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 요인, 혈중 렙틴 농도의 효과
Prognostic Value of Lept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5 no.2, 2012년, pp.99 - 107  

홍지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이소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곽상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최윤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이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은 치료의 이득과 위해를 판단하는 잣대가 되고, 적절한 의료 중재 제공 및 환자의 자율성에 기초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많은 수의 말기암환자는 암성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으로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혈장 렙틴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3개월 동안, 만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69명을 대상으로 혈장 렙틴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나이, 성별, 원발암 부위, 암 치료 경력, 전이여부, 투약상황 및 활력증후, 백혈구 수, 혈색소,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반응성 단백질, 총 빌리루빈, 총 콜레스테롤, 알부민, 렙틴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렙틴 농도와 성별, 나이, 백혈구 수, 혈색소, AST, ALT, 총 빌리루빈, C-반응성 단백질, 통증강도 등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 렙틴과 생존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단변량 분석한 결과 혈장 렙틴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경계수준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단변량 분석에서 생존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별, 백혈구 수, AST, ALT, 총 빌리루빈, 알부민, C-반응성 단백질을 포함하여 시행한 다변량 분석에서 혈장 렙틴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암성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혈장 렙틴 농도와 말기암환자의 생존기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화기계암환자에 있어서는 혈장 렙틴 농도가 생존기간 예측인자로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st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ie from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 This study evaluated a prognostic role of plasma leptin levels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69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were aged above 20 years old from July 2009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욕과 관련된 인자로 알려진 leptin이 말기암환자에서 예후지수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바, 그 의의가 있겠다고 하겠다.
  • 따라서 Cancer anorexia-cachexia syndrome과 연관이 있으며, 암의 발생 및 진행과도 연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혈중 leptin 농도의 측정이, 말기암환자에서의 예후인자로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혈중 leptin의 농도에 따른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혈중 leptin의 독립적인 예후인자로서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성 악액질이란? 암성 악액질은 암의 직접적인 혹은 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체중 감소와 식욕부진, 지방 조직및 근육의 쇠퇴, 영양학적 대사 불균형 등을 초래하는 증후군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3). 체중 감소는 삶의 질저하뿐만 아니라 기대 여명의 단축을 초래하게 되고 전체 암환자의 10∼20%에서 체중 감소로 인한 악액질로 사망하기도 한다(4).
Leptin의 역할은? 비만(obese)유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leptin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생산, 분비되며 그 양은 체지방에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Leptin은 시상하부 식욕조절 중추에 식욕 억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음식 섭취를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늘림으로써 비만을 억제하고 혈중 leptin 농도는 신체비만지수 및 체지방 총량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과도 관계가 있다 (8).
혈중 leptin 농도의 비만 억제와 인슐린 저항성 관계 외 다른 기능은? 즉 음식 섭취를 줄이고, 에너지 소비를 늘림으로써 비만을 억제하고 혈중 leptin 농도는 신체비만지수 및 체지방 총량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과도 관계가 있다 (8). 또한 조혈작용 및 면역기능과도 연관이 있으며 뇌하수체, 갑상선 부신피질, 성선 등 기타 내분비선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tatistics Korea. 2007 annual statistical report for cause of death. Daejeon:Statistics Korea;2008. 

  2. den Daas N. Estimating length of survival in end-stage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Pain Symptom Manage 1995;10:548-55. 

  3. Larkin M. Thwarting the dwindling progression of cachexia. Lancet 1998;351:1336. 

  4. Bruera E. ABC of palliative care. Anorexia, cachexia, and nutrition. BMJ 1997;315:1219-22. 

  5. Slaviero KA, Read JA, Clarke SJ, Rivory LP. Baseline nutritional assessment in advanced cancer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hemotherapy. Nutr Cancer 2003;46:148-57. 

  6. Banks WA. The many lives of leptin. Peptides 2004;25:331-8. 

  7. Fruhbeck G, Jebb SA, Prentice AM. Leptin: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Clin Physiol 1998;18:399-419. 

  8. Morton GJ. Hypothalamic leptin regulation of energy homeostasis and glucose metabolism. J Physiol 2007;583:437-43. 

  9. Zhang Y, Proenca R, Maffei M, Barone M, Leopold L, Friedmam JM. Positional cloning of the mouse obese gene and its human homologue. Nature 1994;372:425-32. 

  10. Campfield LA, Smith FJ, Guisez Y, Devos R, Burn P. Recombinant mouse OB protein: evidence for a peripheral signal linking adiposity and central neural network. Science 1995;269:546-9. 

  11. Lee DH. Leptin-signal transduction pathway and relationship with cancer development. Korean J Gynecol Oncol 2007;18:67-92. 

  12. Takahashi M, Terashima M, Takagane A, Oyama K, Fujiwara H, Wakabayashi G. Ghrelin and leptin levels in cachectic patients with cancer of the digestive organs. Int J Clin Oncol 2009;14:315-20. 

  13. Mantovani G, Maccio A, Madeddu C, Mura L, Gramignano G, Lusso MR, et al. Quantitive evaluation of oxidative stress, chronic inflammatory indices and leptin in cancer patients: correlation with stage and performance status. Int J Cancer 2002;98:84-91. 

  14. Sato T, Meguid MM, Miyata G, Chen C, Hatakeyama K. Does leptin really influence cancer anorexia? Nutrition 2002;18:82-3. 

  15. Considine RV, Sinha MK, Heiman ML, Kriauciunas A, Stephens TW, Nyce MR, et al. Serum immunoreactive-leptin concentrations in normal-weight and obese humans. NEJM 1996;334:292-5. 

  16. Moon SS, Jeon JH, Lee JE, Park SH, Kim HK, Doh JY, et al. Blood leptin,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Type 2 diabetics. J Korean Diabetes Assoc 2007;31:75-82. 

  17. Malyszko J, Malyszko JS, Pawlak K, Konstantynowicz J, Wolczynski S, Kaczmarski M, et al. Correlations between lepti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Transplant Proc 2005;37:215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