간은 농촌주민의 소득과 관련된 어메니티 자원으로 생산시설자원, 산업경제자원, 공동활동자원, 친환경 농업 자원, 농외소득자원 등으로 분류하였다. 생활환경공간으로 분류된 자원은 농촌주민의 일상생활과 깊은 관련이 있는 어메니티 자원으로, 인적자원, 공공시설자원, 환경 시설자원, 공동체자원, 역사문화자원 등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선희, 2006, 국토어메니티의 개념과 정책과제, 국토 298, 6-16. 

  2. 김정섭, 2001, 농촌개발과 어메니티-국제적 논의 동향과 함의, 농촌과 환경 73, 21-32. 

  3.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4, 농촌어메니티 자원 활용 사례, 농촌진흥청, 9-10. 

  4.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 조사 사업 보고서, 농촌진흥청. 

  5. 농촌진흥청,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6. 농촌진흥청, 2005, 농촌의 다원적 기능 향상을 위한 어메니티 보전 및 자원관리시스템 개발. 

  7. 박시현, 김정연, 이상문, 1995, 지역특성을 고려한 농어촌 마을정비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76-180. 

  8. 배승종, 정하우, 2007, AHP 기법에 의한 농촌 어메니티 가치 평가 모델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9(5), 33-44. 

  9. 윤성수, 김지현, 리신호, 서교, 김한중, 2006, 어메니티를 기반으로 한 노산하석권역 농촌마을 개발계획, 농촌계획 12(4), 43-51. 

  10. 윤희정, 조순재, 김진선, 강방훈, 2006, 농촌어메니티 자원분석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2), 93-105. 

  11. 이동근, 윤은주, 김은영, 조순재, 2007,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기초한 농촌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3(1), 11-17. 

  12.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임창수, 최수명, 김영주, 2006, 농촌마을 수준에서의 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 항목체계 구축, 농촌계획 12(4), 89-97. 

  14. 임형백, 2001, 어메니티의 개념, 기원과 역사,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8(2), 191-199. 

  15. 정남수,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개발, 농촌계획 11(4), 9-15. 

  16. 한경수, 1999, 농촌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환경부, 2003, 함안.창원 지역의 자연생태조사보고서. 

  18. 환경부, 2002, 합천.의령 지역의 자연생태조사보고서. 

  19. 환경부 공간정보서비스(http://egis.me.go.kr) 생태자연도, 2010. 

  20. 酒井憲一, 1998, 100億人のアメニティ ちくま新書, 筑摩書房. 

  21. Cullingworth, J. B., 1964, Town and Country Planning in England and Wales, London : George Allen & Unwin Ltd., 10-11. 

  22. OECD, 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